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실천적 성찰체험으로서 미술창작의 가치 = A study of the value of art making as a reflection in action / 김황기 1

요약 1

I. 서론 2

II. 쇤의 성찰 개념과 미술창작 4

1. 쇤의 성찰개념 이해 4

2. 성찰로서의 미술창작 5

III. 성찰의 교육이론화 7

IV. 성찰의 교육과정화 9

V.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11

1. 하나의 지식이다 11

2. 실천적 지식도 가르칠 수 있다 13

3. 성찰은 학습자를 배우는 자이게 만든다 15

4.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이다 16

VI. 결론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2

초록보기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이 미술교육의 핵심적 영역인 미술창작의 교육으로서의 근거, 학문으로서의 구조화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탐구의 결과첫째, 성찰은 미술창작 활동에 필수적이 과정이다. 미술창작이 자신을 찾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미술창작은 알아차림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미술창작은 문제상황과의 적극적인 소통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둘째,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은 미술교육을 위한 하나의 이론으로서 가능성을 가진다. ‘비선형 교육’ 원리를 가지고 있는 ‘제약 이론’(Newell, 1986)이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을 이론화하는 하나의 모형으로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성찰로서의 미술창작은 교육과정화가 가능하다. 불확실성, 상황의존성, 문제상황에서의 성찰을 추구하기 때문에 Rowland(1994)가 제안한 창의적 교육과정 설계 관점은 성찰의 교육과정화에 대한 강력한 가능성은 물론 근거를 제공한다.

넷째, 미술창작에서의 성찰은 미술교육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성찰이 하나의 지식이 될 수 있고, 성찰은 가르칠 수 있으며, 성찰은 학습자를 배우는 자이게 만들고, 성찰이 문제를 해결하고 발견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예술강사의 정체성에 대한 통합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meanings of integrated identity of school teaching artist 유정화, 김형숙 p. 1-26

보기
독일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의 과정역량과 내용영역 분석 = An analysis of competency-based art curriculums in Germany with a focus on process competency and content area 이슬기, 배지혜 p. 27-46

보기
의미 만들기로서의 미술창작을 위한 글쓰기의 역할 : The roles of writing for art making as meaning-making : [fo]cusing on the British secondary school art education assessment policy and practice / 영국 중고등학교 미술교육 평가제도 및 실제를 중심으로 최유경 p. 47-68

보기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국내 시각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visual culture education in Korea 손지현, 이혜선 p. 69-100

보기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미술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art education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VR) :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art classes for ‘creating Tilt-Brush works’ / '틸트브러쉬 작품창작' 미술수업 적용 및 효과 김은주 p. 101-120

보기
가상현실 기반 게임제작 수업을 통한 미래 미술교사의 역량강화 가능성 탐구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ing competencies of future art teachers through game production class based virtual reality 최철 p. 121-148

보기
공산성, 나 그리고 존재론적 조우 : The ontological encounter in Gongsanseong : an autoethnography of the aesthetic experience / 미적 체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최명숙 p. 149-170

보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 교육 전환을 위한 미술 교육의 과제 = Responsibilities and tasks of art education as future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최성희 p. 171-202

보기
디지털사회혁신을 위한 미술관 운영과 역할 확장 = Role expansion and operation of art museums for digital social innovation(DSI) 구보경 p. 203-228

보기
메타버스로 구현한 미술과 가상교실 프로토타입 개발연구 : Art virtual class prototype development research implemented with metaverse : a study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rt and virtual classroom using Mozilla Hub / 모질라 허브를 활용한 미술과 가상교실 설계·개발을 중심으로 조안나 p. 229-263

보기
실천적 성찰체험으로서 미술창작의 가치 = A study of the value of art making as a reflection in action 김황기 p. 264-28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