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국 개신교 극우세력과 그 성격 | 김현준 | p. 15-25 | ||
일본 극우의 탄생과 종교적 배경 | 홍이표 | p. 26-37 | ||
유럽 극우의 등장과 성장 | 박기성 | p. 38-50 | ||
성서와 바울에 빠져든 만년 지각생, 김창락 교수 [대담] | 대담자: 김창락, 정혜진 | p. 51-71 | ||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의 해에 돌아본 중국의 기독교 이해와 정책 | 문영걸 | p. 72-82 | ||
성도의 침묵이 만드는 나비효과, '공교회성 상실' | 김광수 | p. 95-103 | ||
아시아기독교사학회 창립 10년의 회고 | 김흥수 | p. 104-115 | ||
베드로의 배반과 성령의 역사 | 양명수 | p. 116-130 | ||
전시(戰時) 성폭력과 나비들의 연대(사사기 19-21장) | 이영미 | p. 131-142 | ||
방언 기도, 바르게 설교하고 있나 | 김동수 | p. 143-152 | ||
인공지능-코로나 시대를 위한 K-영성과 도의 신학 | 김흡영 | p. 153-163 | ||
북한이탈주민은 무엇을 할 것인가 : 행복한 시민이자 그리스도인으로 | 김의혁 | p. 164-173 | ||
선교적 교회 운동의 이론적 건축가들 | 한강희 | p. 174-190 | ||
불교와 기독교, 삶의 치유를 위해 서로의 길을 비추는 벗이자 맞수 | 황은영 | p. 191-202 | ||
성서 언어, 상징 연구의 새로운 계기가 되길 [서평] | 민영진 [평] | p. 203-208 | ||
고영근 목사 연구를 위한 네 번째 주춧돌 [서평] | 손승호 [평] | p. 209-215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