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ED-XRF를 이용한 저온창고의 방화화재 조사기법 연구 = Investigation techniques of arson fire in low-temperature warehouses using ED-XRF / 김시국 ; 채병길 ; 한용택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2. 이론적 배경 2

2.1. ED-XRF 작동 원리 2

2.2. ED-XRF 분석 3

3. 실험 3

3.1. 실험시료 3

3.2. 실험방법 3

4. 실험결과 및 분석 4

4.1. Case 1 결과 4

4.2. Case 2 결과 6

5. 결론 8

References 9

초록보기

본 연구는 ED-XRF를 이용한 저온창고의 방화화재에 대한 조사기법을 연구한 것으로 인화성 액체(휘발유, 시너, 등유,경유)의 연소열에 의한 시료의 성분 변화를 실험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첫 번째 실험은 시료(아연도금강판+우레탄폼+샌드위치패널)를 인화성 액체(휘발유, 시너, 등유, 경유) 500 ml로 연소시킨 후 시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소 실험에서인화성 액체의 종류에 따라 연소열의 차이는 있었으나, 연소 후 ED-XRF로 시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한 결과 휘발유의 연소실험에서 가장 큰 성분 변화가 측정되었고 시너, 등유, 경유의 순서로 변화가 나타났다. 인화성 액체의 연소열 차이에 의한시료의 성분 변화를 ED-XRF로 측정함으로써 실험에 사용된 인화성 액체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소방대의방화화재 진압상황을 가정하여 첫 번째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 인화성 액체의 연소 시간을 600 s로 제한하여 실험하였다.

인화성 액체는 종류에 구별없이 공통적으로 연소 시작 후 300 s 이내에 온도와 열유속이 최대값에 도달하는 연소 특징이있어 인화성 액체를 600 s 동안 연소 실험한 결과 첫 번째 실험과 동일하게 휘발유, 시너, 등유, 경유 순서로 성분 변화가확인됨에 따라 방화 현장에서 사용된 인화성 액체를 ED-XRF 측정 결과로 구별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방화는 연소 과정에서 대부분의 흔적과 증거물이 소실되고, 화재의 진압 과정에서 현장이 훼손되는 특징이 있어 화재 현장에서 방화의 증거를 발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ED-XRF를 방화 조사에 활용한다면 방화 현장을 보존한 상태에서 현장을 성분 분석하여 발화지점의 추정이 가능하고, 방화조사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서도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반응열과 탄화도가 열방출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ffect of heat of reaction and charring properties on heat release rate during combustion 이명규, 박설현 p. 1-7

보기
화재시 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화재확대위험성평가 프로세스 정립 = Fire spread risk assessment process for radiant heat flux of flame ejected from opening in fire 신이철, 박수영, 박계원, 최동호, 이길용, 최정민 p. 8-14

보기
수소제트화염 주위의 거리에 따른 열적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effect according to the distance around a hydrogen jet flame 권오승, 조건호, 박경환 p. 15-20

보기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대응방안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진압실험 = Full-scale fire suppression tes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lithium-ion battery fire response procedures for electric vehicle fires 임옥근, 강성욱, 권민재, 최정윤 p. 21-29

보기
파우치형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전이 방지에 관한 실험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prevention of thermal runaway propagation in pouch-type lithium-ion batteries 박문우, 최돈묵 p. 30-36

보기
국내외 기술 기준 비교를 통한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품질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Comparis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 study on improvement of quality control of halogenated fire extinguishing agents 장봉조, 함승희, 윤명오 p. 37-44

보기
(A) study on the method to secure evacuation safety of long-term care hospital for the elderly through actual condition survey = 실태조사를 통한 노인요양병원 피난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Soo-Kyung Shin, Young-Hoon Bae, Jun-Ho Choi p. 45-52

보기
Evaluating fire risk of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 수평피난안전구역 설치여부에 따른 노인요양병원의 화재위험평가 Soo-Kyung Shin, Young-Hoon Bae, Jun-Ho Choi p. 53-60

보기
Development of fire safety evaluation indices for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 AHP 분석을 통한 노인요양병원의 화재안전성 평가지표 개발 Soo-Kyung Shin, Young-Hoon Bae, Jun-Ho Choi p. 61-67

보기
국내 화력발전소의 주제어실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위험도 평가 = Risk assessment through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in the main control room of a domestic thermal power plant 조용선, 김동민, 임경태 p. 68-74

보기
안전이격거리 설정을 위한 저장식과 이동식 수소충전소 제트누출의 수치해석적 연구 = A numerical study on jet release from off-site and mobile hydrogen refueling station for separation distance 박병직, 김진현, 임옥근, 김양균 p. 75-84

보기
ED-XRF를 이용한 저온창고의 방화화재 조사기법 연구 = Investigation techniques of arson fire in low-temperature warehouses using ED-XRF 김시국, 채병길, 한용택 p. 85-93

보기
동결방지열선 화재예방을 위한 기준강화 연구 = A study on strengthening standards for fire prevention of anti-freeze electric heating cable 이재훈, 박종영, 오부열, 박정우 p. 94-99

보기
과열에 의한 정온전선의 발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Investigation on the ignition of self-regulating heating cables due to overheating 유영천, 지승욱 p. 100-104

보기
방화탐지견(K-9) 현장 적응을 위한 실용성 검증 연구 = A study to verify the practicality of introducing an arson dog(K-9) unit in field investigations 류호승, 최승복, 김민선, 최영진, 최돈묵 p. 105-111

보기
의용소방대 근대 역사·문화적 가치 연구 :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of volunteer fire brigade : Sulsan volunteer fire brigade in Impi-myeon, Gunsan-si, Jeollabuk-do / 전북 군산시 임피면 의용소방대 술산지대를 중심으로 이상희, 윤명오 p. 112-117

보기
다수사상자 재난현장의 효과적인 대응방안 연구 = Study on effective response plans for disaster sites with multiple casualties 채진, 윤순중 p. 118-126

보기
구급대원의 업무 범위 인식에 대한 질적 주제 분석 : Qualitative theme analysis on perception of practice scope among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 focused on registered nurses / 간호사 자격을 가진 구급대원을 중심으로 김민희, 김남걸, 박송이 p. 127-136

보기
한국과 일본의 공공데이터포털 재난안전 데이터셋 및 서비스 비교 분석 = Comparison of disaster safety datasets and service in Korean and Japanese public data portals 이해윤, 정무헌, 박인선 p. 137-14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