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부모지지에 한정되어 있던 사회적 지지 변인을 교수지지,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로 확장시켜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지지와 그릿 및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학생의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을 규명하고향후 대학교육현장에서 유학생의 학업 열의를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방법 국내대학에 재학중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253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후 251부의 사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가 그릿의 하위요인 흥미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요인 중 교수지지는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흥미지속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그릿의 하위요인 노력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요인 중 교수지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흥미지속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흥미지속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흥미지속은 학습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력유지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노력유지는 학업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학생들의 우수한 학업 성취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그릿을 형성 즉,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학습목표에 대해 지속적인관심과 꾸준한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학습열의에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 유학생을 이해하고 도와주기 위해서는 사회지지 요인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외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평생교육과 접목한 효과적인 통일교육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 방향 = Effective unification education method and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 combined with lifelong education 김영옥 p. 1-18
초등학생의 진로준비 집단별 가정⋅학교⋅지역사회 배경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family, school, and community by career preparation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윤미정, 서봉언 p. 19-38
무릎 골관절염 노인여성과 건강 노인여성의 기능적 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 낙상 효능감 및 통증 비교 = Comparison of the functional performance, HRQoL, fall efficacy and pain of elderly women with knee osteoarthritis and healthy 임동천, 김명미 p. 39-51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사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German-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조성혜 p. 53-71
대학에서 실시간 영상 기반 및 음성 기반 소프트웨어의 교육적 효과 비교 분석 = Analyses on the learning effects of synchronous video-based vs. audio-based software in higher education environments 손진영, 정혜원, 이지은, 주은경, 임걸 p. 73-87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on university freshmen's adjustment to college 원주연 p. 89-104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centrality of even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 the moderating effects of decentering /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김선영, 이영호 p. 105-116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필요 역량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post-COVID19 era 정소미 p. 117-130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태움 경험 =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nurse's Tae-oom during clinical practice 장재인 p. 131-140
유아교사가 인식한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고정리 p. 141-157
초등 사회과 온라인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 The potentials and limits of online classes in primary social studies 김혜진 p. 159-176
대학수업에서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CBL) 수업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case-based learning(CBL) instuction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in college classes 조영재 p. 177-195
대학생 대상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에서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과 대면 방식의 효과 비교 =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of video conference and face-to-face in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강수민, 문명현, 이윤주 p. 197-213
대학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 및 학생 인식 분석 = Analysis on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t university 전영미, 조진숙 p. 215-228
대학생의 코로나19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xie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anxiety control / 불안통제감의 조절효과 박영순 p. 229-241
간호대학생의 아동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인식 =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박소연, 박혜련 p. 243-251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어휘 풍요도 연구 = A study on lexical richness in the writing of Japanese Korean learners 김민수 p. 263-284
학습자 중심 구성주의식 유아수학교육 강의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운영 과정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the course operation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in learner-centered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lectures 박정언 p. 285-304
유학생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그릿과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student's recognized social support on grit and academic enthusiasm 김현화, 조동혁, Panzhi p. 305-321
지혜교육의 개념화와 모형화 = A conceptualization and modeling of education for wisdom 서명석 p. 253-261
인공지능 융합교육 관심도에 기반한 대학원 전공 필수 교과목 개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jor compulsory course of graduate school based on stages of concern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김지윤, 김승현, 김귀훈 p. 323-341

비대면 서비스-러닝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non-face-to-face service-learning class : focusing on W university's <Sharing Service-Learning> / W대 <나눔 서비스-러닝>을 중심으로 이혜진 p. 343-365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관심,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interest, human rights awaren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배주희, 강효정 p. 367-378
