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실시되는 상황 속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영어 수업 모형으로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드 러닝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모델이 제시하는 블렌딩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이 아니라, 비동시성 CMC와 동시성 CMC의 결합이다. 즉, 이 수업은 LMS를 통한 수업동영상 학습과 사전 요약일지, 사후 성찰일지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비동시성 CMC를 활용하고, 실시간 줌 수업, 앱을 활용한 실시간 퀴즈, 실시간 역할극 및 토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동시성 CMC를 활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모델은 또, 사전학습단계, 사전학습 요약 활동, 수업 전 퀴즈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플립드 러닝이라 할 수 있다. 동시적으로 이뤄지는 줌 수업은 요약 강의와, 토론과 역할극 같은 소집단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 후에 학생들은 성찰적인 수업일지를 쓰게 되어 있다. 학생들의 수업 일지들과, 학기 말에 이뤄진 설문조사를 분석했을 때, 이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 상호작용을 이끌어내어 높은 수업만족도를 나타내는데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업 모형은 영어 이외 다른 교과목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tries to propose a blended and flipped learning model as an effective English class model which can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enhanc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and between learners and their peers in a corona pandemic situation where all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re being conducted. The blending suggested in this model is not offline and online classes but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MC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This class utilizes asynchronous CMC when students are expected to perform pre-class video watching, pre-summary writing, and post-reflective journal writing through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Real-time zoom classes consisting of quizzes, role plays and discussions are performed through the synchronous CMC. This model can be also called as a flipped learning in the sense that it involves pre-class learning, summarizing and quizzes. Synchronous zoom class is consisted of in-class lecture, small-group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role-playing. After class, students are supposed to write reflective after-class journal. By analyzing students’ journal writings and survey resul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it was found that the course promote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mselves and improved their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It is expected that this framework can be used in different subjects and course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서령(2005),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가 인식하는역할의 중요성과 실행도 간의 차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영미(2020), 『쉽고 재미있는 간호 영어 첫걸음』, 서울: 현문사. | 미소장 |
3 | 김영희(2016), “대학 교양영어 인버트 블렌디드 통합수업 교수모형 개발”, 『영어영문학』,21(3): 151-173. | 미소장 |
4 | 김현정·나경희(2014), “블렌디드 러닝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Secondary English Education』, 7(3): 49-74. | 미소장 |
5 | 김희진·이현구(2011),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 방식 연구”, 『영어교과교육』, 10(2): 85-114. | 미소장 |
6 | 남정권(2008), 『블렌디드 수업 설계 전략』,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7 | 문지윤(2015), “플립드 클래스룸을 적용한 영어 수업이 학업 성취도와 영어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박은영(2016), “실생활 과업 중심의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영어 수업”, 『인문사회21』,7(2): 41-67. | 미소장 |
9 | 소리·이충현(2018),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제2언어 쓰기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및 견해”, 『외국어교육연구』, 32(1): 79-107. | 미소장 |
10 | 손혜숙·진설아(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문화와 융합』, 43(2): 15-34. | 미소장 |
11 | 송희심(2007), “대학 교양영어 교과목에서 온라인 매체 활용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외국어교육』, 14(2): 209-231. | 미소장 |
12 | 이정기(2015), 『온라인 대학교육』,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3 | 이혜정·이성혜(2007), “대학교육에서 질 제고를 위한 블렌디드 이러닝 활성화 방안: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77-102. | 미소장 |
14 | 임미란·조진현(2015), “블렌디드 러닝이 대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6(4): 1033-1050. | 미소장 |
15 | 정숙경(2010), “대학 사이버 영어수업의 효과적인 블렌디드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3(3): 253-278. | 미소장 |
16 | 최정빈(2018), 『플립드러닝: 교수설계와 수업전략』, 서울: 성안당. | 미소장 |
17 | 한문섭(2006), “e-러닝, b-러닝, 그리고 교실수업이 내용지식 습득과 영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어교육연구』, 18(2): 323-339. | 미소장 |
18 | 한종임·강한나(2018), “블렌디드 러닝 기반 사전 학습 활동이 한국 대학교 영어학습자의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1(3): 175-205. | 미소장 |
19 | 황요한·고보라(2019), “블렌디드 러닝이 토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 신입생 교양영어수업 분석을 통해”, 『영어교과교육』, 18(4): 233-248. | 미소장 |
20 | Bergmann, J., & A. Sams(200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class every da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Education. | 미소장 |
21 | Friedman, H. H., & L. W. Friedman(2011), “Crises in education: Online learning asa solution”, 『Creative Education』, 2(3): 156-163. | 미소장 |
22 | Cha, Y.(2012), “Learner’s perspectives and use of different learning methods onblended learning in English classe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15(2): 11-4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