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피살 등 자연사(自然死)가 아닌 죽음을 맞이하여 원통함을 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망자가 원혼(冤魂)이다. 현대 한국에는 이들을 위해 연행되는의례들이 다수 존재한다. 그 의례들은 원혼을 위한 의례라는 의미로 ‘원혼의례(冤魂儀禮, ritual for grudge-harboring spirit)’라고 불릴 수 있다.

이 의례들은 누가 그것을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어떻게 연행하는지에 따라서로 다른 특징과 의미를 보여준다. 이 글은 그것을 ①기양, ②현창, ③항의, ④치유, ⑤연민 중심이라는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고 보고, 그각각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현대 한국 원혼의례를 이해하기위한 하나의 틀을 마련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원한을 가지고 죽어간 망자들과 그 유족들의 원통함을 공감한다는 것은 잘못된 관행과 역사 평가를 바로 잡는 일이며, 나아가 개인을 넘어 국가와 사회 공동체의 평화⋅안락⋅치유, 더 나아가서 인간 생명의 고귀함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가치를 드러내는일이다. 원혼의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요청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The deceased, who is believed to have had grudge in the face of death, not natural death such as murder, is the grudge-harboring spirit. In modern Korea, there are many rituals performed for them. The rituals can be called ‘ritual for grudge-harboring spirit’.

These rituals reveal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ccording to how they are performed or what kind of purpose they aim for. This study tries to pay attention to this aspect and classify Korean rituals for grudge-harboring spirit into the five categories: ① invocation of fortune and chasing away evil, ② revelation, ③ complaint, ④ healing, and ⑤ focusing on compassion.

These five categories of the rituals aim to provide framework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rituals for grudge-harboring spirit in the modern times. To empathize with the resentment of the dead who held grudges and their bereaved ones rectifies wrong practices and distorted history. Furthermore, beyond the individual, this framework reveals the very basic values such as peace, comfort, healing, in addition to these, nobility of human life, of the nation as well as societal communities. This is why irrelevant researches and attention on the ritual for grudge-harboring spirit are indispensabl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대 한국 원혼의례의 분류와 특징 =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rituals for grudge-harboring spirits 차선근 p. 107-136
한국개신교의 ‘생명평화’ 운동과 사상 : The ‘life-peace’ movement and thought of Korean Protestantism : focused on ‘YMCA of KOREA’ and ‘Korea Christian Environmental Movement Solidarity for Integrity of Creation’ / 한국YMCA와 기독교환경운동연대를 중심으로 김재명 p. 79-106

종교와 사회성의 진화에 관한 최근 연구의 주요 쟁점과 종교학 분야에의 시사점 = Major issues from recent studies on the evolution of religion and sociality : implications for studies of religious culture and applied religious studies 심형준 p. 7-48

천주교회를 중심으로 바라본 신축교안의 발생 원인과 현재의 평가 = The causes and current evaluation of the Shinchuk Roman Catholic Trouble, focusing on the Catholic Church 김선필 p. 49-78
현대 한국무속의 무당 재교육 양상 : The pattern of re-education of shamans in modern Korean shamanism : centered on the ‘Mudang School’ / ‘무당학교’를 중심으로 이종우 p. 137-165
종교간 연대와 한국 개신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 : A critical reflection on interreligious solidarity and Korean Protestantism : an interreligious practical theology / 종교간 실천신학 연구 이정철 p. 167-195
여성 인권으로서 평화권과 종교의 자유 : Claiming the right to peace and religious freedom as women’s rights : the case of women in Islam / 이슬람과 여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양혜원 p. 197-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