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기초 어휘 선정을 위한 말뭉치의 설계와 구성 =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rpus for Korean basic vocabulary selection 황은하, 서상규 p. 5-33

한국어 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 The Korea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class 윤지원, 박석준 p. 37-58

(The) student experience of online learning of Korean in an Australian univers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코로나-19기간 호주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학습자 경험 조사 연구 Seong-Chul Shin p. 59-89

한국어 음독 과정에서의 자기 수정 연구 : A study on self-correction of the Korean oral reading performance : through miscues analysis of a Chinese Korean speaker / 중국인 한국어 화자의 오독 분석을 중심으로 劉人博 p. 91-113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에'의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aspect of 'ei' : focusing on proficiency and native languages / 숙달도와 언어권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심묘 p. 115-159

보조사 '따라'의 화용론적 의미 = The pragmatic meaning of focus particle 'ttala' 정순화 p. 161-185

한국 음식명에 관한 형태론적 고찰 = A study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n food names 정한데로, 백정옥 p. 187-222

종결어미‘-지(요)’의 의미와 용법 : Meanings and usage of the final ending '-지(요)' : fucusing[실은 focusing] on '-지(요)' in a declarative sentences / 평서문에 쓰인 ‘-지(요)’를 중심으로 정희정 p. 223-250

실시간 온라인 쌍방향 한국어교육실습 운영 방안 : The study on how to operate real-time online interactive practic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classroom observation and microteaching / 강의참관 및 모의수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박수연, 이은경 p. 251-279

한국어 보조동사 ‘-(어) 주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A study on Chinese corresponding aspects of Korean auxiliary verb '-ə juda' 양효항 p. 281-308

한국어 텍스트의 토큰화 방법에 관한 언어학적 연구 = A linguistic study on tokenization methods for Korean text : fastText 단어 임베딩을 이용하여 전태희 p. 309-354

한국어교육 학위 논문에서의 조사 '이/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issertations on the topic of particles 'i/ka' 오선영 p. 355-388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척도 함축 해석에 대한 실험 연구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scalar implicatures by English learners of Korean 박유경, 김영은 p. 389-437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대상 연어 목록 선정 연구 : Study on collocation list selection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ing on drama scripts /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박유경, 이미혜 p. 439-464

(The) dative puzzle in Chinese revisited = 중국어 여격 구문의 재고 Hyunjun Park, Myung-Kwan Park p. 465-492

비대면 한국어 수업 현황 분석을 통한 교육적 제언 = Educational suggestion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non-face-to-face Korean classes 박지순 p. 493-521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량과 한국어 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size and Korean proficiency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 중국 대학의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미미, 왕억문, 원미진 p. 523-544

'거리다'의 역문법화 = Degrammaticalization of geolida 김교연 p. 545-577

몽골인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단모음 /ㅡ/ 습득 양상 = Mongolian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short vowel '/ɨ/' following to their proficiency Wuyunbielike Yeerdengjiafu, 김영주 p. 579-603

Thanks to Biden, but no thanks to Trump : 미국 민주당 논평에 나타난 바이든과 트럼프의 재현에 대한 분석 / an analysis of representations of Biden and Trump in the Democratic Party's official commentary Heechung Nam p. 605-630

정보화 입문자의 첫발 떼기를 위한 디딤돌 = A stepping stone to take the first step toward information service beginners : 고광윤(2019)를 중심으로 [서평] 최정도 [평] p. 633-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