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폐광지역은 사람들의 인식에 아직도 쇠락한 도시와 낙후된 인프라, 도박의 도시라는 어두운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이는 도시의 이미지를 새롭게 변화시키기보다는 시설 투자와 재정지원에 중점을 준 지원책의 한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겠다.

오늘날 지자체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에서 도시브랜드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폐광지역의 도시 브랜딩은 그 어느 지역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도약기에 들어선 폐광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에 맞는 브랜드 전략 수립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광 이후 급속도로 쇠퇴한 강원도 4개(정선, 태백, 영월, 삼척)폐광지역의 중장기 핵심과제에 따른 브랜드 포지셔닝 분석 모형을 통해 각 지역의 특색과 정체성,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콘텐츠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별 브랜드 포지셔닝의 방향성이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브랜드 구축보다는 환경과 기반시설 투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기존 사업의 방향성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폐광지역의 도시브랜드 포지셔닝은 ‘폐광’의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한 시도로 활용되어야 하며, 각 지역별 컨셉에 맞는 스토리텔링 개발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주얼 메타포를 활용한 정보 시각화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visual metaphors : focused on Nigel Holmes' infographics / 나이젤 홈즈의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박혜진 p. 5-16
보드게임의 시각 기호에 관한 고찰 : A review on the visual signs of board games : focusing on the age corresponding to the 2nd preoperational stage in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중 전조작기 2단계에 해당하는 연령층을 중심으로 최지혜, 이철 p. 17-28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웹컬러 활용에 관한 시계열 분석 : Time series study on the web colors applied for brand identity : tracking global brand website / 글로벌 브랜드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공현희 p. 29-39
더 히스토리 오브 후 화장품 브랜드 용기 디자인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nge of cosmetics brand container of "The History of Whoo" 류영복, 신재욱 p. 41-48
성공적인 도시 브랜딩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ccessful building of city branding : focusing on the cases of local government CI and Gangnam-gu style brand in Seoul / 서울시 지자체 CI와 강남구 Style brand 사례를 중심으로 박영주 p. 49-60
정보 시각화의 요소에 따른 전통시장 종합안내판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raditional market comprehensive information board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 focusing on the cases of four traditional markets in Jeongseon-gun, Gangwon-do / 강원도 정선군 4개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김소영, 이은주 p. 61-71
비상소화장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Research on illustration for emergency fire extinguishers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illustrations for emergency fire extinguishers in East Sea coast forests adjacent villages, Gangwon Province / 강원도 동해안 산림인접마을 비상소화장치 일러스트레이션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정, 이철 p. 73-83
예술장르 전환과정에서의 창의성 연구 : A study on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art genres :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literary texts into visual art / 문학텍스트의 시각예술화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유주 p. 85-97
필립 거스턴 작품 연구 = A study of Philip Guston 전희수 p. 99-110
안티에이징 광고포스터의 신화구조 = Roland Barthes' myth structure in anti-aging commercials 강한나 p. 121-131
강원도 초등학교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시대별 심볼마크 표현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ymbol marks by generation, reflecting the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in Gangwon-do : the center of 6 cities and countries[실은 countie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Yeongseo, Gangwon-do / 강원도 영서북부지역 6개 시·군 중심 최현수, 이은주 p. 133-143
새치샴푸 용기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analysis of white-hair shampoo containers 강용원 p. 145-153
플렉서블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 Flexible city brand identity : analysis of the visual identity of metropolitan and basic local governments / 강원도와 도내 기초지자체의 심벌마크 분석 이철 p. 155-164
디자인방법론을 활용한 무생물캐릭터의 시각화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visualization of inanimate object character using design methodology : focused on the picture book for character education The Fox and the Tooting Bear / 인성그림책 『요요요 방귀대장아!』를 중심으로 사카베 히토미 p. 165-174
강원도 폐광지역 도시브랜드 포지셔닝 : A study on the positioning of urban brands in abandoned mine areas : with Jeongseon, Taebaek, Yeongwol, and Samcheok at the center / 정선, 태백, 영월, 삼척을 중심으로 김소영, 이철 p. 175-184
디자인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using design :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김민송, 김정희, 송영, 김정열 p. 185-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