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자녀의 출산 및 양육은 경제적인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경제적인 상황은 일자리와 연관이 있으므로 일자리는 출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고착화되어 가는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일자리와 관련된 요인들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저출산 대응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남편은 일자리가 안정적이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이 본인의 첫째 자녀 출산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내의 경우 자녀 한 명은 낳고 싶은 욕구로 인하여 일을 하는 경우에도 첫째 자녀 출산 의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둘째 자녀(이상)의 경우에는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더라도 크게 부담이 없거나 업무 시간에 비교적 유연성이 있는 비정규직의 경우에 출산 의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남편의 직장이 가족친화적인 경우에도 출산 의향이 높아졌다. 따라서 출산 의향은 안정적인 일자리와 양(+)의 관계를 가지나, 이러한 양상은 남편과 아내의 일자리 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출생순위별로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통하여 자녀 양육이 가능할 정도의 소득과 일자리 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출산 의향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의미하며, 결론부에서는 그 일환으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완화를 위한 정책(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의 구축,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족친화제도의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인장기요양 공급 특성이 수요 유발에 미치는 효과 분석 = Effect of long-term care supply characteristics on induced demand : 선형패널분석을 통한 공급자의 수요자 발굴 현상 분석을 중심으로 서종근, 이한기, 이서윤, 왕영민 p. 8-25

지역사회 거주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 유형화 연구 =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unmet healthcare needs influencing factors for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한상윤, 남석인 p. 26-43

사회적 네트워크가 고령장애인의 주관적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changes in the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social networks : focusing on physical and sensory disabilities / 신체 및 감각장애인을 중심으로 임수경 p. 44-61

노인구강건강과 우울 수준의 연관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old-age oral health and depression levels 김세연, 김재현 p. 62-71

중·고령자의 인터넷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analysi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 model /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 결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엄사랑, 신혜리, 김영선 p. 72-87

노인1인가구의 여가활동 유형 및 여가동반자 유형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type of leisure companion on leisur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 성별차이의 탐색 황혜선, 이윤석 p. 88-107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 Smart home service use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areas 백옥미, 홍석호, 이미영, 장은하 p. 108-127

사회자본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elderly suicide rate 이태호, 허순임 p. 128-146

한국형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Suicide Literacy)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Korean suicide literacy scale 안순태, 이하나 p. 147-166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종단적 관계 검증 : A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disabled people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comparison by gender and age groups / 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른 비교 박병선, 배성우 p. 167-186

도박중독자에서 동료지원자로 : From gambling addicts to peer supporters : focusing on the internship experience in recovering addicts / 회복자인턴 경험을 중심으로 장정은, 전종설 p. 187-206

소아청소년암 생존자의 운동 경험과 운동 제약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ercise experience and perceived exercise barrier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김지영, 연수진, 변지용, 유사무엘, 유철주, 전용관 p. 207-224

훈육과 학대의 경계 : The line between abuse and discipline : exploring our own definition of corporal punishment by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살펴본 자신과 타인의 체벌 기준 정규희, 김희송, 김종한, 양경무, 최인석, 박재홍 p. 225-242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종단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latent growth modeling 이진선, 오종철, 강영숙 p. 243-261

일자리 관련 요인과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job stability and policy response to low fertility rate in Korea 조성호, 문승현 p. 262-279

결혼지위와 결혼만족도가 건강과 갖는 관계 : Marital status, marital satisfaction, and health :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age and income / 연령 및 소득과의 상호작용 효과 김진영 p. 280-294

간호조무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Nursing assistants' work-life balance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나라, 김일옥 p. 295-312

항공사 해고노동자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fe of dismissed airline workers : focused on the dismissal experience of low-cost carrier cockpit crew / 저비용항공사 운항승무원의 해고경험을 중심으로 김현숙, 강준혁, 이혁구 p. 313-333

인권관점 사회복지실천 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The effectiveness of a human rights-based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at senior welfare centers /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이민홍 p. 334-348

중국 사회사업(Social Work)의 특징 및 형성과정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ocess of social work in China He, Zhifeng, 류동, 이준영 p. 349-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