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동기강화 금연 프로그램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니코틴 의존도, 흡연태도 및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e, smoking-related attitude, and abstinence self-efficacy in in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 김성희 ; 이신덕 ; 김지영 ; 심경진 ; 김지윤 1

Key messages 1

Abstract 1

서론 1

연구방법 2

1. 연구설계 2

2. 연구대상 2

3. 연구도구 3

4. 동기강화 금연 프로그램 3

5. 자료수집 4

6. 윤리적 고려 4

7. 자료분석 5

연구결과 5

1. 일반적 특성과 연구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5

2. 동기강화 금연 프로그램 효과 검정 6

고찰 6

References 7

초록보기

본 연구는 동기강화 금연 프로그램이 정신과병동에 입원한 흡연 정신질환자의 니코틴 의존도, 흡연태도및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설계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험군 25명,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에게 3주간 매주 2회씩 총 6회기로 구성된동기강화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니코틴 의존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흡연태도 및 금연 자기효능감은 전후 평균 차이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동기강화 금연 프로그램은 흡연 정신질환자의 흡연태도와 금연 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기화된 COVID-19에서 경험한 스트레스가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tress experienced in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on psychological distress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전소라, 김호영 p. 207-219

보기
대학생의 일주기 유형과 신체적 삶의 질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physical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and academic burnout / 피로와 학업 소진의 매개 효과 노해림, 권오진, 심은정 p. 220-226

보기
무대공포증과 연관된 프로프라놀롤 복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taking propranolol related to music performance anxiety and stress coping model in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music / 예술고등학교 음악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윤동욱, 송병아, 이형준, 유은라 p. 227-234

보기
한국 성인의 우울증이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pression on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mong Korean adults 임미영 p. 235-241

보기
동기강화 금연 프로그램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니코틴 의존도, 흡연태도 및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e, smoking-related attitude, and abstinence self-efficacy in in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김성희, 이신덕, 김지영, 심경진, 김지윤 p. 242-249

보기
폐경기 여성의 정신건강을 위한 문학을 활용한 합리정서행동치료(REBT)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iveness of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utilizing literature for mental health of menopausal women 홍영선, 한금선 p. 250-261

보기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증상, 수면의 질, 피로와 건강증진행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physical symptoms, sleep quality, fatigu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job satisfaction of shift nurses 안영은 p. 262-270

보기
사회불안 경향자의 해석편향수정 훈련 효과 : Modifying interpretation in socially anxious students using cognitive bias modification : effects of perspective employing positive imagery / 긍정적 심상 관점을 중심으로 김다인, 윤혜영 p. 271-282

보기
우울장애 환자의 초기부적응도식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회피대처방식과 문제중심대처의 역할 : The role of avoidance coping and problem-focused style of coping in the association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uicide ideation in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 조절된 매개모형 김보미, 이은희 p. 283-29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