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마인드셋과 도전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대한태권도협회 등록된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청소년 태권도선수들을 대상으로 2021년 6월에서 9월까지 네이버폼을 활용하여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중 응답의 내용 중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18부를 제외한 302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자료로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셋의 하위요인인 성장마인드세는 그릿의 하위요인인 노력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흥미유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인드셋의 하위요인인 고정마인드셋은 흥미유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노력지속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인드셋의 하위요인인 성장마인드셋은 도전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정마인드셋은 도전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도전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로나19의 장기화가 노인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the prolonged COVID-19 on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 focusing on users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배고은 p. 1-13
간호사의 정신건강 구조모형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mental health of nurses 최명희 p. 15-23
IPA기법을 활용한 코로나 시대 20대 소비자의 아웃도어스포츠웨어 선택속성 요인에 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outdoor sportswear selection attribute factors of consumers in their 20s using the IPA method in the Corona era 김태훈, 천보경 p. 25-33
북한이탈주민 관련 학위논문 동향 분석 = Analysis of the thesis trend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오태봉, 이희주 p. 35-42
웰니스를 위한 미니멀리즘 기반 플레이버 센서리 렉시콘 연구 : A study of minimalism-based flavor sensory lexicon for wellness : focusing on the creative semantic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flavor perception / 향미 지각의 창의적 의미해석과 표현 중심으로 김성헌, 이나래 p. 43-51
스포츠폭력을 경험한 은퇴 운동선수의 사회적응 과정 탐색 = Exploration of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after retirement of athletes an the experienced sports violence 김혜림, 홍미화 p. 53-60
일본의 의료 및 돌봄 병상 기능 조정을 위한 정책 동향과 시사점 : Implications for coordination of medical and social care bed functions in Japan : focusing on cases of introduction of integrated facility for medical and long-term care / 개호의료원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이선영 p. 61-67
한국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지역사회환경 요인 = Individual and perceived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 Korean older adults 김봉정 p. 69-77
유전질환과 유전자 맞춤의학에 대한 인식 제고 = Raising awareness of genetic diseases and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이희주 p. 79-85
동남아시아 지역 출신 다문화 가정 기혼 여성의 무용/동작 치료를 통한 웰니스적 가치 연구 = A study on the wellness value through dance/movement therapy of married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rom Southeast Asia 이지영, 전용균 p. 87-92

실외 스크린골프장의 서비스품질과 이미지 및 재참여의도간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image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of out door screen golf 황기선, 김지태 p. 93-100
생활체육 참여자가 인식하는 피트니스 센터 선택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 The relative importance of fitness center’s selection attributes recognized by sports participants 장원용, 최경호, 김미경 p. 101-106
노인 표현예술치료의 동향 분석과 기대효과 (2019-2021) = An analysis of the trend of expressive arts therapy for the elderly (2019-2021) 성지은, 심혜경, 윤미라 p. 107-112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harassment / 직장 내 괴롭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윤화 p. 113-119
간호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이 간호창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nursing start-up attitudes 김슬기, 오승은 p. 121-127
ICT 활용 체육수업과 로봇 체육 교사의 장·단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CT-us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robotic physical education teachers 임재구 p. 129-135
가상현실 스포츠 동작 및 동작 감지 스포츠데이터 기술을 체육수업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to apply virtual reality sports and motion detection sports data technology to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고나영, 임재구 p. 137-143
의사소통 능력이 대인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공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김환, 최혜라, 한수미 p. 145-152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AA) 멤버들의 영성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piritual experiences in alcoholics anonymous(AA) members 이근무, 유숙경 p. 153-161
업무환경이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on job performanc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focusing o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김나리, 최희철 p. 163-169
대학축구선수들의 사회적지지, 그릿, 회복탄력성과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grit and resilience of college soccer players 김성훈, 주창화 p. 171-177
COVID-19 팬데믹에서 만성질환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dical services us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in the COVID-19 pandemic 전병주, 김남진 p. 179-185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aily stress on life satisfaction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factors / 다차원적 환경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상은 p. 187-195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 브랜드-자아이미지 일치성, 브랜드동일시, 브랜드신뢰 그리고 브랜드충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port brand-self image congruity, brand identificati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쥬스으치, 이광수, 허진 p. 197-202
