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전쟁 전후, 근대 일본의 평화사상과 반성담론 연구 : 우치무라 간조와 다케우치 요시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eace thought and reflective discourse in modern Japan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War / 강진석 1
[요약] 1
I. 이끄는 말 2
II. 전쟁 전후 두 사상가의 등장과 외침 5
III. 전쟁 전후 일본의 평화사상과 반성담론 10
1. 우치무라 간조의 평화사상 11
2. 다케우치 요시미의 반성담론 19
IV. 나가는 말 25
참고문헌 27
[저자소개] 28
Abstract 3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우치무라 간조, 김유곤 역. 2009. 『內村鑑三全集』제10권, 서울: 크리스챤서적. | 미소장 |
2 | 우치무라 간조a. “전쟁폐지론”(1903.6). 『만조보』.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3 | 우치무라 간조b. “평화의 복음”(1903.9). 『성서지연구』.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4 | 우치무라 간조c. “최근의 느낌”(1903.9). 『만조보』.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5 | 우치무라 간조d. “러일전쟁과 기독교의 추세”(1905.2). 『성서지연구』.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6 | 우치무라 간조e. “러일전쟁에서 내가 받은 이익”(1905.11). 『신희망』.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7 | 우치무라 간조f. “유럽의 전란과 기독교”(1914.11). 『성서지연구』.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8 | 우치무라 간조g. “노아의 대홍수를 생각함”(1915.12). 『성서지연구』.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9 | 우치무라 간조h. “미국의 참전”(1917.5). 『성서지연구』.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10 | 우치무라 간조i. “전쟁 폐지에 관한 성서의 명시”(1917.12). 『성서지연구』. 『內村鑑三全集』 제10권. | 미소장 |
11 | 우치무라 간조, 이성호 역. 1977. 『內村鑑三聖書注解全集』, 서울: 성지사. | 미소장 |
12 | 다케우치 요시미, 서광덕 외 역. 2004. 『일본과 아시아』, 서울: 소명출판. | 미소장 |
13 | 다케우치 요시미a. “근대란 무엇인가”(1948.11). 『일본과 아시아』. | 미소장 |
14 | 다케우치 요시미b. “근대의 초극”(1959.11). 『일본과 아시아』. | 미소장 |
15 | 다케우치 요시미c. “방법으로서의 아시아”(1960.1). 『일본과 아시아』. | 미소장 |
16 | 다케우치 요시미, 윤여일 역. 2011.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1』.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17 | 다케우치 요시미d. “나라의 독립과 이상”(1952.1).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1』. | 미소장 |
18 | 다케우치 요시미e. “국민문학의 문제점”(1952.8).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1』. | 미소장 |
19 | 다케우치 요시미f. “근대의 초극”(1959.11).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1』, | 미소장 |
20 | 다케우치 요시미g. “전쟁 체험의 일반화에 대하여”(1961.12).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1』. | 미소장 |
21 | 다케우치 요시미, 윤여일 역. 2011.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2』.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22 | 다케우치 요시미h. “루쉰”(초록, 1943.10).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2』. | 미소장 |
23 | 가노 마사나오 저, 김석근 역. 2004. 『근대 일본사상 길잡이』. 서울: 小花. | 미소장 |
24 | 강상중 저, 임성모 역. 2004. 『내셔널리즘』. 서울: 이산. | 미소장 |
25 | 양현혜. 2017. 『우치무라 간조: 신 뒤에 숨지 않은 기독교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26 | 와다 하루키 외 저, 한철호 외 역. 2017.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서울: 책과함께. | 미소장 |
27 | 스즈키 노리히사 저, 김진만 역. 1995. 『무교회주의자 內村鑑三』. 춘천: 한림신서. | 미소장 |
28 | 시부야 히로시 외 저. 2018. 『그리고 모든 것은 하나님을 위하여-우치무라 간조의 사회사상과 신학사상』. 서울: 홍성사. | 미소장 |
29 | 야규 구니치카, “예언자적 민족주의: 하나님과 일본 사이의 우치무라.” 2018. 『그리고 모든 것은 하나님을 위하여-우치무라 간조의 사회사상과 신학사상』. 서울: 홍성사. | 미소장 |
30 | 쑨거 저, 윤여일 역. 2007. 『다케우치 요시미라는 물음 – 동아시아의 사상은 가능한가』.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31 | 윤여일. 2014. 『사상의 번역-쑨거의 「다케우치 요시미 라는 물음」 읽기와 쓰기』. 서울: 현암사. | 미소장 |
32 | 이경희. 2018. “마루야마 마사오와 다케우치 요시미의 전후 사상 재건과 ‘근대’적 사유.” 『동아시아연구』 제73집, 57-82. | 미소장 |
33 | 苑英奕. 2008. “노예론으로부터 ‘동아시아’담론의 새로운 시각으로-루쉰과 다케우치요시미의 노예론을 중심으로.” 『중국문학』 제57집, 293-307. | 미소장 |
34 | 정응수. 2002.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전쟁관의 변천.” 『일본문화학보』 제15집, 29-39. | 미소장 |
35 | 최종길. 2016. “대동아전쟁과 다케우치 요시미의 전쟁책임론.” 『사림』 제64집, 279-308. | 미소장 |
36 | 하지연. 2011. “니토베 이나조의 식민주의와 조선인식.” 『이화사학연구』 제43집, 195-23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