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과 극복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미래 신종 전염병 발병 시 효과적인 지원을 제안하는데 있다.

방법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코로나19 상황에서 반 운영을 1년 이상 경험한 담임교사로 경력 5년 이상 10년 이하 기준으로성숙단계 보육교사 6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면담은 직접 면담과ZOOM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11일부터 2021년 10월 30일까지 개별 면담을통해 이루어졌다. 질적자료분석 절차에 따라 해석, 코딩, 분류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코로나19로 인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은 ‘거리두기의 이중성’,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작과 마무리는 소독’, ‘보육일과 운영의 어려움’, ‘안전한 집단생활을 위해 집단생활 회피’, ‘보육교사가 코로나19 확진되면 죄인’, ‘어린이집은 이미 ‘위드코로나’, ‘안전보다 중요한 부모 만족 행사’로 나타났고, 극복요인은 ‘소소한 일상’, ‘긍정적인 생각’, ‘비대면으로 자기 계발’, ‘보육교사라서 받은 혜택’, ‘보육교사의 동질감’, ‘기관장의 배려’, ‘바라는 지원’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을 이해하고 극복요인을 알아보면서 미래 신종전염병 발생시 효과적인 지원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영어 교과서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천 연구 = Study on blended learning lesson in English digital textbook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소연, 김정렬 p. 1-15
Curriculum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ub-internship program providing a doctor’s real work experiences = 의사의 실제 업무 경험을 제공하는 서브인턴십 교육과정 개발, 실행, 평가 Sejin Kim, Haeyoung Lee, Sang-Shin Lee, Minjeong Kim p. 251-265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us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박미마 p. 17-28
2019 개정 누리과정 및 현장지원자료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관점 및 활용 분석 = An analysis on early childhood educator candidates’ perspective 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on-site support resources 안부금 p. 29-44
간호대학생의 재난인식과 보호동기 및 재난간호대응·대비역량 = Disaster awareness, protective motivation and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response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박지현, 박주영 p. 45-54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김진영, 이유진 p. 55-67
국가별 평생학습지수 비교 연구 =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competitiveness 김주석 p. 69-85
아동발달지원 목적의 미술-언어 융복합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 연구 = An action research to develop art-language convergence program for the purpose of children's development support 김시정, 양선희, 박윤미 p. 87-102

온실효과 진행 과정과 관련된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개념 구조 분석 = Analysis on the conceptual structure of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related to process of greenhouse effect 조효진, 정덕호, 이철민 p. 103-118
융합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에 대한 초중등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비교 = Comparison of perceptions betwee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on the difficulties of applying the STEAM education 이지원 p. 119-130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chool adaptation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다중매개효과 김윤정, 이진향 p. 131-142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ffice worker 김은빈, 허승희 p. 143-154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 준수의 심리적 어려움 및 극복 방안 :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overcoming methods of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 analyzing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and personality factors /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성격특성에 따른 분석 백근영, 김지현, 김지수 p. 155-177
임상 술기 교육을 위한 동료 지원 학습 및 비디오 평가를 사용한 완전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stery learning course using peer assisted lea[r]ning and video eveluation[실은 evaluation] for clinical skill teaching course 이형석, 김민정 p. 179-192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기탐색 및 또래관계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lf-exploration and improvement of peer-relationship skills of special class adolescents 이수인, 김지은 p. 193-212
대학 성악 학습자의 레퍼토리 확장을 위한 한국가곡 교과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Korean song curriculum for expanding the repertoire of college vocal learners 최선주 p. 213-226
역기능적 상위인지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dysfunctional metacognition 박현숙, 전효정 p. 227-237
피아노 학원 교수자가 경험한 올바른 교수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good teaching methods by piano instructors 고연우 p. 239-250
간호대학생의 웹기반 여성건강간호학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web-based women's health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김희숙, 배경의 p. 267-277
대학의 핵심역량 진단 도구 타당성 검증 : Validation of collegiate core competency assessment : focused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S대학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김현주, 이희화, 이진영 p. 279-292
방과후 초등돌봄 서비스에서의 프로젝트기반 배움(PBL) 운영사례 연구 : Study on field examples of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after-school elementary care service : focused on Our Village Kium Center /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중심으로 홍순혜, 정은주 p. 293-311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김동례 p. 313-327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가 대학생의 학습동기, 수업태도 및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replacement of online lecture on the motivation, attitude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y COVID-19 김경미 p. 329-339
일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무력감과 전공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powerlessness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위옥연, 이지현 p. 341-353
Coh-Metrix를 이용한 초등학교 4~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읽기 영역의 난이도와 연계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difficulty and continuity of English textbook reading in grades 4~6 of elementary school and grade 1 of middle school using Coh-Metrix 윤지현, 김지영 p. 355-372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대학교양으로서의 비교과 교육과정 탐색연구 =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extra curriculum as a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online peer tutoring operation case 추성경, 윤혜경, 변소연 p. 373-385

온라인 미술치료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online art therapy class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nursing students 최봉실, 류현숙 p. 387-398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연구 : Digital communication research as a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based on the YouTube channel’s creator speech analysis / 유튜브 채널의 크리에이터 화법 분석을 기반으로 김윤정 p. 399-422
코로나19로 인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과 극복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sychological anxiety factors and overcoming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due to COVID-19 홍성호, 강혜원, 홍유림, 김주현, 정춘미 p. 423-440
보드게임 놀이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불안 우울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board game play therapy on anxiety, depression, and social skills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지민정, 홍상욱 p. 441-458
기혼여성의 대학원 학업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exploration of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academic experience : focused 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general graduate schools / 일반대학원 교육학과를 중심으로 지미영, 장카이, Song Chaojing, Zhai Lixia, 서영주 p. 459-477