월경전증후군을 겪는 여성들의 삶의 질 및 일상생활기능 : The quality of life and daily living function of women suffering from premenstrual syndrome : focused on prospective assessment / 전향적 평가를 중심으로 이진희, 김근향 p. 203-209
간호대학생의 신경계 사정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Nursing student's nervous system assessment virtual simulation practice experience 김현진, 이선혜 p. 211-216
여성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수검 영향요인 :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second primary cancer screening in female cancer survivors : using a population-base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base, 2019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8기(2019) 자료 이용 장형숙 p. 217-224
중국 성인 여성의 스포츠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nese women's participation in sports on physical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초우주, 권민혁 p. 225-237
(The) similarity analysis of sequential data in mixed double badminton = 배드민턴 혼합복식에서 나타나는 시계열 자료의 유사도 분석 Choi, Hyongjun p. 239-244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프로그램이 만성 요통 환자의 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 근력, 골반 통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program for disability, range of motion, muscular strength, and pelvic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이희진, 윤소미, 이윤빈, 이대택, 윤지유, 경지혜 p. 245-252
대학 축구선수의 상해유형 및 치료형태 비교 = Comparison of injury types and treatment types of university soccer players 전용균 p. 253-258
고강도 트레드밀 운동에서 혈중 젖산과 산화스트레스의 상관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lactate and oxidative stress during high-intensity treadmill exercise 박혜미, 한근호, 성동준 p. 259-264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이 노인 여성의 기능적 움직임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nior aerobic exercise on functional movement and physical fitness of elderly women 이향범, 이한경, 권만근, 김태상, 함기승 p. 265-270
12주간의 복합운동이 폐경 후 여성의 심부근육 활성도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on the deep muscle activity and body composition in postmenopausal women 강익원 p. 271-275
12주간의 자이로토닉과 케겔운동이 중년여성의 심부근육과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yrotonic and kegel exercise on the deep muscle and lumbar stabilization in middle-aged women 심선미, 김재호 p. 277-283
16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이 비만 여성의 동맥혈류 및 혈관조절변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6 weeks of weight training on arterial blood flow and vascular control variables in obese women 장용우 p. 285-291
패션모델들의 골밀도 수준에 따른 신체조성, 에너지균형 및 주관적 식욕의 차이 =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energy balance and subjective appetite according to bone mineral density level of fashion models 박순희, 김재호 p. 305-310
운동과 수면장애 : Effects of exercise on sleep disorder : a systematic review / 체계적 문헌고찰 신윤아, 윤인애 p. 293-303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한 병동 간호사의 경험 = The experience of ward nurses participating in COVID-19 patient care 김혜영, 김미리, 정선옥, 김현정 p. 311-321
Screening the timing for intensive psychological support to disaster victims : 재난피해자 집중 심리지원을 위한 시기의 선별 : 세월호 사례를 근거로 / based on the case of Ferry Sewol Park, Sang-Kyu, Uhm, Tai-Hwan p. 323-326
분리-개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김영수 p. 327-336
심리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고통과 치료적 성과 = Emotional pain and therapeutic outcomes in psychotherapy 조영은, 최기홍 p. 337-348
비합리적 신념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irrational belief on smartphone dependence : mediating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procrastination / 정신건강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염보은, 정구철 p. 349-356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아동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간 종단적 관계 검증 =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self-esteem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김시현 p. 357-363
웰니스를 위한 중년여성들의 수영 참여시간 및 참여유형에 따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middle-aged women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swimming participation time and type of participation for wellness orientation 이보애, 유재민 p. 365-372
교양체육참여 대학생의 그릿과 회복탄력성 및 주관적 건강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grit, resilience and self-rated health for college students attended P.E. class 이경훈, 최석환 p. 373-379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마인드셋과 도전감의 인과모형 : The causal model of youth taekwondo players' mindsets and challeng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은철, 강익원 p. 381-386
보호자의 정신건강이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aregivers' ment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allenging behavior /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미영, 이홍직 p. 387-394
중등학교 체육 교사의 관계성지지 행동이 학습자의 욕구, 동기 그리고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latedness support behavior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needs, motivation and mental health in China 위하영, 송용관 p. 395-403
우수 무용수의 심상특성 탐색 = An exploration of elite dancers' imagery trait 최은진, 권상현, 육동원 p. 405-413
병리적 걱정과 긍·부정 정서유발이 정서 지각강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thological worry and inducing-positive·negative emotion at perceived emotion intensity 남희윤, 김근향 p. 415-422
