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선형 응답률 모형에서 초모집단 모형의 비모수적 함수 추정을 이용한 무응답 편향 보정 추정 = Bias corrected non-response estimation using nonparametric function estimation of super population model / 심주용 ; 신기일 1
Abstract 1
1. 서론 1
2. 편향 추정 2
2.1. 정보적 표본설계 기법을 이용한 표본 분포 2
2.2. 응답률 모형과 편향 추정 2
2.3. 응답률 모형의 모수 b₀, b₁ 추정 3
3. 초모집단 모형 4
3.1. 모수적 초모집단 모형 4
3.2. 초모집단 모형의 비모수적 함수 추정 5
4. 편향 보정 평균추정량 5
5. 모의 실험 6
5.1. 모의실험 설계 6
5.2. 모의실험 결과 8
6. 결론 13
References 13
요약 14
표본조사에서는 다수의 무응답이 발생하며 이를 적절히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무응답이 관심변수에 영향을 받고 이로 인해 발생한 편향은 추정의 정확성을 크게 떨어뜨리며 무응답 처리를 어렵게 한다. 최근 Chung과 Shin (2017, 2020)은 알려진 모수적 초모집단 모형과 응답률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의 정확성을 향상한 추정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모집단 모형의 형태를 일반화하여 비모수적 함수 형태를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얻어진 편향을 적절히 처리한 편향 보정 평균추정량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A large number of non-responses are occurring in the sample survey,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deal with them appropriately.
In particular, the bias caused by non-ignorable non-response greatly reduces the accuracy of estimation and makes non-response processing difficult. Recently, Chung and Shin (2017, 2020) proposed an estimator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estimation using parametric super-population model and response rate model.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bias corrected non-response mean estimator using a non-parametric function generalizing the form of a parametric super-population model. We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estimator through simulation studie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