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 특수성 고려되고 있나
|
김현
|
p. 18-19
|
|
|
|
해기사 수급 차질 대응해야
|
전영우
|
p. 20
|
|
|
|
수산식품클러스터 성공의 마지막 퍼즐, '혁신 기술 개발'
|
심길보
|
p. 21
|
|
|
|
스마트 양식 위한 투트랙 인재 양성
|
권혁준
|
p. 22-23
|
|
|
|
해양수산 통합행정,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
양희철
|
p. 24-25
|
|
|
|
바다내비게이션은 어디를 부유하고 있는가 : 7년 동안 쏟아부은 예산과 인력… 결과는?
|
김엘진
|
p. 28-32
|
|
|
|
"'어류' 제외한 반쪽짜리 수산부산물법 안돼" : 환경부의 퇴행적 이기주의?
|
정상원
|
p. 33-35
|
|
|
|
대선 후보별 해양수산 공약 : 농어촌 기본소득·주민수당·공익직불제 등 약속
|
박종면
|
p. 36-39
|
|
|
|
해수부, 13년 만에 수산물이력제 재편 : '생산중심' 이력제로 추진… 일각에선 비판도
|
정상원
|
p. 40-41
|
|
|
|
해운사 과징금 이후… 해운업계 과제 : 명확한 해운법·공동행위 규정 마련해야
|
김엘진
|
p. 42-43
|
|
|
|
부경신항수협, '조합원 제명결의 소송' 패소 : 진해신항 건설 어업피해 갈등 지속
|
박종면
|
p. 44-45
|
|
|
|
참치가 멸종 위기라고? "No" : WCPFC, 다랑어류 '지속 가능' 상태 확인
|
박종면
|
p. 46-47
|
|
|
|
농해수위, 농어업 '전략·과제' 대선후보에 전달 : '미래세대 농어업·농어촌의 중장기 발전 위한 제언' 발표
|
김비도
|
p. 48
|
|
|
|
"디지털 혁신으로 풍요로운 어장 만든다" : 이춘우 한국수산자원공단 이사장 [인터뷰]
|
이춘우 [인터뷰이] ; 박종면 [취재]
|
p. 50-53
|
|
|
|
"KMI, 문제 해결형 조직 만든다" : 김종덕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인터뷰]
|
김종덕 [인터뷰이] ; 박종면 [취재]
|
p. 54-57
|
|
|
|
첫 내부 출신 김태곤 해양환경공단 상임이사, 등기임원 중 유일
|
정상원
|
p. 58
|
|
|
|
"화합으로 위기 극복하겠다" : 3대째 조합장 된 박성호 멸치수협 조합장
|
박종면
|
p. 59
|
|
|
|
디지털 해양수산으로 전환 준비해야 : 2022 해양수산 전망 : 총괄·수산
|
정상원
|
p. 62-65
|
|
|
|
해양 공간 두고 갈등 확산… 중재 대책은? : 2022 해양수산 전망 : 해양
|
정상원
|
p. 66-67
|
|
|
|
"미래 항만경쟁력, 디지털 항만 공급사슬 트윈 구축에 달려" : 2022 해양수산 전망 : 해운·물류
|
김엘진
|
p. 68-71
|
|
|
|
"창립 100주년, 하나되는 조합으로 거듭날 것" : 구룡포수협
|
박종면
|
p. 72-74
|
|
|
|
"해양, 고고학 아우를 전문 인력 양성 시급" : 국내 유일 해양문화유산 종합 연구기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김엘진
|
p. 75-77
|
|
|
|
365일 바닷길 교통 안전 지킴이 : 인천항해상교통관제센터
|
김엘진
|
p. 78-81
|
|
|
|
'아쿠아포닉스', 농수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
김종성
|
p. 82-85
|
|
|
|
갯벌이 준 선물 : 전남도 무안군 도리포
|
김준
|
p. 88-91
|
|
|
|
『갈숲』에 실린 향파의 일기가 지닌 문화사적 의의. 3
|
남송우
|
p. 92-93
|
|
|
|
행정청 뒤에 숨어버린 다른 행정청의 책임은 어떻게 물어야 하나? : 영일군 권한쟁의 사건
|
한수연
|
p. 94-95
|
|
|
|
공유수면매립법상 입어자의 의미는? : 입어자 손실보상 사건
|
김민경
|
p. 96-97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