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사
입제 농약 처리 후 토양 혼화깊이에 따른 상추 중 hexaconazole, thifluzamide 잔류량 비교 = Effect of the tillage depth after granular pesticide application on the residue of hexaconazole and thifluzamide in lettuce
입제 농약 처리 후 토양 혼화깊이에 따른 상추 중 hexaconazole, thifluzamide 잔류량 비교 = Effect of the tillage depth after granular pesticide application on the residue of hexaconazole and thifluzamide in lettuce / 손경애 ; 김찬섭 ; 이은영 ; 이희동 ; 박성은 ; 이지원 ; 김이선 ; 박지호 ; 박정훤 ; 김윤한 1
Abstract 1
서론 1
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4
결론 7
Author Information and Contributions 7
Literature cited 7
요약 8
Appendix 1. Environmental parameters of pesticides studied 9
초록보기
입제농약을 살포할 때 토양으로의 혼화 깊이가 작물의 농약 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비닐온실에서 상추(Lactuca sativa) 재배실험을 하였다. 농약성분 hexaconalzole과 thifluzamide를 포함하는 조립식 입제를 처리한 후 2가지 깊이(방법 1은 쇠스랑으로 토양을 긁어 약 5 cm 깊이로 혼화, 방법 2는 소형 관리기로 약 15 cm 깊이로 경운)로 혼화한 후 상추 모종을 정식하여 재배하였다. 정식 후 19일과 27일에 수확한 상추 잎 중 hexaconazole 잔류량은 방법 1에서 0.02-0.05 mg/kg, 방법 2에서 0.01-0.05 mg/kg이었고, thifluzamide 잔류량은 방법 1과 방법 2 모두 <0.01-0.02 mg/kg이었다. 상추 중 hexaconazole 잔류량은 5 cm 혼화 처리가 15 cm 경운 처리보다 높다고 통계적으로 인정되었지만, 정량한계 미만 결과가 많은 thifluzamide는 통계처리하지 못하였다. 정식 27일 후 수확한 상추 하엽 중 hexaconazole은 방법 1에서 0.04-0.06 mg/kg, 방법 2에서 0.02 mg/kg 수준으로 잔류하였고, thifluzamide의 잔류수준은 방법 1에서 0.01-0.04 mg/kg, 방법 2에서 정량한계(0.01 mg/kg) 이하였다. 같은 시기의 상추 하엽 중 hexaconazole의 최대값은 0.06 mg/kg으로 전체 잎 0.04 mg/kg의 2배 수준 이내이며, thifluzamide의 최대값 0.04 mg/kg은 전체 잎 0.02 mg/kg의 2배 수준이었다. 시험 결과로 보아 입제 농약을 토양에 혼화하는 경운 깊이가 작물 중 잔류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