이웃연결망크기에 의해 조절되는 안녕감에 대한 소득효과 : Income effect on well-being moderated by the size of neighbor-network : an analysis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distance from neighbors / 이웃과의 심리적 거리 차이를 고려한 분석 류지아 p. 423-430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상범, 김덕진(2020). 청소년 골프선수의 마음가짐 (Mindset) 과 투지(Grit) 의 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 골프연구, 14(2), 287-299. 미소장
2 김길식, 이호성(2021). 프로축구선수의 마인드셋과 그릿이 탈진에 미치는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3), 549-559. 미소장
3 김덕진, 김현주, 강상범(2018). 청소년 검도선수의 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의 매개효과. 대한무도학회지, 20(4), 47-60. 미소장
4 김지태, 서은철, 김태욱(2016).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동기모형 검증:PRECEDE 단계의 사전 진단도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4(4), 73-88. 미소장
5 서은철, 심영균(2020). Rasch 모형을 적용한 실수인식 척도의 문항 양호도 검증: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2), 265-279. 미소장
6 서은철. (2020). Rasch 모형을 적용한 태권도 선수의 삼원그릿 척도 타당도 증거.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4), 225-240. 미소장
7 신준하, 허진영(2019). 대학 운동선수들의 지각된 코칭 스타일과 성장 마인드셋, 실수인식, 그릿의 인과관계: Phantom Model 적용의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0(4), 1-16. 미소장
8 심영균(2020). 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그릿(Grit) 잠재프로파일 분류에따른 도전감의 차이.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4), 129-142. 미소장
9 심영균, 서은철(2021). 엘리트 운동선수의 도전감(Challenge) 척도에 대한문항 양호도 및 현실수용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6(1), 204-209. 미소장
10 우인수, 이양주(2021). 청소년 복싱선수들의 마음가짐과 그릿(GRIT) 경기력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10(3), 1-18. 미소장
11 이성혜, 채유정(2016). 온라인 과학탐구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인식이 자기조절전략 활용, 수강지속의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영향. 영재교육연구, 26(2), 365-387. 미소장
12 이영주, 김덕진(2020). 의도적 연습, 마음가짐 (Mindset) 및 분투 (Grit)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4), 227-244. 미소장
13 임효진, 윤여경(2017). 그릿 (Grit) 과 과제도전감의 관계: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에서 유능감의 조절효과. 교육방법연구, 29(4), 657-675. 미소장
14 조홍식(2020).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가치지각이 그릿 (Grit) 과 도전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4), 733-745. 미소장
15 Alan, S., Boneva, T., & Ertac, S. (2019). Ever failed, try again, succeed better: Results from a randomized educational intervention on grit.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4(3), 1121-1162. 미소장
1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미소장
1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미소장
18 Brooks, R., & Goldstein, S. (2008). The mindset of teachers capable of fostering resilience in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3(1), 114-126. 미소장
19 Csikszentmihlyi, M. (2008).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Perennial. 미소장
20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미소장
21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 미소장
22 Duckworth, A., & Gross, J. J. (2014). Self-control and grit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3(5), 319-325. 미소장
23 Dweck, C. S. (2006).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NY: Random House. 미소장
24 Dweck, C. S., Walton, G. M., & Cohen, G. L. (2014). Academic tenacity: Mindsets and skills that promote long-term learning. WA: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미소장
25 Dweck, C.. (2017). Mindset-updated edition: Changing the way you think to fulfil your potential. Hachette UK. 미소장
26 Gentry, M., & Owen, S. V. (2004). Secondary student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 Instrument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advanced/honors and nonhonors classe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6(1), 20-29. 미소장
27 Gucciardi, D. F., Gordon, S., & Dimmock, J. A. (2009). Advancing mental toughness research and theory using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1), 54-72. 미소장
28 Howell, A. J., & Buro, K. (2009). Implicit beliefs, achievement goals, and procrastination: A mediational analysi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1), 151-154. 미소장
29 Kerdijk, C., Van Der Kamp, J., & Polman, R. (2016).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context in stress and coping in sport. Frontiers in Psychology, 7, 875. 미소장
30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미소장
31 Mansell, P. C. (2021). Stress mindset in athlet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challenge and threa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57, 102020. 미소장
32 Molden, D. C., & Dweck, C. S. (2006). Finding meaning in psychology: a lay theories approach to self-regulation, social perception, and soci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61(3), 192. 미소장
33 Potgieter, R. D. (2012). Goal orientation, the growth mindset and coping strategies for success and failure in competitive sport. University of Pretoria. 미소장
34 Spray, C. M, Wang, C. K. J., Biddle, S. J. H., Chatzisarantis, N. L. D., & Warburton, V. E. (2006). An experimental test of self-theories of ability in youth spor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7(3), 255-267. 미소장
35 Ueno, Y., & Suzuki, T. (2016).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among Japanese athlete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16(4), 1137-1141. 미소장
36 Von Culin, K. R., Tsukayama, E., & Duckworth, A. L. (2014). Unpacking grit: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4), 306-3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