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新羅 中古期 「明活山城碑」 ‘書寫人’의 ‘書寫’는 ‘書石’하여 碑文에 담길 文書의 文章을 書寫한 行爲 자체를 말한다. 이 ‘書寫人’의 略語가 ‘書人’이며, 「蔚珍 居伐牟羅碑」의 ‘節書人’ 및 「丹陽 赤城碑」·「昌寧 眞興王巡狩碑」의 ‘書人’ 등이 그 實例로 이들은 書寫 專門家였다. 그리고 ‘書石’은 「蔚州 川前里 石刻」의 ‘書石谷’에서, 그리고 이 ‘書石’과 동일한 용어일 ‘石書’는 「丹陽 赤城碑」의 ‘石書立人’에서 찾아진다. 이때 ‘書石’·‘石書’는 곧 ‘刻石’·‘石刻’의 의미이니, 「蔚珍 居伐牟羅碑」의 ‘刻人’은 刻石 專門家였다. 그리고 「蔚珍 居伐牟羅碑」의 ‘立石碑人’ 部分과 「丹陽 赤城碑」의 ‘石書立人’ 部分에 登載된 人物들은 立碑 專門家였다.

「蔚珍 居伐牟羅碑」 ‘節書人’·‘刻人’·‘立石碑人’의 존재는 書寫·刻石·立碑의 실무를 추진함에 있어서 그 所任의 分掌이 가장 合理的이고 效率的으로 행해지고 있었음을 立證해준다. 이러한 立碑 工程의 所任 分掌 體系가 「丹陽 赤城碑」에서는 ‘書人’·‘石書立人’의 2段階로 變化하였다, 따라서 「蔚珍 居伐牟羅碑」의 書人-刻人-立石碑人 3段階 業務 分掌 體系가 「丹陽 赤城碑」의 書人-石書立人 2段階 體系로 簡素化되면서 效率的인 立碑 工程 推進 方式으로 轉換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新羅 中古期의 金石文 資料에 異體字가 流行하게 된 것은 佛經의 寫經이 流通되면서부터로, 이 寫經에 의해 中國에서 盛行하던 ‘魏碑體’인 ‘寫經體’가 受容되어 實用化되었다. 그래서 당시 文字學·訓詁學의 振興은 隸書·楷書를 포함한 이러한 ‘魏碑體’의 多樣한 書體로 筆寫된 하나하나의 漢字를 정확히 解讀하는 작업에서부터 비롯되었으며, 이는 高句麗에서 그랬듯이 愛用한 書籍에 字書로 『玉篇』・『字統』・『字林』이 包含되어 있었기에 可能했다. 특히 梁의 顧野王이 編纂한 『玉篇』은 楷書를 全的으로 整理하여 담고 있으므로 더욱 重視되었을 것이며, 게다가 『字統』 또한 異體字를 정리한 字書이기에, 더더욱 그랬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新羅 中古期 書寫·刻石·立碑 專門家의 分化와 書法·金石學의 發達 = Division of experts in transcription, inscription, erection & development of calligraphy, epigraphy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盧鏞弼 p. 1-40

세조 후반기 순행과 불교 = Royal tours and Buddhism in the latter days of King Sejo 이정주 p. 41-63

러시아의 한인 이주민 단속 정책과 그 균열 : The Russian crackdown policy on Korean immigrants and its crack : focusing on the period of Priamur Governor General Unterberger (1905-1910) / 프리아무르 주 총독 운테르베르게르 시기(1905~1910)를 중심으로 송영화 p. 65-102

唐 宣宗의 정국 운영과 宦官 문제 = Emperor Xuanzong's political management and eunuch issues in the Tang Dynasty 류준형 p. 103-148

신라국 집사성첩에 보이는 해민의 이동 실태와 도해 허가 문서 = The traveling of maritime people and voyage permission document appearing on the diplomatic document of Silla Jipsa-seong 정순일 p. 149-191

수신 교과서 『부녀감(婦女鑑)』의 텍스트성 : The textuality of women's moral textbook Hujokagami : diversity of women's representations at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Japan / 일본 근대 전환기 여성 표상의 다양성 박이진, 박시언 p. 193-228

중국 대운하의 역사 기억과 세계문화유산 등재 = The historical memory of the grand canal in China and uses of World Heritage Site 조영헌 p. 229-281

'오타쿠 현상'과 전후 일본 사회의 변화 : Otaku-related phenomena and the transformation of postwar Japanese society : discourses on Otaku and the rise of nationalism / 오타쿠론과 내셔널리즘의 부상을 중심으로 장진호 p. 283-328

중세 시칠리아의 문명교류 유형 분석 : Analysis of types of civilization exchange in medieval Sicily : focusing on the 9th to 13th centuries / 9~13세기를 중심으로 김정하, 강지훈, 김수정 p. 329-397

카롤루스 왕조 초기의 변경정책 : The Spanish March and the early Carolingian border policy / 에스파냐 변경백령(Marca Hispanica)의 탄생 차승현 p. 399-438

'죽여도 되는' 사람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 Making of 'disposable' human : racial hate and animalization / 인종혐오와 동물화 염운옥 p. 439-473

곡물대탈취 : The great grain robbery : the 1973 US-Soviet grain deal and the crisis of the global food system / 1973년 미국-소비에트 곡물 거래와 국제 식량 체계의 위기 이동규 p. 475-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