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입제 농약 처리 후 토양 혼화깊이에 따른 상추 중 hexaconazole, thifluzamide 잔류량 비교 = Effect of the tillage depth after granular pesticide application on the residue of hexaconazole and thifluzamide in lettuce / 손경애 ; 김찬섭 ; 이은영 ; 이희동 ; 박성은 ; 이지원 ; 김이선 ; 박지호 ; 박정훤 ; 김윤한 1

Abstract 1

서론 1

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4

결론 7

Author Information and Contributions 7

Literature cited 7

요약 8

Appendix 1. Environmental parameters of pesticides studied 9

초록보기

입제농약을 살포할 때 토양으로의 혼화 깊이가 작물의 농약 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비닐온실에서 상추(Lactuca sativa) 재배실험을 하였다. 농약성분 hexaconalzole과 thifluzamide를 포함하는 조립식 입제를 처리한 후 2가지 깊이(방법 1은 쇠스랑으로 토양을 긁어 약 5 cm 깊이로 혼화, 방법 2는 소형 관리기로 약 15 cm 깊이로 경운)로 혼화한 후 상추 모종을 정식하여 재배하였다. 정식 후 19일과 27일에 수확한 상추 잎 중 hexaconazole 잔류량은 방법 1에서 0.02-0.05 mg/kg, 방법 2에서 0.01-0.05 mg/kg이었고, thifluzamide 잔류량은 방법 1과 방법 2 모두 <0.01-0.02 mg/kg이었다. 상추 중 hexaconazole 잔류량은 5 cm 혼화 처리가 15 cm 경운 처리보다 높다고 통계적으로 인정되었지만, 정량한계 미만 결과가 많은 thifluzamide는 통계처리하지 못하였다. 정식 27일 후 수확한 상추 하엽 중 hexaconazole은 방법 1에서 0.04-0.06 mg/kg, 방법 2에서 0.02 mg/kg 수준으로 잔류하였고, thifluzamide의 잔류수준은 방법 1에서 0.01-0.04 mg/kg, 방법 2에서 정량한계(0.01 mg/kg) 이하였다. 같은 시기의 상추 하엽 중 hexaconazole의 최대값은 0.06 mg/kg으로 전체 잎 0.04 mg/kg의 2배 수준 이내이며, thifluzamide의 최대값 0.04 mg/kg은 전체 잎 0.02 mg/kg의 2배 수준이었다. 시험 결과로 보아 입제 농약을 토양에 혼화하는 경운 깊이가 작물 중 잔류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바멕틴과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수간주입 시기에 따른 잔류량과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대한 예방 효과 = Residual amounts of trunk-injected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and their control efficacy on pine wood nematode, Bursaphlenchus xylophilus according to the injection time to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이상명, 정영학, 서상태, 김동수, 이동운 p. 255-262

보기
약초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오경열, 정동규, 송영훈, 이득영, 이동열, 최근형, 김세리, 김진효 p. 263-275

보기
농업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carbofuran 분해 세균 Bacillus amyloliquefaciens DYC2-1의 특성 /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furan-degrading bacteria, Bacillus amyloliquefaciens DYC2-1 from agricultural soil 임지환, 박해성, 서선일, 김주은, 김정은, 이철원, 김평일 p. 276-286

보기
충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주성분의 분류 체계 설정 =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of major ingredients in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associated with insect pest control 권덕호, 곽가연, 원설묵, 김미현, 최효준, 안율균, 홍규현, 권해연, 박윤미 p. 287-304

보기
Dimethoate의 뿔가위벌(Osmia pedicornis) 급성 접촉 및 섭식독성평가 = Acute contact and oral toxicity of dimethoate for Osmia pedicornis 전경미, 김주영, 김보선, 윤창영, 오진아, 박홍현, 윤형주 p. 305-315

보기
썩덩나무노린재, 풀색노린재 및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16종 약제의 접촉독성 및 잔효성 = Contact and residual toxicities of 16 insecticides against three stink bugs (Halyomorpha halys, Nezara antennata and Riptortus pedestris) 박성빈, 홍동환, 엄태일 , 강열규, 이진아, 구현나, 이휘종, 김길하 p. 316-323

보기
2020년 국내 비래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약제 저항성 점 돌연변이 조사 = Monitoring of resistant-associated point mutations in the migratory planthoppers Nilaparvata lugens and Sogatella furcifera (Hemiptera: Delphacidae) in Korea, 2020 신은경, 강열규, 정수연, 나진호, 구현나, 김길하 p. 324-332

보기
농산물에서 분리한 무름병균의 항생제 최소 억제농도 조사 =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Pectobacterium spp. isolated from agricultural produce 김다운, 김나예슬, 김채린, 정명인, 오광교, 김보은, 류재기, 정지은, 지삼녀, 류경열 p. 333-342

보기
수박 덩굴쪼김병과 오이 근경썩음병에 대한 살균제의 방제 효과 = Control effects of fungicides against fusarium wilt on watermelon and crown and foot rot on cucumber 한유경, 백창기, 박미정, 월터빈두민, 박종한, 배영석 p. 343-352

보기
농약의 미꾸리 노출 시나리오 및 위해성 평가법 개선 연구 = Improvements of pesticide exposure scenario and risk assessment method for mudfish 오진아, 함성남, 박연기, 이슬, 전경미, 윤창영, 박홍현 p. 353-362

보기
농약의 피부감작성 평가를 위한 인체 세포주 활성화법 (human Cell Line Activation Test) 조건 확립 = Establishment of Human Cell Line Activation Test(h-CLAT) conditions for skin sensitization assessment of pesticides 이명지, 박수진, 임정현, 박연기, 신지영, 박혜진 p. 363-370

보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에마멕틴 벤조에이트의 나무주사 시기와 천공수에 따른 약효와 잔류량 비교 = Comparison of nematicidal effect and residual amount by injection time and number of holes using emamectin benzoate via tree injection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이상명, 정영학, 서상태, 김동수, 이동운 p. 371-378

보기
파프리카 품종에 따른 fluopyram과 metrafenone의 잔류특성 = Residual characteristics of fluopyram and metrafenone in sweet pepper caused by cultivars 신희정, 김창조, 노현호, 김택겸, 오민석, 이은영, 경기성, 김단비 p. 379-389

보기
입제 농약 처리 후 토양 혼화깊이에 따른 상추 중 hexaconazole, thifluzamide 잔류량 비교 = Effect of the tillage depth after granular pesticide application on the residue of hexaconazole and thifluzamide in lettuce 손경애, 김찬섭, 이은영, 이희동, 박성은, 이지원, 김이선, 박지호, 박정훤, 김윤한 p. 390-398

보기
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 tenuis)와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의 길드 내 포식과 식물 휘발성물질이 이에 미치는 영향 = Intraguild predation between Nesidiocoris tenuis and Orius strigicollis and effects of plant volatiles on the interaction 임호준, 최병렬, 서미자 p. 399-406

보기
세척방법에 따른 농산물 중 Dithiocarbamate계 농약 Mancozeb의 잔류농약 제거효과 = Removal effect of dithiocarbamates pesticide (mancozeb)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washing methods 박은성, 안윤정, 한욱, 이윤정, 김효경 p. 407-414

보기
갯기름나물 중 살균제 Azoxystrobin, Fluxapyroxad, Penthiopyrad의 잔류 특성 = Residual characteristics of fungicides azoxystrobin, fluxapyroxad, and penthiopyrad on Peucedanum japonicum Thunb 김영진, 송종욱, 최성길, 김종환 p. 415-424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