영유아 교사의 소진과 회복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burnout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장희선, 백영숙, 오현숙 p. 379-392
온라인 튜터링 교양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영향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learners' sense of learning presence for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online tutoring liberal arts class 변소연, 추성경, 윤혜경 p. 393-406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 그릿, 우울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attitud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grit, depression : multi-group analysis by school level /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전향신, 박분희 p. 407-422
핵심간호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개선을 위한 SBAR-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BAR-capstone design program to improve core nurs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한영인 p. 423-442
고등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능력신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indset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김민정 p. 443-453
특성화고등학생의 자아분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가족건강성, 회복탄력성 및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ifferenti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family strength, resilien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이수련, 김종운 p. 455-472
대학 PBL(Project-Based Learning)의 설계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 = Exploring the desig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PBL(project-based learning) in university 강정찬 p. 473-491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과학교육의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rough picture books 박유숙, 최인숙 p. 493-5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김성은, 최선영 p. 511-52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학습 요소'의 확장 또는 비확장 양상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에서의 난점 및 개선 방안 탐색 : Exploring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method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expansion or non-extension aspects of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documents : focusing on the algebraic domain /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이기돈 p. 531-550
남자 청소년의 미디어스포츠 관여경험과 운동몰입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sports involvement experience, exercise flow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male adolescents 안수운, 이철화 p. 551-561
코로나 19 상황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탐색 = Exploring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COVID-19 situation 양수영 p. 563-576
COVID-19 상황에서 여학생 체육활성화를 위한 호울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whole sports program to revitalize female students' physical education in COVID-19 situation 고정길 p. 577-595
Fitting student needs : 대학에서의 목적/요구 맞춤형 영어 쓰기 교육 / purpose/needs specific English writing in higher education Song-Eun Lee p. 597-613
초등 수학 교육과정별 원주율의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 분석 : Analysis of instruction content and instruction method of circular constant by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1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임훈택, 고은성, 황은지 p. 615-630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화』 교과서에서의 '빈곤'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with 'poverty' in the Society and Cultur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최석현, 박선웅 p. 631-644
독일 정치교육을 통한 한국 시민교육 고찰 : Implications on Korean civic education based on political education in Germany :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the website of the Federal Agency for Civic Education / 독일연방정치교육원의 웹페이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배혜리, 신수빈, 김영환 p. 645-661
예비유아교사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분석 = A study of the relational analysi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acognition, learning flow, teacher-efficacy and social skills 나혜선, 황소영 p. 663-67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사 내용 분석 및 적용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istory in 10 type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심수연 p. 677-692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 전공만족도 및 진로소명의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volunteering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ission sense on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김인숙 p. 693-703
학습부진 관련 조례 분석 : Analysis of ordinances related to learning difficulties : focusing on 4 regional ordinances in Seoul, Gyeonggi-do, Jeollanam-do and Jeju /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시 4개 지역 조례를 중심으로 서지영, 박영민 p. 705-71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화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mathematizing inter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고운, 김지현 p. 721-735
MALL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방안 연구 : A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ing using MALL : focused on advanced learners in overseas / 해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영미, 한혜민 p. 737-753

미술치료학 전공 입학생들의 학사과정을 통한 자아상과 진로정체감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self-image and career identity through the undergraduate course in art therapy majors 김민조, 김지은, 권수용 p. 755-772
관계중독과 분노반추가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lationship addiction and anger rumination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tyle 윤지은, 백지은 p. 773-784
