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이태준이 단편소설의 스타일리스트라는 기존의 일반적인 평가가 식민지 시기 비평적 담론의 장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관한 역사적 규명 및 비판적 검토를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30년대 전반기에 이루어진 이태준 소설에 관한 초기 논의는 김기림, 조용만, 김환태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들은 이태준 및 그의 첫 단편집 『달밤』을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맥락을 같이 한다. 그들은 이태준의 소설에서 균형과 절제를 유지하려는 스타일리스트로서의 면모를 발견했고 고평했다. 이들의 논의는 이태준과 그의 소설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때 ‘스타일리스트’는 이태준 단편의 특장(特長)을 지칭하는 용어로써 사용되었다. 이태준 소설에 대해 사상성의 결여를 문제시하는 관점은 1938년을 전후한 시기에 부상했다. 신남철, 백철, 최재서, 임화 등의 논의를 통해 이태준 소설의 대다수는 현실에 대한 인식을 노정하는 객관소설이 아니라 사소설 내지는 심경소설로서 평가절하된다. 이른바 단편소설의 스타일리스트로서 사상성이 결여되었다고 하는 이태준과 그의 소설에 대한 이미지는 바로 이 시기에 만들어졌으며 이후의 논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대학의 변화 속 문예창작학과의 정체성 찾기 : Finding the identity of creative writing in the changing Korean university : focused on the case of Keimyung University / 계명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손정수 p. 15-36

디지털 시대, 비판적 상상력 함양과 스토리텔링을 위한 교육 : Education for fostering critical imagination and storytelling in the digital era :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Woosuk University's Department of Literary Writing / 우석대학교 문예창작학과의 현황과 전망 주지영 p. 37-56

비실시간 비대면 자기 성찰 글쓰기 강의 연구 : A study of non-real-time non-face-to-face lectures on self-reflection writing : focusing on Kyunghee University's "reflection and expression" lecture / 경희대학교 "성찰과 표현" 강의를 중심으로 추선진 p. 59-81

문예창작 전공 학습자의 서술어 문제와 개선 방향 : The literary creation learner's predicate problem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 the case study of fiction creation class in Dankook University / 단국대학교 소설창작수업 사례 연구 김태수 p. 85-109

모두에 의한 시, 모두를 위한 시 : Poetry by everyone, poetry for everyone : focusing on poetry education cases considering 'slow learner' / '느린 학습자' 를 고려한 시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양경언 p. 111-145

단편, 스타일, 사상 : Short stories, styles, ideas : historical review of the discussion surrounding of Lee Taejun's short story during the colonial period / 이태준 단편 소설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역사적 검토 조형래 p. 147-167

서정적 관념의 '장소화' 양상 : 'Spatiality' aspect of lyrical idea : heterotopia of Jeong Hoseung's poetry / 정호승 시의 헤테로토피아 한원균 p. 169-192

마케팅믹스 전략을 통한 웹소설 발전 방안 제언 : Ways to develop web novels through marketing mix strategy : the 7Ps strategy / 7P 전략을 중심으로 안혜진 p. 193-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