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 “세기 전환기 ‘여성성’에 관한 고찰 – 루 살로메의 「여성으로서의 인간」을 통해 살펴본 여성의 섹슈얼리티”에서는 세기 전환기에 전개된 ‘여성성’의 논의와 루 살로메의 여성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그녀의 논문 「여성으로서의 인간」을 분석함으로써 여성의 섹슈얼리티 및 당대 여성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루 살로메의 입장을 살펴볼 것이다. 「여성으로서의 인간」은 루 살로메의 여성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에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00년 전후 ‘여성’에 관한 논의들이 어떠한지 고찰하고, 특히 세기 전환기에 독립적인 여성의 삶을 보여준 루 살로메와 그녀의 논문 「여성으로서의 인간」이 함의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FLEX 독일어 항상성 연구 : Zur Konsistenz und Stabilität des standardisierten FLEX-Hörverständnistestes : Eine probabilistische Analyse anhand der Item-Response-Theorie / 듣기영역 문항의 변별도와 난이도를 중심으로 유덕근 p. 7-36
독어, 영어, 불어의 상승구조 비교연구 = Eine vergleichende Studie der Anhebungskonstruktionen im Deutschen, Englischen und Französischen : 문법관계의 투명도, 주제화 및 어순변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성상환, 이창주, 박수진, 최윤지 p. 39-66
‘아름다운’ 노동에 대한 디스토피아 : Dystopia an der schönen Arbeit : Nicht Fisch nicht Fleisch von F.K. Kroetz / 크뢰츠의 극작품 『이도 저도 아니다』 연구 김화임 p. 69-89
(Das) Rhythmische in der Übersetzung : Am Beispiel der koreanischen Übersetzungen von Robert Walsers Prosatexten Ahn, Mi-Hyun p. 91-110

(Die) filmische Adaption des Märchens Hänsel und Gretel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Transmedialität Lee, Sinae p. 111-130
엘리자베스 랑개써의 『휴가철 시작』 연구 = Eine Studie über die Kurzgeschichte Saisonbeginn von Elisabeth Langgässer 이화영 p. 131-143
독일 68혁명과 교육개혁 = Die 68er Revolution und die Bildungsreform in Deutschland 김누리 p. 147-179
아동연극 교육의 혁신 모델 : Innovatives Modell der Theaterpädagogik für Kinder : Analyse von Walter Benjamins Programm eines proletarischen Kindertheaters / 발터 벤야민의 「프롤레타리아 아동연극 프로그램」 분석 김효진 p. 181-207
독일 통일 후 구동독(신연방주) 직업교육훈련의 변화 : Eine Studie zum Wandel der berufsbildung in Ostdeutschland nach der Wiedervereinigung : Fokus auf die 1990er Jahre / 1990년대를 중심으로 유진영 p. 229-250
독일어 교육을 위한 지역학 주제로서 독일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천 =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gesellschaftlichen Stellung der Frauen in Deutschland als Thema der Landeskunde im DaF-Unterricht 현희 p. 251-274
세기 전환기 ‘여성성’에 관한 고찰 : Die Betrachtung der ‘Weiblichkeit’ der Jahrhundertwende : Weiblichkeit in Der Mensch als Weib von Lou Andreas-Salomé / 루 살로메의 「여성으로서의 인간」을 통해 살펴본 여성의 섹슈얼리티 송희영 p. 209-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