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선형 응답률 모형에서 초모집단 모형의 비모수적 함수 추정을 이용한 무응답 편향 보정 추정 = Bias corrected non-response estimation using nonparametric function estimation of super population model / 심주용 ; 신기일 1

Abstract 1

1. 서론 1

2. 편향 추정 2

2.1. 정보적 표본설계 기법을 이용한 표본 분포 2

2.2. 응답률 모형과 편향 추정 2

2.3. 응답률 모형의 모수 b₀, b₁ 추정 3

3. 초모집단 모형 4

3.1. 모수적 초모집단 모형 4

3.2. 초모집단 모형의 비모수적 함수 추정 5

4. 편향 보정 평균추정량 5

5. 모의 실험 6

5.1. 모의실험 설계 6

5.2. 모의실험 결과 8

6. 결론 13

References 13

요약 14

초록보기

표본조사에서는 다수의 무응답이 발생하며 이를 적절히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무응답이 관심변수에 영향을 받고 이로 인해 발생한 편향은 추정의 정확성을 크게 떨어뜨리며 무응답 처리를 어렵게 한다. 최근 Chung과 Shin (2017, 2020)은 알려진 모수적 초모집단 모형과 응답률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의 정확성을 향상한 추정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모집단 모형의 형태를 일반화하여 비모수적 함수 형태를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얻어진 편향을 적절히 처리한 편향 보정 평균추정량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A large number of non-responses are occurring in the sample survey,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deal with them appropriately.

In particular, the bias caused by non-ignorable non-response greatly reduces the accuracy of estimation and makes non-response processing difficult. Recently, Chung and Shin (2017, 2020) proposed an estimator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estimation using parametric super-population model and response rate model.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bias corrected non-response mean estimator using a non-parametric function generalizing the form of a parametric super-population model. We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estimator through simulation stud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순열검정을 이용한 FLSA의 사후추론 = Permutation test for a post selection inference of the FLSA 최지은, 손원 p. 863-874

보기
성근 바인 코풀라 모형을 이용한 고차원 금융 자료의 VaR 추정 = Value at risk calculation using sparse vine copula models 안광준, 백창룡 p. 875-887

보기
경험적 영향함수와 표본영향함수 간 차이 보정의 t통계량으로의 확장 = Extending the calibration between empirical influence function and sample influence function to t-statistic 강현석, 김홍기 p. 889-904

보기
확률적 reduced K-means 군집분석 = Probabilistic reduced K-means cluster analysis 이승훈, 송주원 p. 905-922

보기
선형 응답률 모형에서 초모집단 모형의 비모수적 함수 추정을 이용한 무응답 편향 보정 추정 = Bias corrected non-response estimation using nonparametric function estimation of super population model 심주용, 신기일 p. 923-936

보기
부분선형모형에서 LARS를 이용한 변수선택 = Variable selection in partial linear regression using the least angle regression 서한손, 윤민, 이학배 p. 937-944

보기
가중주성분분석을 활용한 정준대응분석과 가우시안 반응 모형에 의한 정준대응분석의 동일성 연구 = Equivalence study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by weigh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by Gaussian response model 정형철 p. 945-956

보기
중도절단 회귀모형에서 역절단확률가중 방법 간의 비교연구 = A comparison study of inverse censoring probability weighting in censored regression 신정민, 김형우, 신승준 p. 957-968

보기
AMI로부터 측정된 전력사용데이터에 대한 군집 분석 = Clustering load patterns recorded from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안효정, 임예지 p. 969-977

보기
음향 장면 분류를 위한 경량화 모형 연구 = Light weight architecture for acoustic scene classification 임소영, 곽일엽 p. 979-993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