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 마당극 공연사 연구 = The study on history of Korea Madangkuk performances / 서상규 1
국문초록 1
I. 서론 2
1.1. 연구의 필요성 2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2
II. 마당극 공연사 3
2.1. 70년대의 마당극 (태동 및 성장기) 3
2.2. 80년대의 마당극 (확산 및 전성기) 5
2.3. 90년대 중반 이후의 마당극 (정체 및 침체기) 7
2.4. 마당극 공연의 역사적 의의 14
III. 결론 및 제언 15
참고문헌 16
ABSTRACT 1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인배(1992). 민족극과 예술운동 제3호. 대원사. | 미소장 |
2 | 임진택(1990). 민중연희의 창조.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3 | 채희완, 임진택(1985). 한국의 민중극.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4 | 김도일(2011). 1980년대 이후 마당극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월덕(2000). 마당극의 공연학적 특성과 문화적 의미. 한국극예술연구, 11, 349-378. | 미소장 |
6 | 김현민(1993). 1970년대 마당극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배선애(2003). 1970년대 마당극의 양식 정립과정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18, 191-234. | 미소장 |
8 | 이영미(1988). 작품 리뷰. 문화포털. | 미소장 |
9 | http://www.getdol.com/ | 미소장 |
10 | http://onekoreaart.or.kr/ | 미소장 |
11 | http://www.dureart.co.kr/ | 미소장 |
12 | http://www.wukumchi.co.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