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숙(2020). 대학교양수업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평가타당성과 정의적 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167-189. | 미소장 |
2 | 김문수(2015). 공학교육에서 문제 및 프로젝트기반학습의 비교 고찰과 적용 방안. 교육공학연구, 18(2), 65~76. | 미소장 |
3 | 김민정(2005).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영향. 교육공학연구, 21(4), 1-28. | 미소장 |
4 | 김수진·강희경(2013). 문제중심학습에서 평가주체에 따른 평가: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8), 3732-3738. | 미소장 |
5 | 김성자(2019). 문제중심학습(PBL)에서 팀 기여도 중심의 자기평가·동료평가의 관계 및 평가 준거: 대학 역사교육 전공 수업의 사례. 교육연구(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74, 71-94. | 미소장 |
6 | 배영지(2009).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를 도입한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 미소장 |
7 | 신태섭(2018).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 개발 및타당화 연구. 공학교육연구, 21(5), 32-39. | 미소장 |
8 | 이경미(2010). 쓰기과업에서 동료평가가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9 | 이동주(2013). 온라인 협동학습 환경에서 동료평가의 역할: 평가자 및 피평가자 경험을 통한 개별 책무성 강화. 평생학습사회, 9(2), 181-211. | 미소장 |
10 | 이소영(2015). 공과대학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미소장 |
11 | 이영미(2013).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361-375. | 미소장 |
12 | 이은복·이옥화·장순선(2015). 대학의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의 활용 가능성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1), 65-89. | 미소장 |
13 | 전성연 외(2007). 협동학습 모형 탐색.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4 | 정은숙(2018). 팀 프로젝트에 기반한 액트 수업에서 동료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771-794. | 미소장 |
15 | 채수진(2006).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평가방법의 일관성 검토 -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평가방법의 일관성 검토. 열린교육연구, 14(1), 331-349. | 미소장 |
16 | 한지영·박수연·방재현(2017), 공학교육에서의 팀 학습 운영실태 분석. 공학교육연구, 20(4), 28-37. | 미소장 |
17 | 황순희(2016). 공과대학생의 팀 기반 수업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19(5), 3-12. | 미소장 |
18 | Boud, D. & Falchikov, N.(1989). Quantitative studies of student self-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findings. Higher education, 18(5), 529-549. | 미소장 |
19 | Dochy, F. et al.(1999). The use of self-, peer and co-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A review.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4(3), 331-350. | 미소장 |
20 | Dingel, M.J. et al.(2013).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evaluation: the effect of free riders on team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performance and peer evaluation.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3, 45-56. | 미소장 |
21 | Dommeyer, C. J.(2007). Using the diary method to deal with social loafers on the group project: Its effects on peer evaluations, group behavior, and attitude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29(2), 175-188. | 미소장 |
22 | Doppelt, Y.(2005). Assessment of project-based learning in a mechatronics context.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6(2), 7-24. | 미소장 |
23 | Fellenz, M. R.(2006). Toward fairness in assessing student groupwork: A protocol for peer evaluation of individual contributions.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30(4), 570-591. | 미소장 |
24 | Frank, M. & Barzilai, A.(2004). Integrating alternative assessment in a project-based learning course for pre-service science and technology teachers.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9(1), 41-61. | 미소장 |
25 | Gülbahar, Y. & Tinmaz, H.(2006). Implementing Project-Based Learning And E-Portfolio Assessment In an Undergraduate Course.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38(3), 309-327. | 미소장 |
26 | Herbert, N.(2012). Peer assessment: is it fair?. Proceedings of The Australian Conference o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62-68. | 미소장 |
27 | Kilpatrick, D. J., Linville, M., & Stout, D. E.(2001). Procedural justice and the development and use of peer evaluations in business and accounting classes. Journal of Accounting Education, 19, 225-246. | 미소장 |
28 | Palmer, S., & Hall, W.(2011). An evaluation of a project based learning initiative in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6(4), 357-365. | 미소장 |
29 | Sadler, P. & Good, E.(2006). The Impact of Self- and Peer-Grading on Student Learning. Educational Assessment, 11(1), 1-31. | 미소장 |
30 | Slavin, R. E.(1991).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48(5), 71-82. | 미소장 |
31 | Tu, Y., & Lu, M.(2005). Peer and self assessment to reveal the ranking of each individuals contribution to a group project.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16(2), 197-2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