대학생들의 취업을 염두에 둔 자기 홍보용 목적의 자기소개서 쓰기 양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ttern of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for the purpose of self-promotion with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mind : focused on the case of G university and K university / G대학과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주 p. 479-502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ersonality on class by applying the creative and personality program 안종수 p. 503-521
전공 수행 기반 교수학습 설계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educational design model based on major performance learning 이진영, 김현주, 이희화 p. 523-535
유치원 중간관리자가 경험한 국가수준 유치원평가 = Mid-level administrators’s experiences with kindergarten evaluation 양정은 p. 537-545
(An) empirical study on the intervention of receptive music therapy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ess = 대학생의 학습 스트레스에 관한 수용형 음악 치료법의 조정에 대한 실증적 연구 Zheng, KaiYuan, Kou, Heung p. 547-568
기초학력 지도 현황 및 교원 전문성 강화 방안 분석 = Methods for strengthening teachers’ proficiency to improve minimum academic competencies 민윤경 p. 569-590
중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교사지지 및 부모 진로지지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and parent career support o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강재홍, 김진희 p. 591-607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라즈베리파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 Social perception of Raspberry Pi education based on big data 이은상 p. 609-621

영유아 관련 아동학대에 대한 연구동향 : Research trend on child abuse related to infants and children : focusing on research papers in Korean journal from 2011 to September of 2021 / 2011년~2021년 9월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최은정, 김금주 p. 623-639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집단과 낮은 자기애 집단에서 인지적공감이 특성분노와 분노표현 간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in the covert and overt narcissism group and the low narcissistic group 이현라 p. 641-666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 비교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hild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perceptions on coding education 유은영, 김정숙 p. 667-684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and self-regulation 황진, 김경숙 p. 685-700
생태보육 운영 초기에 겪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경험에 대한 포커스 집단 연구 = A focus group study on preschool director and teacher’s experien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안은정, 김성현 p. 701-717
학습자 중심 교수 활동이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teaching on educational gaps 이필남, 홍지인 p. 719-734

Nepal Lamjung 지역 가임기 여성들의 산전관리 인식 및 수행에 관한 연구 = Prenatal care awareness and practice among women of reproductive age at Lamjung City in Nepal 김영숙, 한미영, 김정화 p. 735-746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주희, 이대균 (2021). 코로나19에 따른 놀이중심 교육 운영의 어려움을 통해 발견된 공간이 만들어 낸 놀이 공간. 열린유아교육연구, 26(2), 211-240. 미소장
2 구수연, 최예린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긴급보육의 실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499-514. 미소장
3 김성희, 고진영, 김경철 (202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유아교사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63-265. 미소장
4 명준희, 송지훈, 이혜정 (2021). 코로나19 상황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30(1), 35-44. 미소장
5 박영숙, 박정화, 정현정 (2021).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의 또래 집단활동 통제로 인한 유아발달 분석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5(2), 265-272. 미소장
6 박영아, 조미현 (2020). 어린이집의 코로나-19 대응 현황과어려움에 관한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25, 145-172. 미소장
7 보건복지부 (20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대비어린이집 등 대응요령.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8 보건복지부 (202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유행대비 어린이집용 대응지침 Ⅷ-2판.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9 세계보건기구 (2021). 코로나바이러스 질환(COVID-19) 전염병. https://www.who.int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미소장
10 손희나 (2020). 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과 코로나19에 대한대응방안: 가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연합뉴스 (2020.03.12.). [2보] WHO, 코로나19에 팬데믹 선언. https://m.yna.co.kr/view/AKR20200312002151088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미소장
12 이상순 (20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보육교사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임하진 (2021).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보육환경에서 나타나는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장한송 (2021). 유아의 코로나19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질병관리청 (2021). 감시성과 활용. www.kdca.go.kr/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미소장
16 최예린 (2020).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달라진 어린이집 이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미소장
17 최윤경 (2020). 코로나19 유치원⋅어린이집 대응체계 점검및 현황 분석. 육아정책포럼, 65, 6-19. 미소장
18 최은영 (2020). 유치원⋅어린이집의 코로나19 대응체계 진단 및 과제. 육아정책 Brief, 80. 미소장
19 최은지, 권미량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 교실의 변화와 놀이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 생태유아교육연구, 20(2), 189-218. 미소장
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2021). http://ncov.mohw.go.kr/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미소장
21 한국연구재단 (2014). 연구윤리 실무 매뉴얼집. 10-13. 미소장
22 홍성호, 강혜원, 김애숙, 김유진, 김정숙, 김태정, ... 최선숙(2021).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교사 실습지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1475-1503. 미소장
23 홍성호, 강혜원, 유미림 (2020).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777-807. 미소장
24 황니나 (2021). 코로나19 유행 대비 어린이집용 대응 지침분석. 마이너리티연구, 4(1), 49-65. 미소장
25 Guba, E. G. (1985). The alternative paradigm dialog. In E. G. Guva (Ed.). The paradigm dialog (pp. 379-400).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26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미소장
27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28 Quinones, G., Barnes, M., & Berger, E. (2020). The emotional toll of COVID-19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Retrieved August 6, 2020, from https://thesector.com.au/2020/08/06/the-emotional-toll-of-covid-19-among-ea rly-childhood-educator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