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외국인 유학생 대상 플립드 러닝 기반의 온라인 토론 수업 사례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a flipped learning-based online discussion class case and its effectiveness / 류선숙 ; 안정호 ; 허유경 ; 임형옥 1

초록 1

[목차] 1

1. 서론 2

2. 이론적 배경 2

3. 온라인 토론 수업의 적용 사례 5

3.1. 수업 설계 5

3.2. 수업 적용 대상 및 절차 7

4.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9

4.1. 조사 개요 9

4.2. 조사 결과 및 해석 10

5. 결론 13

참고문헌 14

Abstract 16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표는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온라인 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 단계는 ‘사전 학습 – 본 학습 – 심화 학습’의 3단계로 구성된다.

‘사전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대학생으로서 알아야 할 기본 교양지식을 학습한 다음, 스스로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주체적으로 주제를 이해한다. ‘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교수자의 미니 강의와, 학습자들끼리 협력 학습을 통해 질문을 해결하고 토론 논제를 분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조별로 토론을 수행하며, 결과를 공유한다. ‘심화 학습’은 교수자의 피드백과 성찰 저널 작성을 통해 전체 과정을 반성적으로 평가하며 학습 결과를 내면화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업 방식을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숙달도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지식을 함양하고 토론 능력을 신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만, 초급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언어적 자원이 부족하여 중⋅고급 학습자들에 비해 만족도가 다소 떨어졌다. 향후에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유교육은 어떻게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가 : How liberal education makes humans free : historical review of competence based liberal education to advocate for liberal education / 자유교육 옹호를 위한 역량기반자유교육의 역사적 검토 한수영 p. 11-22

보기
횡단적,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교양학 정립을 위한 역사적 접근 : A historical approach to establishing liberal arts and sciences(LAS) as transdisciplinary and practical science : a study on the possiblity and condition for academic identity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 교양의 학문적 정체성 수립을 위한 가능성과 조건 탐구 정연재 p. 23-34

보기
핵심역량 함양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부생들의 협력 경험에 대한 연구 : Study of the experience of cooper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ivation of key competencies :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high-performer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based on the POD class model / POD 수업 모델을 활용한 교양강좌 우수참여자들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조현명 p. 37-56

보기
교양기초교육으로서 양적추론(Quantitative Reasoning) 교과의 학습 구성 요소 분석 = Analysis of learning components of quantitative reasoning in the core curriculum 김혜영 p. 57-70

보기
대학 기초 과학 수업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도입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고찰 : Exploratory study for introducing and applying an AI-based intelligent learning system on basic science : focusing on general chemistry class case / 일반화학 수업 사례 중심으로 황은경, 신종호 p. 71-86

보기
다름을 대하는 두 가지 관점과 이에 대한 교양교육의 역할 제고 = Two understandings of difference and the role of general education 박준웅 p. 88-101

보기
질문 생성을 위한 단계별 읽기 구성 방안 : Teaching methods of reading for the creation of questions : <Reading Masterpiece> focused on cases of Greek tragedy class / <명저읽기> 그리스 비극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미 p. 103-114

보기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대학 글쓰기 수업에 관한 자전적 사례 연구 : An autobiographical case study on university's writing class operated in a synchronous online manner :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reflection of instructors through the subject of writing and classical reading at the University of Suwon / 수원대학교 '글쓰기와 고전읽기' 과목을 통한 교수자의 인식 및 성찰을 중심으로 양수연, 김혜진 p. 115-134

보기
비대면 글쓰기 피드백 특질 및 방향성 탐구 = The online writing feedback : distinctive features and directions 곽수범 p. 135-146

보기
생활윤리 실천중심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의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ethics of life practice : case study in S university / S 대학 사례 연구 문정화, 김은경 p. 147-161

보기
바롬인성교육에 나타난 사회혁신가 자질 요소 분석 = Analysis of social innovator attributes in Bahrom character education 원미순, 김수영, 윤수진 p. 164-178

보기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지역사회 연계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present and future task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for liberal arts education in college 최연화, 최경애 p. 179-190

보기
기관-대학 협업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 실제 : The actual operation of an institution-university collaboration extracurricular liberal arts program : focusing on local community problem-solving living lab activities cases /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임수경 p. 191-204

보기
팔로워십을 활용한 리더십 교양교육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leadership and liberal arts education using "followership" programs : case of approaching a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의 접근 사례 장제욱 p. 205-219

보기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through university liberal arts : focused on cases of "Media Literacy and Creative Communication" / <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의적 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용 p. 221-236

보기
코로나 비대면 시대 교양영어 수업 방식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EFL learners' perception of college general English class type in the COVID-19 non-contact era 이보경 p. 238-250

보기
Korean student perceptions of a CANVAS based EFL class during COVID-19 : COVID-19 중 의 캔버스 기반 EFL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사례연구 / a case study Andrew Richards, Stuart Jones p. 265-285

보기
대학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and their effect on satisfaction 서일보 p. 288-299

보기
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연구 :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 focusing on the case of I university students / I 대학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이경자, 유정민 p. 301-318

보기
외국인 유학생 대상 플립드 러닝 기반의 온라인 토론 수업 사례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a flipped learning-based online discussion class case and its effectiveness 류선숙, 안정호, 허유경, 임형옥 p. 320-334

보기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에서 대면과 비대면 수업 상황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class situations in two different instructional designs of flipped learning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임이랑, 간진숙, 김주연, 김연희 p. 335-349

보기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 개발 역량 분석 연구 = A study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김지혜 p. 352-365

보기
교육대학에서 교양 경제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 How to teach economics as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최은경 p. 367-381

보기
대학 영어비교과프로그램에 나타난 영어학습에 대한 요구 = Revealing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studying English in an extracurricular program 강현숙 p. 251-264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