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공동체주택이 건설된 지 10년이 경과되어 거주자에 의한 공동체주택에 대한 거주후 평가가필요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거주자가 자가소유형 공동체주택의 특성에 대해 평가하여 공동체주택의 시행주체와 거주자에게 건설과정과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사방법은 소행주 마을기업이 건설한 공동체주택12동의 거주자에게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여 65 부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t검정, ANOVA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자는 참여형 설계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자신의 공간에 대한 지식과 전문가의 정보제공을 부족해 하였다. 둘째, 거주자는 공동체주택 건설과정과 병행하는 커뮤니티 형성 및 교육, 건축 행사 등의 모든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거주자는 커뮤니티실의 활용도가 가장 높았고, 엘리베이터 홀, 옥상의 활용도도 높았다. 넷째, 입주후 거주자는 생활규약 제정을 원하였고, 이웃으로부터 관계 형성, 육아, 자녀성장에 좋은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하였다. 각각의 공동체주택에서는 모임, 파티 등의 주거문화를 형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체주택의 시행사는 참여설계 과정에 수요자에 대한 전문가 교육 정도, 수요자의 공간요구 반영정도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ompound effects of time pressure and cognitive complexity on APP icon understanding = 시간 압력과 인지 복잡도가 APP 아이콘 이해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Qu, Ye Hua, Kim, Yong Gu, Cho, Dong Min p. 1-15
소비가치가 친환경 뷰티 제품 구매의도 및 태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The convergence and complex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attitude of eco-friendly beauty products 김경인 p. 17-28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페미니스트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st designs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김유경 p. 29-40
지역자원과 스토리텔링의 융·복합 문화상품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nvergence cultural product design process of local resources and storytelling : focusing on the Yangdong market in Gwangju / 광주광역시 양동시장을 중심으로 김윤정, 강덕구 p. 41-55
자가소유형 공동체주택의 특성에 대한 거주후 평가 = Post occupation evaluation of self-owned community housing characteristics 류현수, 박경옥 p. 57-69
Research on integrating emotional design theory into interface intera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PP = 무형 문화 유산 APP 인터페이스 상호작용과 감성 디자인 융합 이론 연구 Mao, Ping Ting, Kim, Yong Gu, Hong, Chan Seok p. 71-89
패션브랜드의 가상패션 광고에 나타난 가상모델의 융복합적 특징 분석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by types of virtual models in virtual advertisement of fashion brands : focused on the type of virtual model / 가상모델 유형을 중심으로 박근수 p. 91-107
다학제적 관점의 ESG 중대성 평가를 통한 건설산업의 지속가능성 분석 = The sustainability analysis through materiality test of ES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박은수, 이지윤 p. 109-123

클래식 블루 컬러를 융합한 네일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nail design combines classic blue color 배지윤, 김유경 p. 125-135
국내 창작 노동 중개형 플랫폼의 노동자 관점의 융합 연구 = Integrat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reator on the domestic brokerage-type creative labor platform 백경화, 하은아 p. 137-149
융합적 사고를 위한 산학협력 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설계모형 개발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design model based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convergent thinking : focusing on visual design subjects / 시각디자인 교과목을 중심으로 서연화 p. 151-162
게임의 업적 시스템 복합 요소와 플레이어 몰입의 상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 elements of game achievement systems and player gameflow : focused on adventure games of PlayStation / PlayStation 어드벤처 게임 중심으로 손백존, 조동민 p. 163-177
(A) study on the fluidity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with cross-cultural fusion through analyzing the art exhibition cultural space : 미술전시 문화 공간 분석을 통한 교차 문화적 융합의 유동성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예술과 창의" 창의예술 상호연계 전시사례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example of the "art & creativity" creative arts interconnection exhibition of China Yang, Hai Qiong, Hong, Chan Seok p. 179-192
인간과 기계의 시각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미디어 아트 제작 연구 : A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edia art based on the visual similarit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 a case study on the artwork 'Goonghab' / '궁합' 사례를 중심으로 오나예, 박진완 p. 193-202
