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2019년 9월 충남 아산 김민식 군의 사망사고 이후 어린이보호구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속해서 교통법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교통사고의 수는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것은 어린이 행동 특성과 교통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정책적 방향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의 어린이보호구역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교통안전 선진국인 스웨덴의 비전 제로(Vision Zero) 정책과 홈 존(Home Zone)의 개념, 그리고 공학적 위주의 도로설계 사례 및 운영 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양국의 사례를 방재디자인의 기본원리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보호구역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디자인과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 결과가 국내 어린이보호구역 내 사망사고 감소를 위한 향후 연구 발전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fter the death of Min-sik Kim in A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September 2019, awareness of the school zone has been increasing, and the traffic law is being revised continuously.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mong children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indicates the need for a new direction consider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he traffic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chool zones through case analysis of school zones in Korea. In addition, we analyzed the Vision Zero policy, the concept of Home Zone, and engineering-oriented road design cases and operation methods in Sweden, an advanced country in traffic safety. In addition, the cases of the two countries were compared and organized focusing on the basic principles of disaster prevent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and policy to improve school zone problems in Korea.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data for future research development for the reduction of school zone fatalities in Korea.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 | 미소장 |
2 | 장명순, 박준영, 김명주, 정다정, “어린이 보호구역 현황, 교통사고 특성, 문제점 및 개선제안,” 교통기술과정책, Vol.7, No.5, pp.91-98, 2010. | 미소장 |
3 | H. W. Noh, “Concepts of Disaster Prevention Design for Safety in the Future Society,” IJoC, Vol.10, No.1, p.58, 2014. | 미소장 |
4 | 서울연구원, 세계도시동향, 스웨덴 , 2015. | 미소장 |
5 | 왕호림, 장석원,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안전 정보디자인 연구 - 어린이 특성을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4, pp.291-302, 2019. | 미소장 |
6 | 지우석, 최서윤, “민식이법으로도 미흡한 어린이보호구역 안전,” 이슈&진단,” No.403, pp.1-24, 2020. | 미소장 |
7 | 文大植, 金明洙, 金榮炫, “어린이보호구역 실태분석에따른 개선방안,”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3, pp.708-717, 2006. | 미소장 |
8 | S. H. Oh, “A Suggestion on the Design Direction to Improve Traffic Safety in Children’s Protection Zones- Focusing on the Gyeonggi-do Cases,”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Vol.62, pp.57-68, 2020. | 미소장 |
9 | 김동식, 권예진, 김대식, “어린이 보행 안전성 확보를위한 어린이보호구역 시설의 현 방식에 관한 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9권, 제5호, pp.105-115, 2020. | 미소장 |
10 | 황대철, 채범석, “초등학교 어린이 교통안전 행동지수 검사도구 개발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3, No.4, pp.187-198, 201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