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IS-K는 지하드의 물질적, 상징적 자원을 동원하고, 그 소유권을 주장함에 있어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과 경쟁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과 IS-K의 역학관계를 분석하고, 지하디스트 그룹의 갈등과 협력의 순환과정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자원동원이론을 활용하여, 탈레반과 ISIS가 광의의 지하드 운동 사업의 조직이라는 점을 밝혔다. 연구 내용은 텔레반과 IS-K는 자원에 대한 경쟁으로 갈등 관계에 있지만, 지하디스트 운동 사업에 동일한 근간을 두고 있다. 이 두 그룹은 이념적 친밀감과 집단적 연대감 그리고 이슬람 종교의 정체성으로 인해 경쟁이 완화되고 협력을 하기도 한다. 연구결과, 두 그룹은 물질적・상징적 자원동원을 위해 경쟁을 하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협력관계로 돌아가는 주기적 순환과정이 있음을 확인했다. 향후 아프간의 평화와 안보를 위해 지하디스트 그룹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S-K mobilized material and symbolic resources of Jihad and competed with Taliban in Afghanistan in claiming its ownership of the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ynamics between Taliban in Afghanistan and IS-K and present the cycle of conflict and cooperation in the Jihadist Group.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revealed utilizing the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that Taliban and ISIS are organizations of the Jihadist Movement Project in a broad sense. As for the detail of the study, Taliban and IS-K are in a conflict relationship with competition for resources; however, both are based on the same Jihadist Movement Project. The competition is softened between the two groups because of ideological intimacy, collective solidarity, and identity of Islamic religion, and sometimes, they cooperat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compete for the mobilization of material and symbolic resources; however, there was a periodic cycle of returning to a cooperative relationship in pursuing the same or similar goals.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the Jihadist Group for peace and security in Afghanistan in the future.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성례(2017), “이슬람 지하드 단체의 전술적 진화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21』, 8(1):749-762 | 미소장 |
2 | 김태수(2007),“집단행동의 사회학: 자원동원모델의 성과,한계 및 전망”,『시민사회와 NGO』, 5(1): 143-176. | 미소장 |
3 | 박현도(2021), “이슬람 근본주의와 탈레반”, 『기독교 사상』, 755: 9-21. | 미소장 |
4 | 서정민(2021), “탈레반, 미진한 국민국가형성, 그리고 아프가니스탄의 정치불안”,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31(3): 83-103. | 미소장 |
5 | 임희섭(200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6 | AFP(2014),“Uzbek Militants Declare Support for Islamic State”(Dawn,6 October 2014), |
미소장 |
7 | Ibrahimi, N., & S. Akbarzadeh(2019), “Intra-Jihadist Conflict and Cooperation: Islamic StateKhorasan Province and the Taliban in Afghanistan”, 『Studies in Conflict and Terrorism』, Published online 07 Jan: 1-22. | 미소장 |
8 | Interview with the Wali of Khorasan, Dabiq no. 13, December 2016, 47-54 | 미소장 |
9 | Lieven, Anatol(2021), “An Afghan Tragedy: The Pashtuns, the Taliban and the State”, 『Survival』, 63(3): 7-36. | 미소장 |
10 | Lobel, Oved(2021), “How Afganistan’s Fall to the Taliban Increases the Global Terrorism Threat”, 『The Strategist』(Sept. 6), |
미소장 |
11 | Rod Nordland, and Jawad Sukhanyar, “ISIS Kills 23 Civilian Hostage in Western Afghanistan”, The New York Times, 26 October 2016, |
미소장 |
12 | Unites Nations Assistance Mission in Afghanistan(2018), 『protection of Civilians in Armed Conflict Annual Report 2017』, Kabul: Unites Nations Assistance Misson in Afghanista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