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미 초등 음악 교과서 창작⋅즉흥연주 관련 교수학습 내용 비교 = Comparison of creative and improvisational class activitie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music textbooks / 홍승연 1

초록 1

Abstract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

3. 연구의 제한점 4

II. 이론적 배경 4

1. 음악교육과 창의성 관련 논의 4

2. 선행연구 5

III. 창작·즉흥연주 교수학습 내용 비교 7

1. 한국 초등 음악 5~6 교과서 내 창작·즉흥연주 7

2. 미국 Jump Right In 창작·즉흥연주 교수학습 내용 13

3. 논의점 17

IV. 결론 및 시사점 18

Reference 19

초록보기

Q1⋅ƒ´7T !" ˆ!"#uOµ*#_?1u작즉흥 ;[v TØ w (5, 2022  앞둔0점ˆ0V점’ # MNO@'(™L-. 2 , u작즉흥;[v‡Ä# TØ Q1â 3«ÌÍjGp, ƒâ3=!패턴!패턴Q점Q뚜렷1»Q‡(©`-. ’1ƒâ Q1âwu작즉흥;[v4#jOpˆ5~10배Q“많å5, 8¦곡길Q 측pˆƒâ3SÊ8마디Q(곡†jGp1â3SÊ16마디Q“곡†?Ol ,-. ƒâ3u작즉흥;[vV^[v *Ñ[v_?(fµ^0켜©M5, u작 즉흥;[vW치8¦곡입Ê, ½CÊ, ‡간, I}5끝©!7ˆ TØQ Q뤄CÖO(5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의 연계 분석을 통한 실용음악교육 적용 방안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actical music education through link analysi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 policy 강윤정, 강래형 p. 1-24

보기
밴드랩(BandLab)을 활용한 비대면 화음창 활동에 대한 소고 = A review on non-contact vocal ensemble activity using BandLab 고선미 p. 25-44

보기
동화 각색을 이용한 주크박스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jukebox musical program using a fairy tale adaptation : 초등학교 1,2학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김민제, 공혜린 p. 45-69

보기
음악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music curriculum : focusing on USA,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Singapore, Germany, France, and Finland /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독일, 프랑스, 핀란드를 중심으로 박지현, 김지현 p. 71-92

보기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career transitions of music majors : focusing on instrumental majors working in non-music fields / 타 분야에서 일하는 기악 전공자를 중심으로 송민희, 김남희 p. 93-122

보기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흥미도와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tegrated arts activities based on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musical creativity 이하나, 박형신 p. 123-147

보기
향유방식에 근거한 12가사 교수⋅학습 방안 =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 twelve Gasa based on ways of enjoyment 정은정 p. 149-174

보기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 : Tasks of music education for post-digital era : focusing on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about technology and art / 기술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최진경 p. 175-197

보기
한⋅미 초등 음악 교과서 창작⋅즉흥연주 관련 교수학습 내용 비교 = Comparison of creative and improvisational class activitie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music textbooks 홍승연 p. 199-21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