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최근의 기술 혁신을 미술교육의 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AR/VR 관련 기술은 이미지, 가상, 현실 사이의 새로운 상호작용과 창작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AR 관련 앱과 기술적 장치들을 통해 미술 표현의 변화와 성과를 검토하는 것을 연구 내용을삼았다. 현대미술에서의 AR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공공미술 형태로 확산되었다.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제작에서의 창의성은 기술적 지원을 통해 실현되는 융합적 결과물이라는 점이다.
미술 교실에서의 AR 사용은 미래 교육의 모습을 담고 있다. 조각 수업에서 찰흙을 통한 표현의 대상이스마트폰의 영상으로 대체됨으로써 오히려 높은 수준의 묘사력과 표현력의 신장을 가져왔다. AR은 학생들의 집중력과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표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라이다 센서와 기기의 사용은 가상의 오브젝트를 구축하는 새로운 미술표현의 도구가 될 수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 (2018). 미래교육의 첫발, 디지털교과서와 소프트웨어교육 실시. www.moe.go.kr/boardCnts/view.do | 미소장 |
2 | 김경현 (2009).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AR 콘텐츠 활용이 학습 활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5), 75-85. | 미소장 |
3 | 김상미 (2020). 융합미술교육을 위한 표현매체 확장 가능성 연구: 뉴미디어 활용에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5(1), 143-178. | 미소장 |
4 | 김유리, 최미영 (2018). VR 콘텐츠를 활용한 초등 음악 수업의 효과성. 음악교육공학, 35, 1-20. | 미소장 |
5 | 김효정 (2019). 4.0시대의 가상현실 활용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창의역량에미치는 영향: 중학교, 고등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3(2), 162-175. | 미소장 |
6 | 김희영 (2017). 혼합현실 콘텐츠의 현황과 발전방향.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46, 181-206. | 미소장 |
7 | 남선혜, 이정민 (2020). 국내 증강현실 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1), 129-156. | 미소장 |
8 |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2010).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1-13. | 미소장 |
9 | 류혜주, 박헌우 (2017). “우리 몸” 단원에 대한 증강현실 교육콘텐츠의 제작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26(4), 367-378. | 미소장 |
10 | 원용태, 김하동 (2012). 3D 실감 체험학습을 위한 증강현실 저작도구 및 해양생물 문화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70-80. | 미소장 |
11 | 이재성, 김주연 (2019). VR과 AR 기술 콘텐츠 사례에 나타난 몰입감과 현실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3), 13-24. | 미소장 |
12 | 이지혜 (2018).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교육 콘텐츠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1), 569-585. | 미소장 |
13 | 이태수 (2017).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 안내된 탐구학습이 학습장애 학생의 과학과 ‘태양계의 별’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24(2), 265-287. | 미소장 |
14 | 장혜원, 남지현 (2021). 초등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의 실제 - 초등수학 수업지원시스템 “똑똑! 수학탐험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31, 105-123. | 미소장 |
15 | 한송이, 임철일 (2019). 증강현실 기반 수업설계 원리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35(2), 455-489. | 미소장 |
16 | 황연주 (2020). 초등 미술수업에서 스마트폰 앱 퀴버를 활용한 3D 증강현실 애니메이션 교육 방안. 미술교육연구논총, 60, 277-308. | 미소장 |
17 | Bottomore, S. (1999). The panicking audience?: Early cinema and the train effect. Historical Journal of Film Radio, and Television, 19(2), 177-216. | 미소장 |
18 | Milgram, P., & Kishno, F. (1994). A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s. IEICE Transactions on Infomation Systems, 77(12), 1321-1329. | 미소장 |
19 | Papagiannis, H. (2018). 증강 인간-기술이 새로운 현실을 만드는 방법. (문은주 옮김). 서울: 에이콘. (원저 출판, 2017) | 미소장 |
20 | www.medgadget.com/2007/08/snowworld_vr_for_pain.html | 미소장 |
21 | www.reddit.com/r/iphone/comments/ji5dnx/3d_print_using_iphone_12_pros_lidar_s enso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