액션러닝 기법을 적용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에서 본 어린이집 부모면담과정 탐색 = Experience of the parent interview process applying the action learning-based small-group learning community 김영주 p. 785-80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의 필요성 탐색 : Exploring the dance major curriculum applying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 focusing on the case of dance education at A university / A대학 무용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이나영, 박휴경, 김지나 p. 807-826

참고문헌 (7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미경, 안혜영, 송미령 (2006).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2(2), 180-188. 미소장
2 김보경, 정철영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49-71. 미소장
3 김주연 (2019).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623-633. 미소장
4 김훈희, 황영신 (2019).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발달자산 내적발달자산 및 학업스트레스의관계. 인문사회 21, 10(5), 1607-1622. 미소장
5 박미애, 윤진희, 정연희, 황세영, 최혜진, 황선경 (2013). 근골격계 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식후 혈압의 변화. 글로벌 건강과 간호, 3(2), 64-72. 미소장
6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2009).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0(1), 417-435. 미소장
7 박민정, 조미희 (2019).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 지지, 생리적 지수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4), 335-344. 미소장
8 박서단, 양수진 (2020).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열정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6), 183-213. 미소장
9 서미옥 (2019). 대학생의 성실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 167-187. 미소장
10 신연주, 이경순 (2019).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성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평생학습사회, 15(3), 95-120. 미소장
11 심미경 (2005).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사회적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건강학회지, 8(1), 64-74. 미소장
12 안다휘, 이희승 (2017). 반복된 실패 상황에서 끈기(Grit), 낙관성, 정서 및 인지 반응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31(4), 79-102. 미소장
13 오희정, 김갑성 (2020). 학생의 시험 및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관계의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8(2), 107-131. 미소장
14 유선욱, 박혜영 (2016). 대학-학생 공중 관계, 대학생의 학업열의,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홍보학연구, 20(3), 173-200. 미소장
15 유은경, 설현수 (2015). 사회적지지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 조사연구, 16(1), 155-184. 미소장
16 이기숙, 박소영 (2000).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지각의 관련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9), 93-106. 미소장
17 이미라 (2000).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중년여성의 운동의도 및 운동 예측모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537-548. 미소장
18 이성희 (2012). STEAM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25(1), 66-76. 미소장
19 이성희 (2021). 회적 지지, 그릿, 진로결정수준,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그릿, 진로결정수준, 진로탐색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593-613. 미소장
20 이수란, 손영우 (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349-366. 미소장
21 이윤정 (2019).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교사⋅친구지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0(2), 1197-1210. 미소장
22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48. 미소장
23 이자영 (2013). 학년에 따른 학업열의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청소년학연구, 20(2), 1-21. 미소장
24 이자영, 이상민 (2012).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4(1), 131-147. 미소장
25 이정림, 권대훈 (2016).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1), 245-264. 미소장
26 이지예, 이주희, 장연수, 김은채, 지용구, 박태준, 김예린 (2020). 간호사의 환자 낙상 경험과 낙상간호의 방향성탐색. 기본간호학회지, 27(4), 356-365. 미소장
27 이지항, 김범준, 이동현 (2016). 대학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검증. 운동학 학술지, 18(3), 23-33. 미소장
28 이현아, 조한익 (2013). 완벽주의와 학업열의 및 학업소진과의 관계: 동기와 목표과정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75-601. 미소장
29 이혜주 (2020). 한국 아동의 천식과 치아우식과의 관련성. 융합정보논문지(구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10(10), 273-278. 미소장
30 이혜주, 박정윤 (2020). 군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Double ABC-X 모델 적용. 한국가족복지학, 25(1), 21-42. 미소장
31 임효진 (2017). 그릿(Grit)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18(2), 169-192. 미소장
32 임효진 (2018). 그릿, 내-외재가치, 수업참여, 인지조절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3), 235-256. 미소장
33 임효진, 이소라 (2020). 그릿(Grit)을 매개로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부모, 교사, 교우 변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비교. 한국초등교육, 31(1), 109-127. 미소장
34 정기원, 배성훈 (2020).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5(4), 243-257. 미소장
35 정송화, 이경은, 주소희, 김미정 (2019). 인터넷 중독 중고등학생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인문사회 21, 10(1), 1221-1236. 미소장
36 정혜린, 서영민 (2019). 예비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사회적지지, 그릿 간의 관계.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1), 135-154. 미소장
37 조명실, 최경숙 (2007).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8(3), 1085-1099. 미소장
38 조주연, 김명소 (2013).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477-497. 미소장
39 조홍식 (2015). 체육 수업에 대한 기대-가치 지각과 학생들의 학업 열의와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3), 181-192. 미소장
40 조홍식 (2019).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동료의 관계성 지지가 학생들의 그릿(Grit)과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1), 927-943. 미소장
41 최권, 전민재, 안효영, 진하늘, 도승이 (2013).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및 교우 관계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4(4), 281-306. 미소장
42 최미경 (2016).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남고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투지(Grit)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3), 75-102. 미소장
43 최서경, 탁진선, 양수진 (2019). 대학생의 자율성 욕구와 우울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3), 245-265. 미소장
44 최은영, 박종효 (2019). 또래지위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학교참여의 매개효과와 학교급 차이. 교육심리연구, 33(3), 341-369. 미소장
45 최은영, 윤영 (2021).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교육심리연구, 35(1), 121-148. 미소장
