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金庸 무협소설에 묘사된 시대 배경은 민족 간의 분쟁이 첨예하게 나타나던 시기로 설정되었고, 그 민족 분쟁을 해결하는 사명을 띤 민족 영웅들이 묘사되고 있다. 그 가운데는 자민족의 이익을 위해 강호를 행보했던 인물이 있는가 하면, 자신의 부귀영화를 위해 민족을 저버리는 인물도 있다. 그리고 묘사된 여성들은 남성과 함께 민족 간의 분쟁에 참여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위해 자신의 부귀와 명예는 물론 민족과 국가까지 포기하기도 하였다. 金庸은 또 민족 집단과 지도자의 비교 묘사를 통해 민족관을 표현하기도 하였는데, 이를 한족의 우월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았고, 도리어 상당한 부분에서 소수민족 집단과 지도자의 도덕성과 용맹함을 부각하여 상대적으로 한족 집단의 무능과 부패를 묘사하기도 하였다. 金庸의 무협소설에서 묘사된 민족관은 창작시기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초기의 작품에서는 한족을 중심으로 한 민족관을 보이며, 이후 민족 간에 발생하는 폭정과 전쟁에 반대하는 것을 표현하였고, 중후기에는 모든 민족은 평등하다는 민족관을 표현하였고, 마지막으로 중화민족을 융합하는 민족관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명태의 이명(異名) 고찰 = A review of pollack's different names 곽현숙 p. 127-144

샤오헤이(小黑)의 『여정의 종결(結束的旅程)』 연구 = A study on XiaoHei's The End of The Journey : '작은 문학(small literature)'의 의의를 중심으로 고운선 p. 1-29

记忆与身份认同的文学演示 : A literary demonstration of memory and identity / 1960年代韩国华人华文小说研究 梁楠 p. 31-47

冷戰時期泰國華文文學與香港因素 : A study of the Sino-Thai literature and Hong Kong factor during the Cold War : novels as examples / 以長篇小說為例 翁智琦 p. 49-68

论魁北克华人的"草根"写作 : The "grassroots" writing of Chinese in Quebec : take Sun Snow and Putin's love as research objects / 以『太阳雪』, 『"普丁"的爱情』为研究对象 毕文秀 p. 69-84

『龍崗秦簡』 第11~22簡, 第68簡, 第181簡 연구 = A study of Longgang Qin Bamboo strips 11 to 22, 68 and 181 이소화 p. 85-106

『華東正音通釋韻考』와 『三韻聲彙』의 東音 體系 比較 硏究 = A comparison of the Sino-Korean system between Hwadongjeongeumtongseokunko(華東正音通釋韻考) and Samunseonghui(三韻聲彙) 이현선, 김태은 p. 107-126

漢-알타이諸語 비교로 본 '바다(海)'의 語源 = Comparative study on the etymology of the word '바다(海)' among Sino-Altaic languages 오세준 p. 145-178

'来/去' 구문의 문법화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Lai/Qu' : 'VP+来/去' 구문을 중심으로 김현희 p. 179-198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會'의 의미 분석 = A semantic analysis on the modal verb 'Hui(會)' meaning possibility 이은수 p. 219-240

动词"与"的语义演变考察 = A study on the semantic evolution of the verb 'Yu'(与) 朱紀霞 p. 241-259

新HSK 2·3급 기출문제 분석과 그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new HSK level 2 and 3 tests and their countermeasures 김기범 p. 261-283

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시각 동사 '看'의 원형 의미 연구 방법 및 사용범위 연구 = A study on the original meaning and scope of use of the Chinese visual verb '看' using the corpus 이은민, 고권태 p. 285-301

플랫폼으로서의 중국어교재 설계와 이용방안 = On design and use of Chinese textbooks as a platform 박찬욱 p. 303-333

비대면환경에서의 학습자중심 영상번역수업 사례 연구 : Learner-centered video translation class case study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 focused on class operation case and lecture satisfaction / 수업운영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심지언 p. 335-354

鄭玄 『箋』의 美刺論小考 = A study on the Mei-ci(美刺) of Jian(箋) by Zheng Xuan : 『毛傳』과 비교 조혜진 p. 355-384

『삼국연의』 콘텐츠의 수용과 재해석 = Acceptance and reinterpretation the contents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온라인 커뮤니티의 담론을 중심으로 이민경 p. 385-407

金庸 무협소설에 나타난 민족관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thnic view in Jin Yong's Kung-fu novels 우강식 p. 409-430

새로운 공동체 의식 속 현대적 동아시아 사유 체계의 가능성 = A study on the thinking system of contemporary East Asia 신민준 p. 431-452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성찰 : Reflection on lost time : focusing on Mountains May Depart(山河故人) and Ash Is Purest White(江湖儿女) by Jia Zhangke(贾樟柯) / <山河故人>과 <江湖儿女>를 중심으로 박민수 p. 453-473

건국기념 헌정영화의 새로운 서사전략 : Focusing on new narrative strategy of tribute film found in My people, My country(我和我的祖国) / 「나와 나의 조국(我和我的祖國)」(2019)을 중심으로 이보람 p. 475-500

'어변성룡'형 충자도의 주제 해석 연구 = A study on the theme interpretation of the 'carp turns into dragon'-type 'Chung' word picture 서성 p. 501-522

中國革命派報刊對"安重根義舉"的報道 = Reports on the "Ahn Jung-geun Incident" in Chinese revolutionary newspapers 許盈 p. 523-537

중국 불학원의 설립·운영 현황과 학제 구성의 특징에 대한 고찰 = A re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hinese Buddhist academy and the composition of the academic system 강경구 p. 539-567

拜登政府对华战略的持续与变化 :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the Biden administration's China policy : China's response / 兼谈中国的对应 赵立新, 李丹 p. 569-583

中国对其他金砖国家跨境电商出口贸易的影响因素研究 :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na's cross-border e-commerce export trade with other BRICS countries : empirical analysis based on gravity model / 基于引力模型的实证分析 苑涛, 文哲珠, 常亮 p. 585-606

파라과이 중국계 이민자의 이주 현황과 문화적응 유형 = Acculturation type and situation of Chinese immigration in Paraguay 구경모 p. 607-624

'-더-'와 '来着'의 상적 특징과 양태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uality and modality of '-더-' and '来着' 이길연, 황련화 p. 19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