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실천적 성찰체험으로서 미술창작의 가치 = A study of the value of art making as a reflection in action / 김황기 1
요약 1
I. 서론 2
II. 쇤의 성찰 개념과 미술창작 4
1. 쇤의 성찰개념 이해 4
2. 성찰로서의 미술창작 5
III. 성찰의 교육이론화 7
IV. 성찰의 교육과정화 9
V.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11
1. 하나의 지식이다 11
2. 실천적 지식도 가르칠 수 있다 13
3. 성찰은 학습자를 배우는 자이게 만든다 15
4.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이다 16
VI. 결론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2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이 미술교육의 핵심적 영역인 미술창작의 교육으로서의 근거, 학문으로서의 구조화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탐구의 결과첫째, 성찰은 미술창작 활동에 필수적이 과정이다. 미술창작이 자신을 찾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미술창작은 알아차림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미술창작은 문제상황과의 적극적인 소통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둘째,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은 미술교육을 위한 하나의 이론으로서 가능성을 가진다. ‘비선형 교육’ 원리를 가지고 있는 ‘제약 이론’(Newell, 1986)이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을 이론화하는 하나의 모형으로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은 교육과정화가 가능하다. 불확실성, 상황의존성, 문제상황에서의 성찰을 추구하기 때문에 Rowland(1994)가 제안한 창의적 교육과정 설계 관점은 성찰의 교육과정화에 대한 강력한 가능성은 물론 근거를 제공한다.
넷째,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은 미술교육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성찰이 하나의 지식이 될 수 있고, 성찰은 가르칠 수 있으며, 성찰은 학습자를 배우는 자이게 만들고, 성찰이 문제를 해결하고 발견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렇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