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일반적으로 불멸(不滅)은 ‘없어지거나 사라지지 아니함’으로 의미한다. 북한에서는 불멸을 어떤 업적이나 사실이 영원히 없어지지 않고 길이길이 빛나는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북한에서 불멸은 특정 역사적 사건, 정신, 인물, 장소, 건축물, 문화적 자산, 관계, 업적 등에 대한 헌사로 쓰인다. 이 글에서는 북한이 불멸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하면서 불멸의 활용을 통해 김일성 시기와 김정일 시기의위상과 내용의 변화과정을 검토하고 총서 ≪불멸의 력사≫, ≪불멸의 향도≫, ≪불멸의 려정≫과 수령형상문학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북한에서 ‘불멸’의 활용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가 차이를 보인다. 김일성시대가 ‘불멸’이라는 용어가 인민들에게 주는 헌사였다면, 김정일 시대에 와서는 개인인 김일성을 위한 헌사가 되어 버린다. 그리고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렇게 집단이 아닌 개인에 대한 찬사로 쓰이기 시작한 시기가 북한이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주체사상으로 사상 전환을 하는 시기와 맞물려 있는 점이다. 이를 시작으로 1970년 레닌에게 ‘불멸’이라는 용어를 헌사로 사용한 이후 사상과 수령과 지도자, 총비서인 김정은을 연상시키는 용어가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김정은 시대에 와서 불멸의 활용 김일성-김정일 시대보다 그 범위를 확장해하고 있는 양상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주의적 불멸과 영생 : Socialist immortality and eternal life : based on North Korea's series Immortal History, Immortal Guide, Immortal Journey and the Su Lyeong Figurative Literature Our Sky / 북한의 총서 『불멸의 력사』, 『불멸의 향도』, 『불멸의 려정』과 수령형상문학 『우리의 하늘』을 중심으로 김은정 p. 5-30

문학평론가에서 소설가로 : From literary critic to novelist : focused on Proust's book review and prefaces / 프루스트의 서평, 서문을 중심으로 유예진 p. 31-53

『風月機關』 작가 고찰 = Analyzing the author of 『FengYueJiGuan(風月機關)』 권호종, 이봉상 p. 55-74

존 단의 형이상학적 컨시트를 통한 이성과 감정의 결합 : John Donne's integration of reason with feeling by metaphysical conceit : "The Flea," "A Valediction: Forbidding Mourning," and "The Sun Rising" / 「벼룩」, 「고별사: 슬픔을 금지」, 「떠오르는 태양」 홍승현 p. 75-97

나를 도와주는 타자로서의 나 : Myself as the other helping the ego : analysis of doppelganger and self-reflection in Peter Handke's Short Letter, Long Farewell / 페터 한트케의 『긴 이별에 대한 짧은 편지』에 나타난 도플갱어와 자기반영의 문제 유현주 p. 99-118

얀 네루다의 「백합 세 송이」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space in Jan Neruda's At the Three Lilies 유선비 p. 119-140

끄리스또발 꼴론의 『항해일지』에 나타난 아메리카의 자연과 식민주의적 탐색 = The nature of Latin America and the colonial exploration represented in Diario de a bordo of Christopher Columbus 조구호 p. 141-168

집과 혁명 : House and revolution : a study on the Uzbekistan film 2000 Songs of Farida / 우즈베키스탄 영화 《파리다의 노래》 연구 홍상우 p. 169-191

프랑수아 모리악의 작품 속 바로크적 성격 = The Baroque character in the works of François Mauriac 김모세 p. 193-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