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갈색날개매미충 (R. sublimata)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초정보를 마련하고자 알 기생천적인 날개매미충알벌 (P. ricaniae)의 분포확산 및 월동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은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및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은 서남쪽 평야지대에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갈색날개매미충의 확산에 맞춰 점차 동북쪽 지역으로 발생 범위가 확산하는 경향을 보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야외 기생율은 1~8% 정도로 순천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례, 공주 순으로 나타났다. 날개매미충알벌은 9월부터 갈색날개매미충의 난 속에서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다음 해 6월부터 발육을 시작하여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내한성은 알 상태에서 가장 높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에서 날개매미충알벌 (Phanuromyia ricaniae)의 분포 및 월동 = Distribution and overwintering of Phanuromyia ricaniae (Hemiptera: Platygastroidea), an egg parasitoid of Ricania sublimata(Hemiptera: Ricaniidea), in Korea 전성욱, 공민재, 최병렬, 김지은, 김광호, 서보윤, 이관석, 조점래 p. 407-414

유전자변형 면화 MON757, MON88702, COT67B, GHB811의 동시검출법 개발 = Development of simultaneous detection method for living modified cotton varieties MON757, MON88702, COT67B, and GHB811 김일룡, 설민아, 윤아미, 이중로, 최원균 p. 415-422

Two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s of the genus Belbolla (Nematoda, Enoplida, Enchelidiidae) from a shallow subtidal benthic habitat of the outermost islands of Korea Hyun Soo Rho, Hyo Jin Lee, Heegab Lee, Chang Geun Choi p. 423-434

New records of the genus Chroomonas and two Chroomonas species (Cryptomonadales, Cryptophyceae) from Korean freshwater Hyeon Ju Nam, Miran Kim, Seok Won Jang, Bok Yeon Jo, Eunyoung Moon, Seung Won Nam p. 435-444

CP4 EPSPS 검출을 위한 단클론 항체 생산 =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for CP4 EPSPS detection assays 윤아미, 김일룡, 최원균 p. 445-451

해양 와편모조류 Prorocentrum minimum에 대한 아세트아닐라이드계 제초제 프레틸라클로르의 분자 생물학적 저해 효과 = Molecular physiological inhibitory effects of chloroacetanilide herbicide pretilachlor on marine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nimum 김한솔, 기장서 p. 452-462

Admirandus multicav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Nematoda, Enoplida, Oncholaimidae), a new record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 discover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Korea Hyun Soo Rho, Hyo Jin Lee, Heegab Lee p. 463-470

사료 발효원으로 느타리버섯 종균이 흰점박이꽃무지 생육에 미치는 영향 = Role of oyster mushroom as an alternative fermentation source in the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김미혜, 박장우, 김미정, 박정준 p. 471-478

고추에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scovillei를 검출하기 위한 반선택 배지 = A semi-selective agar medium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causal agent of anthracnose, Colletotrichum scovillei, in chilli pepper 홍성기, 박세근, 최효원, 류현주 p. 479-485

지속적인 야간 저온에 의한 수박 품종별 식물체 생장 및 과실 비대 양상 = Plant growth and fruit enlargement among different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cultivars in continuous chilling night temperature conditions 이옥진, 이희주, 위승환, 김태복, 김상규, 채원병 p. 486-494

급격한 저염분 노출에 따른 참돔 Pagrus major 치어의 단기 행동반응 및 내성 한계에 관한 연구 = Short-term behavioral responses and tolerance limits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fingerlings following sudden low salinity exposure 윤성진 p. 495-506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of the genus Pseudosteineria (Monhysterida: Xyalidae) from a subtidal zone of the East Sea, Korea Hyo Jin Lee, Heegab Lee, Hyun Soo Rho p. 507-514

In situ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Korean salty fermented seafood jeotgal Hyunjun Kim, Yoomin Ahn, Chulhee Park, Eungbin Kim p. 515-522

(A) new crab spider (Araneae; Thomisidae) from Korea Sue Yeon Lee, Jung Sun Yoo, Seung Tae Kim p. 523-525

농지 공간격자 자료의 층화랜덤샘플링 :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design for paddy fields : optimized stratification and sample allocation for effective spatial modeling and mapping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s on agricultural system in Korea / 농업시스템 기후변화 영향 공간모델링을 위한 국내 농지 최적 층화 및 샘플 수 최적화 연구 이민영, 김용은, 홍진솔, 조기종 p. 526-535

Effects of temperature and water management in rice fields on larval growth of Pantala flavescens (Odonata: Libellulidae) Bosomtwe Augustine, Jinu Eo, Myung-Hyun Kim, Min-Kyeong Kim, Soon-Kun Choi, So-Jin Yeob, Jeong-Hwan Bang, Owusu Danquah Eric p. 536-541

제주도 노지재배 감귤원 내 귤굴나방 월동태 구명 = Study on the over-wintering stage of citrus leaf miner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Jeju, Korea 권순화, 신기혜, 문영일, 김동순 p. 542-549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자 기법을 이용한 제조나노입자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지렁이 (Eisenia fetida)의 은과 아연 축적 연구 = Bioaccumulation of Ag and Zn in earthworms (Eisenia fetida) from soil contaminated with Ag and Zn nanoparticles using a radiotracer method 이승하, 이병권 p. 550-558

2021년 이른 가을 남해 서부 해역의 수괴 분포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 특성 = Characteristics on spati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relation to water masses in the western South Sea, Korea in early autumn 2021 윤양호 p. 559-572

New records of five taxa of unarmored and thin-walled dinoflagellates from brackish and coastal waters of Korea Hojoon Choi, Minji Cho, Sunju Kim p. 573-580

근적외선 분광법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메꽃과 (Convolvulaceae) 식물의 분류 = Classification of Convolvulaceae plants using Vis-NIR spectroscopy and machine learning 이용호, 손수인, 홍선희, 김창석, 나채선, 김인순, 장민상, 오영주 p. 581-589

(A) new species of the genus Robertgurneya (Copepoda: Harpacticoida: Miraciidae) from the East Sea of Korea Hyun Woo Bang p. 59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