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엘리트 태권도지도자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프리젠티즘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job environment, job engagement and presenteeism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 / 강익원 ; 하민성 1
Abstract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4
1. 연구대상 4
2. 조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4
3. 자료처리 7
III. 결과 7
1. 정규성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7
2. 측정모형 검증 8
3. 구조모형 검증 8
IV. 논의 9
V. 결론 및 제언 11
참고문헌 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environment, job engagement and presenteeism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 To this end, data from 250 elite taekwondo instructors registered with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were collected. however 14 of the collected data were excluded due to inconsistent responses. Therefore, the data of 236 elite taekwondo instructor was used for a final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environment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job enthusias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environment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s had a negative(-)significant effect on presenteeis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engagement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s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present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environment, job engagement and presenteeism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 To this end, data from 250 elite taekwondo instructors registered with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were collected. however 14 of the collected data were excluded due to inconsistent responses. Therefore, the data of 236 elite taekwondo instructor was used for a final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environment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job enthusias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environment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s had a negative(-)significant effect on presenteeis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engagement of elite taekwondo instructors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presentism.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민, 김순례(2010). 산업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9(2), 159-169. | 미소장 |
2 | 김일환, 정성국, 신승엽, 최준재(2007). 사격지도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6(4), 137-146. | 미소장 |
3 | 김재희(2018). 영유아 교사의 근무여건 및 직업만족도가 정신건강과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7(3), 171-179. | 미소장 |
4 | 김지태, 심영균(2018). 장애인태권도 지도자의 역할스트레스가 감정노동과 번아웃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7(6), 323-334. | 미소장 |
5 | 김학환(2021). 엘리트 태권도지도자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및 프리젠티즘의 관계.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2(1), 75-89. | 미소장 |
6 | 박노윤(2011).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효과. 경영교육연구, 26(5), 543-573. | 미소장 |
7 | 박소연(2020).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요구, 통제, 보상을 중심으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8 | 서대원, 김희정, 장순호(2018). 태권도지도자의 번아웃(Burnout)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태권도연구, 9(2), 181-197. | 미소장 |
9 | 손영아, 이형룡(2019). 호텔직원의 일-생활 균형에 따른 주관적 웰빙이 직무열의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영향. 관광레저연구, 31(6), 55-75. | 미소장 |
10 | 신한일보(2021). 학교 운동부 지도자 폭력⋅금품수수 등 비위 속출.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 w.html?idxno=1463870 | 미소장 |
11 | 심영균, 김수연, 서은철(2020). 엘리트 태권도지도자의 직무환경과 그릿 및 코칭열의 관계. 무예연구, 14(3), 125-142. | 미소장 |
12 | 심영균, 김지태, 이석준(2019). 심판스트레스와 번아웃 및 프리젠티즘의 관계: 태권도심판을 대상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8(6), 389-401. | 미소장 |
13 | 심영균, 서은철(2021). Rasch 모형을 적용한 프리젠티즘(Presenteeism) 척도의 타당도 증거: 장애인스포츠지도사와 생활스포츠지도사의 비교.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9(3), 119-129. | 미소장 |
14 | 안재찬, 정재환(2020).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 이후, 태권도계의 변화와 선택. 한국스포츠학회지, 18(4), 747-756. | 미소장 |
15 | 양지인, 김민수, 김영택(2019).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일-생활 균형에 따른 주관적 웰빙이 직무열의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7(5), 17-36. | 미소장 |
16 | 유용준, 이우만, 정구인(2016). 청소년 축구지도자들의 고용불안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43-57. | 미소장 |
17 | 이근철, 김용세, 이강헌(2019).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과 프리젠티즘, 훈련지도 성과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30(1), 34-44. | 미소장 |
18 | 이근철, 이강헌(2017).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과 코치-선수 관계에서 코칭열정과 직무열의의 다중매개효과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8(3), 25-34. | 미소장 |
19 | 이랑, 김완석, 신강현(2006).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역할: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9(4), 573-596. | 미소장 |
20 | 이영미, 정문희(2008). 간호사의 건강문제에 따른 프리젠티즘과 결근율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3), 459-468. | 미소장 |
21 | 이인성(2016). 호텔 종사원의 근무환경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9(6), 233-245. | 미소장 |
22 | 이정현(2020). 외식기업의 고용환경변화가 종사원의 직무요구, 직무소진, 프리젠티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3 | 이진혁, 이석준, 정대남(2021).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관계: 장애인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6(3), 107-113. | 미소장 |
24 | 전익기, 이경호, 조성균, 곽정현(2002).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환경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1(1), 253-265. | 미소장 |
25 | 최민석, 정승언(2016). 직무소진과 작업열의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창조와 혁신, 9(3), 63-93. | 미소장 |
26 | 하철수, 김수연, 최명수(2009). 태권도 선수들이 선호하는 지도행동유형에 따른 만족 및 경기력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11(1), 113-124. | 미소장 |
27 | 한태영, 박수연(2011). 직무열의에 대한 성과코칭 및 팀 과업의 영향: 인사평가효과성 피드백환경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597-626. | 미소장 |
28 |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19(1), 161-177. | 미소장 |
29 | 황승미(2017). 직무요구-자원 이론을 이용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소진, 직무열의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30 |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 미소장 |
31 | Aronsson, G., Gustafsson, K. & Dallner, M. (2000). Sick but yet at work. An empirical study of sickness presenteeism.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4(7), 502-509. | 미소장 |
32 | Bockerman, P., & Laukkanen, E. (2009). Presenteeism in Finland: Determinants by gender and the sector of economy. Ege Akademik Bakış Dergisi, 9(3). | 미소장 |
33 | Christian, M. S., Garza, A. S., & Slaughter, J. E. (2011). Work engagement: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64(1), 89-136. | 미소장 |
34 | De Beer, L. T. (2014). The effect of presenteeism-related health conditions on employee work engagement levels: A comparison between groups. SA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4(1). 1-9. | 미소장 |
35 | De Witte, H., Pienaar, J., & De Cuyper, N. (2016). Review of 30 years of longitudinal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health and well-being: Is there causal evidence? Australian Psychologist, 51(1), 18-31. | 미소장 |
36 |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 Schaufeli, W. B. (2001).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 미소장 |
37 | Hansen, C. D., & Andersen, J. H. (2008). Going ill to work - What personal circumstances, attitudes and work-related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ickness presenteeism.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7(6), 956-964. | 미소장 |
38 | Kahn, W. A.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4), 692-724. | 미소장 |
39 | Lohaus, D., & Habermann, W. (2019). Presenteeism: A review and research direc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9(1), 43-58. | 미소장 |
40 | OSEN(2021). 사의 표명→감독대행, 김사니 코치를 둘러싼 상식밖의 결정, IBK의 미래는? http://osen.mt.co.kr/article/G1111701386 | 미소장 |
41 | Schaufeli, W. B., & Bakker, A. B.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5(3), 293-315. | 미소장 |
42 | Turpin, R. S., Ozminkowski, R. J., Sharda, C. E., Collins, J. J., Berger, M. L., Billotti, G. M., & Nicholson,S.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anford presenteeism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11), 1123-1133. | 미소장 |
43 |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