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박상수가 1집부터 3집까지 발표하는 과정에서 시의 화자들의 신체적 및 사회적 연령이 상승했음을 전제하고 작품 세계의 변모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시인이 현대 사회에서 여성 젠더를 가진 청년들이 겪어야 하는 고통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박상수의 화자들은 무성적 단계와 젠더 틈입의 혼란 단계를 거쳐 여성 청소년이 되고, 성인 여성이 된다. 그러한 성장과정을 지켜보는 관찰자로서 시인은 화자가 겪는 사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지만(혹은 그럴 수 없지만), 화자의 목소리를 세밀하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여성 청년이 체험하는 세계의 균열을 고발한다.
이러한 박상수의 시작 방식은 그간 논의되어온 ‘여성적 글쓰기’와 일부 맥을 함께 한다고 볼 여지가 있으며 이는 무력한 ‘공주 만들기’에 천착하는 세계에 항거하는 여성 화자의 등장을 기대할 여지를 남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상수(2006), 『후르츠 캔디 버스』, 천년의시작. | 미소장 |
2 | 박상수(2012), 『귀족 예절론』, 문예중앙. | 미소장 |
3 | 박상수(2013), 『숙녀의 기분』, 문학동네. | 미소장 |
4 | 박상수(2018), 『너의 수만 가지 아름다운 이름을 불러줄게』, 문학동네. | 미소장 |
5 | 박상수(2018), 『오늘 같이 있어』, 문학동네. | 미소장 |
6 | 자크 라캉(1994), 『욕망 이론』, 문예출판사. | 미소장 |
7 | 엘렌 식수(2004), 『메두사의 웃음/출구』, 동문선. | 미소장 |
8 | 엘렌 식수, 카트린 클레망(2008), 『새로 태어난 여성』, 나남. | 미소장 |
9 | 무까이 마사아끼(2017), 『라캉 대 라캉』, 새물결. | 미소장 |
10 | 정문영(1999), 여성적 글쓰기: 타자와 더불어 글쓰기, 『비평과이론』 4(1), pp.5-29. | 미소장 |
11 | 이봉지(2001), 엘렌 식수와 뤼스 이리가레에 있어서의 여성성과 여성적 글쓰기, 『프랑스 문화 연구』 6, pp.45-58. | 미소장 |
12 | 안미현(2009), 여성적 글쓰기와 특성과 가능성, 『사고와 표현』 2(1), pp.61-81. | 미소장 |
13 | 문장수(2009), 쟈크 라캉의 주체 개념, 『철학논총』 56, pp.393-415. | 미소장 |
14 | 김현미(2010), 현대시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5 | 권순정(2013), 라캉의 환상적 주체와 팔루스, 『철학논총』 75, pp.27-51. | 미소장 |
16 | 윤경희(2013), 순정과 외설, 『문학과사회』 26(3), pp.335-342. | 미소장 |
17 | 배지선(2015), 해체, 글쓰기의 ‘여성적’ 실천: 식수(Cixous)의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e)에 대한 하나의 독해, 『여성학논집』 32(1), pp.3-28. | 미소장 |
18 | 김신식, 이자혜, 황인찬 외 1명(2016), 미지 × 희지 Vol. 1: 쩌는 세계 : 이자혜 · 황인찬, 다음을 기약할 수 없는 인터뷰, 『문학과사회』 29(3), pp.129-171. | 미소장 |
19 | 김소영(2016), 상상계·상징계·실재계를 넘나드는 욕망의 양상: <비우티풀>과<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41, pp.263-283. | 미소장 |
20 | 나병철(2016),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와 미학적 은유의 응수, 『청람어문교육』 57, pp.213~254. | 미소장 |
21 | 정시우(2016), 공감능력 상실 시대의 문학과 문학교육, 『청람어문교육』 58, pp.237~265. | 미소장 |
22 | 신나리(2017),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윜의 퀴어 인식론으로 한국 현대시 읽기: 박상수의 『숙녀의 기분』을 중심으로, 『여성이론』 37, pp.157-177. | 미소장 |
23 | 서동진(2019), 스트롱맨의 척추해부학 신자유주의와 남성성의 정치, 『안과밖』 47, pp.12-40. | 미소장 |
24 | 임영빈(2019), [남성이 쓰는 여성학 노트] 신자유주의와 여성인권, 『새가정』727, pp.64-67. | 미소장 |
25 | 문장의 소리 제323회(2013), 시에게도 음정이 있다면 샤라랑!-박상수 시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