어린이 회화(繪畵)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속성과 교육콘텐츠의 융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design attributes and educational content in children's drawing applications 왕기, 김용구, 홍찬석 p. 203-218
의미분별법을 활용한 일회용 커피 포장디자인 색채 융합 연구 = A study on color convergence of disposable coffee packaging design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왕호, 홍찬석 p. 219-230
文化主题展览空间多维融合设计研究 : Research on multi-dimensional fusion design of cultural theme exhibition space : focusing on the design of the History Museum of Donghai County People's Court / 以东海县人民法院院史馆设计为例 유가흥, 윤갑근 p. 231-245
지역특화산업 발굴을 위한 융합적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vergence promotion plan for discovery of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 focus on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beehive design / 체험형 벌통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윤명한 p. 247-259
국내 디자인학 연구자의 저작 패턴 및 연구 분야에 대한 융복합적 분석 = Convergence study on authorship patterns and research fields of Korean 'design' researchers 이다니엘 p. 261-271
중국 광부(廣府) 수향촌(水鄉村)의 문화구성과 공간색채 관계성 융합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convergence between cultural composition and spatial color of Guangfu water village, China 이사원, 김지은 p. 273-289
레이스 기법을 융합한 3D 프린팅 패션디자인 연구 = A study on 3D printing fashion design that converges lace technique 이종석, 이광우 p. 291-304
은(Ag)과 구리(Cu) 합금을 통한 주얼리 금속색상 연구 = A study on the metal color of jewelry through silver(Ag) and copper(Cu) alloys 이종하, 최승욱 p. 305-317
스마트 시티 시각 장애인의 삶의 질(QoL) 향상을 위한 이동성 개선 서비스 시나리오 제안 : Mobility improvement service scenario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QoL) in the smart city : with the conversion of science fiction probes and speculative design / 추측적디자인(Speculative Design)과 Science Fiction Probe 의 융합적 활용을 중심으로 정경일, 구유리 p. 319-336
Study on the influence of book cover design elements on parents' choice of children's picture book = 북커버 디자인 요소가 부모의 동화책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Zhu, Xiao Min, Cho, Dong Min p. 337-352
중국 노인복합활동센터 서비스스케이프의 문제점에 관련 연구 = Study on main problems in service scapes of the complex elderly activity center in China 진가문, 서한석 p. 353-366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 integrating elements of character design in animated films = 긍정심리학 융합 애니메이션 영화 캐릭터 디자인 요소 연구 Chen, Ye, Cho, Dong Min p. 367-380
面向应急救援的破拆鉗創新融合設計与研究 = Innovative fusion conceptual design and research of demolition pliers for emergency rescue 진환, 이진욱 p. 381-391
전동 모빌리티의 향후 디자인 방향 연구 : A convergence study on the near future design direction of electric mobility : focused on usability by vehicle types / 차량 유형별 사용성 분포를 중심으로 향가흔, 구상 p. 393-404

참고문헌 (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oi, Jung Shin., Hong, Seo Jung, 「Cohousing communities」, Eomunhaksa, 2017. 미소장
2 Kim, Ran-Soo,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 of Community Space for Community Housing : Focused on Supply Houses of Housing Cooperatives”,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39(1) 2019. 미소장
3 Lee, Yoon Seo, “Community-Housing Plann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 Cooperator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7. 미소장
4 Nam, Won Seok, “The Issues of Community-Housing Policy in Seoul”,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60(6), 2016. 미소장
5 Park, Kyoung Ok., Ryu, Hyun Soo, “Case Study of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Residents and Coordinators on the Planning Process of Community Housing in Sungmisan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3), 2012. 미소장
6 Park, Kyoung Ok., Lee, Sang Un., Ryu, Hyun Soo, “The Characteristics in the Planning Process of Co-housing; Modification of Plans by Residents'Participation - Case of Co-housing Built by a Coordination Company in Seongmisan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4), 2013. 미소장
7 https://cafe.naver.com/cooperativehousing (2021.12.05) 미소장
8 http://www.law.go.kr/ordinInfoP.do?ordinSeq=1298561(2021.12.15) 미소장
9 https://soco.seoul.go.kr/coHouse/index.do;jsessionid=2CC58704E6B163172B2D925636E37737 (2021.12.1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