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콘텐츠로서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의 특징을 이해하고 영상에 내재 되어 있는 한국문화 내용을 파악한 후 이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세계적으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영상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은 한국 홍보영상이며 판소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문화콘텐츠이다.

본 연구에서는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영상’과 ‘판소리’로 나누어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틀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영상 속에 담긴 한국의 대표 문화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통 판소리의 구성요소에 따라 밴드 [이날치]에 의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판소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튜브 플랫폼에서 리뷰, 패러디되고 있는 밈 문화 현상을 판소리의 향유방식과 비교하여 판소리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모형을 구성한 후에는 이 모형에 따라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활용한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문화 수업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문화콘텐츠에 내재 된 한국문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들은 낯설고 접근하기 어려운 판소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문화콘텐츠를 접하고 소통하며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타 문화를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로나19시기 인류학 강좌로서 비대면 다문화 교양 수업의 설계와 실제 = Design and practice of non-face-to-face multicultural liberal arts class as an anthropology course during the COVID-19 era 신난희 p. 1-25

다문화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and related variables 김민선 p. 27-53

다문화사회의 헬스케어를 위한 건강복지통합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onstruction of health welfare integration systems for healthca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박병권 p. 55-67
다문화 대안학교로서의 인천한누리학교 통합교육 구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egrated education concept for Incheon Hannuri School as a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김영순, 최승은, 최수안, 김은희 p. 69-96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부적응 경험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 = Christian counseling pla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s of social maladjustment 백별아, 민장배 p. 97-118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of adolescent immigrants 서은주, 차승은 p. 119-14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지각된 한국어 수준(한국어 효능감)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Korean language efficacy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children's self-esteem 박혜숙 p. 143-167
상호문화교육관점에서 설화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 연구 : A study on cultural identity in folktal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Mongolian animal tales / 몽골의 동물 설화를 중심으로 오정미 p. 169-187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 개신교 선교사의 자녀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education for children of Protestant missionary in Korea working abroad 박미숙 p. 189-215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동화 활용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vocabulary educational methods of using fairy tales to teach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the tactile adjectives / 촉각 형용사를 중심으로 문희진, 손경애 p. 217-239
중국 실업계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동기, 전공 만족도 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cademic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engagement of Chines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Zhao Jing, 안도희 p. 241-269
대학생의 그릿, Good Job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llege students' grit and good job percep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Korean and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 한국과 대만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주희 p. 271-297
북한 문화예술의 장르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in North Korea : focus on "detective story" / "정탐물"을 중심으로 김미나 p. 299-324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중심으로 이효신, 윤영 p. 325-358

초등돌봄과 지자체돌봄의 운영실태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 and the municipality care 신기왕, 양애경, 정현용 p. 359-383
지역사회 시민참여(Civic engagement) 공간으로서 미술관의 역할 = A study of the art museum as a space for civic engagement in the local community 박진서, 홍아정 p. 385-411
설화 리텔링을 통한 자기탐색과 자기이해 = A study of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retelling of regional tale 조성미, 유강하, 고혜진, 이소정, 김학찬 p. 413-437
마을공동체 여성 참여자들의 미디어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dia activity experience of village community participants : focusing on the devices and secularization strategies of Agamben / 아감벤의 '장치'와 '세속화 전략'을 중심으로 김경은, 강진숙 p. 439-466
산림 환경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n forest-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S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정세명 p. 467-488

심리상담센터의 지역사회 역할 및 협력 방안 = The role and cooperation plan of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in the local community 박기영, 송진영 p. 489-509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 공감연구의 체계적 문헌분석 = A systematic review on empathy studi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이은아, 오영섭 p. 511-536
공감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empathy-related programs 유희수, 윤수진 p. 537-560
예술 창작을 통한 감정의 승화 : Sublimation of emotions through art creation : focusing on <Verklärte Nacht> / <정화된 밤>에 대한 소고 김수아 p. 561-579
학업저성취자를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academic probations : A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경, 손민, 권미애 p. 58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