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상범, 김덕진(2020). 청소년 골프선수의 마음가짐 (Mindset) 과 투지(Grit) 의 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 골프연구, 14(2), 287-299. | 미소장 |
2 | 김길식, 이호성(2021). 프로축구선수의 마인드셋과 그릿이 탈진에 미치는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3), 549-559. | 미소장 |
3 | 김덕진, 김현주, 강상범(2018). 청소년 검도선수의 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의 매개효과. 대한무도학회지, 20(4), 47-60. | 미소장 |
4 | 김지태, 서은철, 김태욱(2016).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동기모형 검증:PRECEDE 단계의 사전 진단도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4(4), 73-88. | 미소장 |
5 | 서은철, 심영균(2020). Rasch 모형을 적용한 실수인식 척도의 문항 양호도 검증: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2), 265-279. | 미소장 |
6 | 서은철. (2020). Rasch 모형을 적용한 태권도 선수의 삼원그릿 척도 타당도 증거.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4), 225-240. | 미소장 |
7 | 신준하, 허진영(2019). 대학 운동선수들의 지각된 코칭 스타일과 성장 마인드셋, 실수인식, 그릿의 인과관계: Phantom Model 적용의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0(4), 1-16. | 미소장 |
8 | 심영균(2020). 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그릿(Grit) 잠재프로파일 분류에따른 도전감의 차이.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4), 129-142. | 미소장 |
9 | 심영균, 서은철(2021). 엘리트 운동선수의 도전감(Challenge) 척도에 대한문항 양호도 및 현실수용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6(1), 204-209. | 미소장 |
10 | 우인수, 이양주(2021). 청소년 복싱선수들의 마음가짐과 그릿(GRIT) 경기력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10(3), 1-18. | 미소장 |
11 | 이성혜, 채유정(2016). 온라인 과학탐구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인식이 자기조절전략 활용, 수강지속의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영향. 영재교육연구, 26(2), 365-387. | 미소장 |
12 | 이영주, 김덕진(2020). 의도적 연습, 마음가짐 (Mindset) 및 분투 (Grit)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4), 227-244. | 미소장 |
13 | 임효진, 윤여경(2017). 그릿 (Grit) 과 과제도전감의 관계: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에서 유능감의 조절효과. 교육방법연구, 29(4), 657-675. | 미소장 |
14 | 조홍식(2020).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가치지각이 그릿 (Grit) 과 도전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4), 733-745. | 미소장 |
15 | Alan, S., Boneva, T., & Ertac, S. (2019). Ever failed, try again, succeed better: Results from a randomized educational intervention on grit.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4(3), 1121-1162. | 미소장 |
16 |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 미소장 |
17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 미소장 |
18 | Brooks, R., & Goldstein, S. (2008). The mindset of teachers capable of fostering resilience in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3(1), 114-126. | 미소장 |
19 | Csikszentmihlyi, M. (2008).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Perennial. | 미소장 |
20 |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 미소장 |
21 |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 | 미소장 |
22 | Duckworth, A., & Gross, J. J. (2014). Self-control and grit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3(5), 319-325. | 미소장 |
23 | Dweck, C. S. (2006).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NY: Random House. | 미소장 |
24 | Dweck, C. S., Walton, G. M., & Cohen, G. L. (2014). Academic tenacity: Mindsets and skills that promote long-term learning. WA: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 미소장 |
25 | Dweck, C.. (2017). Mindset-updated edition: Changing the way you think to fulfil your potential. Hachette UK. | 미소장 |
26 | Gentry, M., & Owen, S. V. (2004). Secondary student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 Instrument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advanced/honors and nonhonors classe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6(1), 20-29. | 미소장 |
27 | Gucciardi, D. F., Gordon, S., & Dimmock, J. A. (2009). Advancing mental toughness research and theory using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1), 54-72. | 미소장 |
28 | Howell, A. J., & Buro, K. (2009). Implicit beliefs, achievement goals, and procrastination: A mediational analysi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1), 151-154. | 미소장 |
29 | Kerdijk, C., Van Der Kamp, J., & Polman, R. (2016).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context in stress and coping in sport. Frontiers in Psychology, 7, 875. | 미소장 |
30 |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 미소장 |
31 | Mansell, P. C. (2021). Stress mindset in athlet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challenge and threa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57, 102020. | 미소장 |
32 | Molden, D. C., & Dweck, C. S. (2006). Finding meaning in psychology: a lay theories approach to self-regulation, social perception, and soci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61(3), 192. | 미소장 |
33 | Potgieter, R. D. (2012). Goal orientation, the growth mindset and coping strategies for success and failure in competitive sport. University of Pretoria. | 미소장 |
34 | Spray, C. M, Wang, C. K. J., Biddle, S. J. H., Chatzisarantis, N. L. D., & Warburton, V. E. (2006). An experimental test of self-theories of ability in youth spor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7(3), 255-267. | 미소장 |
35 | Ueno, Y., & Suzuki, T. (2016).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among Japanese athlete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16(4), 1137-1141. | 미소장 |
36 | Von Culin, K. R., Tsukayama, E., & Duckworth, A. L. (2014). Unpacking grit: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4), 306-31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