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건축 타일용 Effect(Sinking, Matt, Glossy) 세라믹 잉크의 제조 및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ffect(sinking, matt, glossy) ceramic ink for architectural tiles / 조성진 ; 하진욱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2. 실험방법 2
2.1. 세라믹 잉크의 제조 방법 2
2.2. 세라믹 잉크의 물성(점도, 점도안정성, 표면장력) 측정 방법 2
2.3. 세라믹 잉크의 토출 특성 평가 2
2.4. 세라믹 잉크의 타일 적용 평가 3
3. 결과 및 고찰 3
3.1. 세라믹 잉크의 물성 측정 결과 3
3.2. drop 형성 거리 측정 결과 3
3.3. Volume uniformity의 측정 결과 4
3.4. 세라믹 잉크의 pattern printing 결과 4
3.5. 세라믹 잉크의 Ohnesorge number(Oh)계산 4
3.6. Glossy, Matt 세라믹 잉크의 타일 적용 결과 4
3.7. Sinking 세라믹 잉크의 타일 적용 결과 5
4. 결론 5
References 6
[저자소개] 6
최근 소비자의 감성 소비 증가로부터 고선명도 이미지 구현과 함께 입체적 표현까지도 가능한 Effect 세라믹 잉크의 개발이 시도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세라믹 안료 제조업체(HANIL Corp.)에서 개발된 V2O5-Bi2O3(Sinking), SiO2-Al2O3(Matt), SiO2-ZnO-Bi2O3(Glossy) 조성의 Effect 세라믹 안료를 이용하여 질감 및 광택 구현이 가능한 건축 타일용 세라믹 잉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잉크는 잉크젯 프린팅 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잉크의 물성, 토출성 및 타일 적용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Effect 세라믹 잉크의 물성은 입도(d50) 300 nm 이하, 점도(η50℃) 14.3~14.6 cps, 점도안정성(Δ%) ±3 % 이내, 표면장력(σ) 28.12~28.35 mN/m로 측정되었다. 토출성의 평가는 drop 형성 거리 495~524 ㎛, Volume uniformity 5 % 미만, 헤드 노즐의 크기가 55, 30 ㎛일 때, Ohnesorge number(Oh)의 역수(Z)는 각각 2.85~3.22, 2.13~2.38로 토출성 기준에 만족하였다. 또한, Effect 잉크의 특성을 타일에 적용하였을 때, Glossy 타일의 광택도(60°) 90.5 GU, Matt 타일의 광태도(60°) 5.8 GU, Sinking 타일의 평균 표면침투깊이 67.5 ㎛로 측정되었다.
The development of an effect ceramic ink that materializes High-Definition (HD) images and a Three-Dimensional (3D) expression was attempted due to a recent increase in consumers' emotional consumption. This study utilized the ceramic pigments of V2O5-Bi2O3 (Sinking), SiO2-Al2O3 (Matt), and SiO2-ZnO-Bi2O3 (Glossy) compositions developed by a domestic ceramic pigment manufacturer (HANIL Corp.). The ceramic pigments were later used to manufacture the effect ceramic ink for architectural tiles that can materialize texture and gloss effects. The manufactured ink's essential physical and jetting properties and til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to use it further in the inkjet printing processes. Thus, the Effect ceramic ink has been measured to have the following attributes: particle size (d50) less than 300 nm, viscosity (η50°C) between 14.3 and 14.6 cps, viscosity stability (Δ %) within ±3 %, and surface tension (σ) between 28.12 and 28.35 mN/m. In the jetting property evaluation, the drop formation distance was 495 to 524 μm. The volume uniformity was less than 5 %; when the head nozzle size was 55 and 30 μm, and the reciprocal number (Z) of the Ohnesorge number (Oh) was from 2.85 to 3.22 and from 2.13 to 2.38, respectively, which satisfied the characteristic criteria. Additionally, when each of the effect ink's characteristics was applied to the tiles, gloss (60°) of the glossy tile of 90.5 GU, gloss (60°) of the matt tile of 5.8 GU, and average surface penetration depth of the sinking tile of 67.5 μm were measured.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J. S. Moon, “Development Technology for High-Definition Ink-Jet Printing Ceramic Tiles Tailored to Consumers”, Ceramist , The Korean Ceramic Society, Seoul, Korea, Vol.19, No.3, pp.36-45, Nov 2016. | 미소장 |
2 | M. J. Kwon, Development of the Glazed Nano Ceramic Inks for Ink-jet Printing , Ph.D dissertation, Soon Chun Hyang University, Asan, Korea, pp.1-42, 2019. | 미소장 |
3 | W. J. Lee, H. J. Hwang, K. S. Han, W. S. Cho, J. H. Kim, “Characterization and Synthesis of Aqueous Pink-Red Ceramic Ink for Digital InkJet Printing”,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Vol.25, No.1, pp.20-26, Feb. 2015. DOI: http://doi.org/10.6111/JKCGCT.2015.25.1.020 | 미소장 |
4 | J. W. Kwon, J. H. Lee, K. T. Hwang, J. H. Kim, K. S. Han,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Glass-Ceramic Ink for Digital Ink-jet Printing”,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Vol.27, No.11, pp.583-589, Oct. 2017. DOI: http://doi.org/10.3740/MRSK.2017.27.11.583 | 미소장 |
5 | J. W. Kwon, J. H. Lee, K. T. Hwang, J. H. Kim, K. S. Han, “Rheological Behavior and Ink-jet Printing Characteristics of Aqueous Ceramic Complex Ink”,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Vol.28, No.3, pp.123-129, Jun. 2018. DOI: http://doi.org/10.6111/JKCGCT.2018.28.3.123 | 미소장 |
6 | Y. Guo, HS. Patanwala, B. Bognet, A. W. K. Ma, “Inkjet and Inkjet-based 3D Printing : Connecting Fluid Properties and Printing Performance”, Rapid Prototyping Journal, Vol.23, No.3, pp.562-576, Jun. 2017. DOI: http://doi.org/10.1108/RPJ-05-2016-0076 | 미소장 |
7 | J. Y. Lee, J. H. Lee, J. H. Park, S. Nahm, K. T. Hwang, J. H. Kim, K. S. Han, “Formulation and Ink-jet 3D Printability of Photo Curable nano Silica Ink”,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Vol.29, No.6, pp.345-351, Dec. 2019. DOI: http://doi.org/10.6111/JKCGCT.2019.29.6.34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