46 최현민 (2018). 진로멘토의 사회적 지지와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7(3), 25-45. 미소장
47 표정민 (2018). 대학생의 그릿(Grit)이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7(1), 25-46. 미소장
48 한미현, 유안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지각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17(1), 173-188. 미소장
49 한수연, 박용한 (2018). 중학생의 그릿 변화와 관련된 가정⋅학교 환경요인 탐색. 열린교육연구, 26(4), 175-201. 미소장
50 한수연, 박용한 (2019). 초기 청소년의 그릿 유형 예측요인 및 그릿 유형에 따른 몰입, 자기통제, 성실성의 차이. 영재와 영재교육, 18(3), 53-81. 미소장
51 Bazelais, P., Lemay, D. J., & Doleck, T. (2016). How Does Grit Impact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4(1), 33-43. 미소장
52 Clark, A., Jit, M., Warren-Gash, C., Guthrie, B., Wang, H. H., Mercer, S. W.,... Jarvis, C. I. (2020).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estimates of the population at increased risk of severe COVID-19 due to underlying health conditions in 2020: a modelling study. The Lancet Global Health, 8(8), e1003-e1017. 미소장
53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미소장
54 Credé, M., Tynan, M. C., & Harms, P. D. (2016).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511. 미소장
55 Danne, T., Garg, S., Peters, A. L., Buse, J. B., Mathieu, C., Pettus, J. H.,... Phillip, M. (2019). International consensus on risk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treated with sodium-glucose cotransporter (SGLT) inhibitors. Diabetes care, 42(6), 1147-1154. 미소장
56 Datu, J. A. D., Yuen, M., & Chen, G.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riarchic Model of Grit Scale (TMGS): Evidence from Filipino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4, 198-205. 미소장
57 Duckworth, A. L., & Kern, M. L. (2011). A meta-analysis of the convergent validity of self-control measur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5(3), 259-268. 미소장
58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미소장
59 Duckworth, A. L., & Seligman, M. E. (2006). Self-discipline gives girls the edge: gender in self-discipline, grades, and achievement test scor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1), 198. 미소장
60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 미소장
61 Duckworth, A., & Gross, J. J. (2014). Self-control and grit: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3(5), 319-325. 미소장
62 Eskreis-Winkler, L., Duckworth, A. L., Shulman, E. P., & Beal, S. (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 36. 미소장
63 Gao, S., Tang, G., Hua, D., Xiong, R., Han, J., Jiang, S.,... Huang, C. (2019). Stimuli-responsive bio-based polymeric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 7(5), 709-729. 미소장
64 Howard, D. M., Adams, M. J., Clarke, T. K., Hafferty, J. D., Gibson, J., Shirali, M.,... McIntosh, A. M. (2019). Genome-wide meta-analysis of depression identifies 102 independent variant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prefrontal brain regions. Nature neuroscience, 22(3), 343-352. 미소장
65 Lucas, G. M., Gratch, J., Cheng, L., & Marsella, S. (2015). When the going gets tough: Grit predicts costly perseveranc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59, 15-22. 미소장
66 Muenks, K., Wigfield, A., Yang, J. S., & O'Neal, C. R. (2017). How true is grit? Assessing its relations to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lf-regula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9(5), 599. 미소장
67 Noe, R. A., Noe, A. W., & Bachhuber, J. A. (1990).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3), 340-356. 미소장
68 Nolte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미소장
69 Permzadian, V., & Credé, M. (2016). Do first-year seminars improve college grades and retention? A quantitative review of their overall effectiveness and an examination of moderators of effectivenes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6(1), 277-316. 미소장
70 Salanova, M., Peiró, J. M., & Schaufeli, W. B. (2002). Self-efficacy specificity and burnout among information technology workers: An extension of the job demand-control model.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1(1), 1-25. 미소장
71 Salanova, M., Schaufeli, W., Martínez, I., & Bresó, E. (2010). How obstacles and facilitators predict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study burnout and engagement. Anxiety, stress & coping, 23(1), 53-70. 미소장
72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ález-Romá, V., & Bakker, A. B.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미소장
73 Skinner, E. A., Kindermann, T. A., & Furrer, C. J. (2009). A motivational perspective on engagement and disaffection: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of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participation in academic activities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9(3), 493-525. 미소장
74 Steinmayr, R., Weidinger, A. F., & Wigfield, A. (2018). Does students’ grit predict their school achievement above and beyond their personality, motivation, and engagemen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53, 106-122. 미소장
75 Strayhorn, T. L. (2014). What role does grit play in the academic success of black male collegians at predominantly white institutions?. Journal of African American Studies, 18(1), 1-10. 미소장
76 Tang, X., Wang, M. T., Guo, J., & S alme la-Aro, K. (2019). Building grit: The longitudinal pathways between mindset, commitment, grit, and academic outcom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8(5), 850-863. 미소장
77 Tough, P. (2012). How children succeed: Grit, curiosity, and the hidden power of character. Houghton Mifflin Harcourt. 미소장
78 Tuckwiller, B., & Dardick, W. R. (2018). Mindset, grit, optimism, pessimism,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anxiety and/or depression.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Education, 6(2), 3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