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폐광지역은 사람들의 인식에 아직도 쇠락한 도시와 낙후된 인프라, 도박의 도시라는 어두운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이는 도시의 이미지를 새롭게 변화시키기보다는 시설 투자와 재정지원에 중점을 준 지원책의 한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겠다.
오늘날 지자체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에서 도시브랜드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폐광지역의 도시 브랜딩은 그 어느 지역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도약기에 들어선 폐광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에 맞는 브랜드 전략 수립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광 이후 급속도로 쇠퇴한 강원도 4개(정선, 태백, 영월, 삼척)폐광지역의 중장기 핵심과제에 따른 브랜드 포지셔닝 분석 모형을 통해 각 지역의 특색과 정체성,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콘텐츠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별 브랜드 포지셔닝의 방향성이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브랜드 구축보다는 환경과 기반시설 투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기존 사업의 방향성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폐광지역의 도시브랜드 포지셔닝은 ‘폐광’의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한 시도로 활용되어야 하며, 각 지역별 컨셉에 맞는 스토리텔링 개발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