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박상수가 1집부터 3집까지 발표하는 과정에서 시의 화자들의 신체적 및 사회적 연령이 상승했음을 전제하고 작품 세계의 변모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시인이 현대 사회에서 여성 젠더를 가진 청년들이 겪어야 하는 고통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박상수의 화자들은 무성적 단계와 젠더 틈입의 혼란 단계를 거쳐 여성 청소년이 되고, 성인 여성이 된다. 그러한 성장과정을 지켜보는 관찰자로서 시인은 화자가 겪는 사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지만(혹은 그럴 수 없지만), 화자의 목소리를 세밀하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여성 청년이 체험하는 세계의 균열을 고발한다.

이러한 박상수의 시작 방식은 그간 논의되어온 ‘여성적 글쓰기’와 일부 맥을 함께 한다고 볼 여지가 있으며 이는 무력한 ‘공주 만들기’에 천착하는 세계에 항거하는 여성 화자의 등장을 기대할 여지를 남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굴하지 않는 여성 화자의 세계 : The world of the unrelenting female narrator : focused on Park Sang-Su's poetry / 박상수론 강석희 p. 209-239

통일시대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 및 방향 = Issue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era of unification 김태호 p. 7-26

초등 문학 영역 교육과정에서 허구의 의미에 대한 반성적 고찰 = A reflective study on the meaning of fiction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김정은, 김상한 p. 241-259

품사 분류 기준 '형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form',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part-of-speech : focused on applicable methods in school grammar / 학교 문법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홍정현 p. 351-375

1차 교육과정 『중학국어』 교과서의 개편 양상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 = A philological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first curriculum 박형준 p. 27-56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정표화행의 대화적 수행 교육 내용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interactive performance education contents of expressive speech act fo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손희연 p. 57-86

'X하-, X위-, X외-' 어간의 활용 패러다임과 불규칙성 = Conjugation paradigm of 'Xa-, Xü-, Xö-' verb stem and irregularity 김봉국 p. 377-398

신동엽 문학에 나타난 '求道'와 '혁명'의 양상 = A study on the 'seek the truth' and 'revolution' in Shin Dongyeop(申東曄)'s literature 임수만 p. 261-286

중학생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est tool for struggle writ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이은정, 박영민 p. 139-172

<閨中七友爭論記>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 A textlinguistic analysys on <GyujungchilUjangronji> 박은진 p. 287-321

교육 자치 시대의 국어 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age of educational autonomy 최숙기 p. 173-205

문학 기반 '자세히 읽기' 교육의 재인식 = The recognition of literature based 'close reading' education 최인자 p. 323-347

텍스트 복잡도 평가 준거표 비교 분석 : Analysis of the text complexity measures rubrics : focused on text qualitative measures rubrics based on CCSS / 미국의 CCSS 기반 질적 평가 준거표를 중심으로 최소영, 류수경 p. 87-137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상수(2006), 『후르츠 캔디 버스』, 천년의시작. 미소장
2 박상수(2012), 『귀족 예절론』, 문예중앙. 미소장
3 박상수(2013), 『숙녀의 기분』, 문학동네. 미소장
4 박상수(2018), 『너의 수만 가지 아름다운 이름을 불러줄게』, 문학동네. 미소장
5 박상수(2018), 『오늘 같이 있어』, 문학동네. 미소장
6 자크 라캉(1994), 『욕망 이론』, 문예출판사. 미소장
7 엘렌 식수(2004), 『메두사의 웃음/출구』, 동문선. 미소장
8 엘렌 식수, 카트린 클레망(2008), 『새로 태어난 여성』, 나남. 미소장
9 무까이 마사아끼(2017), 『라캉 대 라캉』, 새물결. 미소장
10 정문영(1999), 여성적 글쓰기: 타자와 더불어 글쓰기, 『비평과이론』 4(1), pp.5-29. 미소장
11 이봉지(2001), 엘렌 식수와 뤼스 이리가레에 있어서의 여성성과 여성적 글쓰기, 『프랑스 문화 연구』 6, pp.45-58. 미소장
12 안미현(2009), 여성적 글쓰기와 특성과 가능성, 『사고와 표현』 2(1), pp.61-81. 미소장
13 문장수(2009), 쟈크 라캉의 주체 개념, 『철학논총』 56, pp.393-415. 미소장
14 김현미(2010), 현대시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5 권순정(2013), 라캉의 환상적 주체와 팔루스, 『철학논총』 75, pp.27-51. 미소장
16 윤경희(2013), 순정과 외설, 『문학과사회』 26(3), pp.335-342. 미소장
17 배지선(2015), 해체, 글쓰기의 ‘여성적’ 실천: 식수(Cixous)의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e)에 대한 하나의 독해, 『여성학논집』 32(1), pp.3-28. 미소장
18 김신식, 이자혜, 황인찬 외 1명(2016), 미지 × 희지 Vol. 1: 쩌는 세계 : 이자혜 · 황인찬, 다음을 기약할 수 없는 인터뷰, 『문학과사회』 29(3), pp.129-171. 미소장
19 김소영(2016), 상상계·상징계·실재계를 넘나드는 욕망의 양상: <비우티풀>과<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41, pp.263-283. 미소장
20 나병철(2016),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와 미학적 은유의 응수, 『청람어문교육』 57, pp.213~254. 미소장
21 정시우(2016), 공감능력 상실 시대의 문학과 문학교육, 『청람어문교육』 58, pp.237~265. 미소장
22 신나리(2017),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윜의 퀴어 인식론으로 한국 현대시 읽기: 박상수의 『숙녀의 기분』을 중심으로, 『여성이론』 37, pp.157-177. 미소장
23 서동진(2019), 스트롱맨의 척추해부학 신자유주의와 남성성의 정치, 『안과밖』 47, pp.12-40. 미소장
24 임영빈(2019), [남성이 쓰는 여성학 노트] 신자유주의와 여성인권, 『새가정』727, pp.64-67. 미소장
25 문장의 소리 제323회(2013), 시에게도 음정이 있다면 샤라랑!-박상수 시인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