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소해면상뇌증(BSE)과 사료 문제 :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적 분석 = Th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BSE) and feed issues : food ethical analysis based on the book of genesis / 김석신 ; 박승찬 1

[목차] 1

I. 서론 2

II. 창세기, 음식윤리, 소해면상뇌증(BSE)의 먹을거리 원리 5

1. 창세기의 먹을거리 원리 5

2. 음식윤리의 먹을거리 원리 7

3. BSE의 먹을거리 원리 8

III. 소해면상뇌증(BSE)의 과학 8

1. BSE의 정의 및 종류 8

2. BSE의 발생원인, 대책 및 발생현황 9

3. EU 회원국의 BSE 통제지위와 동물성 사료금지 완화 11

4. BSE의 핵심문제 12

IV. 음식윤리의 정의와 내용 및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 확립 13

1. 음식윤리의 정의와 내용 13

2.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 확립 15

V. 소해면상뇌증(BSE)의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 분석 22

1.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 정량적 분석 22

2. 창세기에 근거한 생명존중의 원리와 안전성 최우선의 원리의 심층 분석 24

VI. 결론 28

참고문헌 30

국문초록 33

ABSTRACT 34

초록보기

소해면상뇌증(BSE)은 감염된 반추동물의 육골분(MBM)을 소에게 먹임으로써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를 활용하여 BSE와 사료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1) 창세기, 음식윤리, BSE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먹을거리 원리를 세웠고, 2) BSE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핵심문제를 도출하였으며, 3) 음식윤리의 세부내용을 창세기의 창조질서와 관련지은 후, 4)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를 적용해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과 관련된 BSE 와 사료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먹음의 궁극적 목적인 제1수준의 먹을거리 원리는 생존의 지속, 보다 구체적인 제2수준의 먹을거리 원리는 생명, 행복, 지혜,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의 세 요소는 자연과의 공존, 인간과의 공존, 음식의 본질 충족, 여기서 파생되는 제3수준의 실천적인 먹을거리 원리는 생명존중, 환경보전, 정의, 소비자 최우선, 절제와 균형, 안전성 최우선이었다. BSE의 핵심문제는 소에게 동물성 사료를 준 것과 동일종 사료(intra-species feed) 제공의 두 가지인데, 둘 다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의 생명존중의 원리와 안전성 최우선의 원리를 위배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4차 산업혁명시대 이후의 의학적 인간현상과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적 성찰 : Medical human phenomena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later Heideggerian being-thought’s reflections on it : focusing on transhumanism and the problem of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substitutes from inside and outside living things / 인공대체기능물의 생명체 내·외부로부터의 생산, 그리고 그 안에 놓인 트랜스휴머니즘의 문제에 관련하여 이관표 p. 7-40

보기
코로나 시대 애도문화 변화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in mourning cultu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양준석 p. 41-69

보기
관계경험과 감정표현이 우울과 불안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lationship experience and emotional expression on depression, anxiety, and happiness 이지수, 최서연, 남승규 p. 71-103

보기
소해면상뇌증(BSE)과 사료 문제 : Th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BSE) and feed issues : food ethical analysis based on the book of genesis / 창세기에 근거한 음식윤리적 분석 김석신, 박승찬 p. 105-138

보기
생태신학으로 확장되는 현대 그리스도교적 인간학의 방향 = The direction of modern Christian anthropology extended to ecological theology :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의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에서 나타난 관계와 공동체 인간관을 중심으로 서한석 p. 139-167

보기
성 암브로시우스의 창세기 주해서에 나타난 포도주 = Wine as featured in the exegesis of genesis by St. Ambrose 정환규 p. 169-202

보기
노년기 여성 수도자의 수도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elderly nuns with religious life : focusing on gender role identity and interpersonal attitudes / 성역할 정체감과 대인관계 태도를 중심으로 권용순, 김지연 p. 203-241

보기
예수 연구의 해석학적 고찰 : A hermeneutic study of the Jesus quest :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Protestant and Catholic academia / 개신교 학계와 가톨릭 학계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백운철 p. 243-30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