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업의 관찰과 교사 면담을 통해 교사가 국어 수업을 할 때 교과서 혹은 수업에 나오는 어휘 지도를 위해 어떻게 교수 담화를 전개하는지를 분석하고, 학습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어휘 지도 원리와 교사의 의사소통 전략을 중심으로 교과서 어휘 지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수업 관찰과 면담 결과,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의 교과서 어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수업 설계나 의사소통 전략에 조직적으로 반영되지 못하는 부분을 개선하여야 하며 교과 수업에 어휘 이해도 제고의 목적이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저학년 학습자에게 맞는 구체적인 어휘 설명 등 어휘 지도를 위한 의사소통 전략이 필요하였다. 이에 교사들이 어휘 지도를 체계적으로 실행하되 수업의 주요 학습 목표 달성과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어휘 지도 원리와 방법의 사례를 도입, 전개, 정리 단계에 맞추어 제시하고, 교사의 어휘 지도와 관련한 수업 의사소통 전략을 시작 발화, 설명 화법 전략, 피드백 전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충열. (1999).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기초 어휘 이해 발달 상황.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1-10. | 미소장 |
2 | 곽재용. (2010).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분석. 한글, 290, 265-294. | 미소장 |
3 | 김한샘. (2009).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 미소장 |
4 | 김한샘. (2010). 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분석 -, 국어교육연구, 47, 63-90. | 미소장 |
5 | 민현식. (2003).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 및 한자 분석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 미소장 |
6 | 서종학. (2000). 교과서 어휘의 조사 단위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립국어원. | 미소장 |
7 | 신명선. (2001). 초등학교 1학년 읽기 교과서 어휘의 계량적 고찰- 6차 1학년 읽기 교과서와 7차 1학년 읽기 교과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28, 53-76. | 미소장 |
8 | 신명선. (2004). 국어 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신명선. (2011). 국어과 어휘 교육 내용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0, 61-101. | 미소장 |
10 | 신명선, 차경미, 이기연 (2020). 국어 사고도구어 능력과 교과서 읽기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55(4), 79-119. | 미소장 |
11 | 양정실, 권점례, 신호재, 박재현, 오필석, 이미미. (2015).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2 | 양정실, 정은주, 이민형, 박미미, 박재현, 이은정, 최인용. (2021).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에 대한 학습자 이해 지원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3 | 이경화. (2020). 기초 문식성 반영을 위한 국어교육과정 개발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809-839. | 미소장 |
14 | 이기연. (2015).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어휘 양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669-689. | 미소장 |
15 | 이승왕. (2012), 초등학교 저학년 어휘 지도의 주안점. 국어교과교육연구, 20, 197-219. | 미소장 |
16 | 이연우. (2009).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사고도구어 비교 연구: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이응백, 이인섭, 김승렬. (1982). 초등학교 아동의 어휘력 조사 연구: 저‧중‧고 학년별 표준 어휘 목록의 작성. 국어교육, 42, 235-242. | 미소장 |
18 | 임칠성, 최진희, 정영아 역(2014). 언어수업관찰. 서울:박이정. Wajnryb, R.(1993). Classroom Observation Tas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9 | 전영주. (2019). 학습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전영주. (2020). 내용 교과를 위한 문식성에서의 어휘 교육 양상 고찰. 국어교육, 169, 195-233. | 미소장 |
21 | 정남영. (2014).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 사고도구어 선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주삼환, 이석열, 김흥운, 이금화. (2009). 수업관찰분석과 수업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23 | 주세형. (2005). 국어과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독서교육, 14, 373-399. | 미소장 |
24 | 최규홍, 김연동, 김원구, 김대조, 김상한. (2020), 초등학생용 사고도구어 선정 연구. 대구미래교육연구원. | 미소장 |
25 | Coxhead, A. (1998).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cademic word l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NZ. | 미소장 |
26 | Coxhead, A. (2000). A new academic word list. TESOL Quarterly, 34 (2), 213-23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