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미디어 생태계 내에서 주체적인 문화적 실천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문학교육의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축적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댓글시에 주목하였다. 댓글시는 인터넷 기반 소통 환경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공개된 원문(기사문)에 대한 대화적 반응으로서의 시 텍스트이다. 이 연구에서 댓글시의 문학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댓글이라는 글쓰기 공간이 실제적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소통 환경 속에서 기능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댓글이라는 쓰기 공간에서 시를 쓰는 것은 별도의 탈맥락적 과제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생태적 소통 환경 속에서 1차 텍스트인 기사문을 매개로 하여 실제적 소통의 행위로 수행 가능하다. 다른 하나는 댓글시가, 기사문 텍스트에서 분기 가능한 다양한 주체의 목소리들이 다성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댓글시는 특정 텍스트 내에 국한되어 존재하는 다양한 목소리라기보다 문학 생산과 수용에 참여하는 문학 향유 주체들의 다양한 목소리들이 대화적으로 출현 가능한 문학적 실천이라는 점에서 유의미한 문학 교육 활동으로 자리매김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 교육에서 현실 대응 태도를 다루는 방식의 전환을 위한 고찰 : A study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way of dealing with attitudes toward reality in poetry education : focusing on the versatility of language project that appeared in poems at the end of Japanese occupation / 일제 말기 시에 나타나는 언어 기획의 다기성(多岐性)을 중심으로 강민규 p. 7-56

말놀이 동시의 효용적 가치와 초기 문해력 교육 = Effective value of wordplay children's poetry and early literacy education 김미혜 p. 57-87

놀이의 세계와 미래사회의 문학교육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world of play and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김상한 p. 89-112

한국 문학교육에서 문학 문식성과 자국어 교육 경험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ry literacy and native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focused on the meaning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by Chinese learners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의미 구성 양상을 중심으로 김소연 p. 113-147

춘향 이미지 융합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s of convergence education on Chunhyang image : focusing on Chunhyang expressed in literature and art / 문학과 미술에 표현된 춘향을 중심으로 서명희, 송미숙 p. 149-189

고전소설 다시쓰기에서 '저자적 독자'의 양상과 국어교육적 의미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authorial audience' in rewriting Korean classical novel : focus on the YouTube channel of <Chunhyangjeon> / 유튜브의 <열녀춘향수절가> 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서보영 p. 191-222

북한의 시 교육 연구 : A study of poetry education in North Korea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 초급중학교와 고급중학교 교과서의 작품과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이경화, 김정우 p. 223-255

소설 교육에서 학습자의 인물 해석 과정에 관한 재고 = Reconsideration of learners' character interpretation process in Korean classical novel education : '인물 해석소'를 중심으로 이상일 p. 257-283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댓글시'에 대한 문학교육적 탐색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ment poetry'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in the literary education 정정순 p. 285-308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 탐구 역량의 문학교육적 탐색 = Literature education exploration of material inquiry competency for problem solving 황예인, 최홍원 p. 309-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