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세계 각국의 민족은 자신의 국토의 삶과 기후 풍토, 지역특산 산물과 식습관 및 식생활 등에 따라 색다른 전통식품이 만들어 진다. 한국은 오랫동안 농경을 중심으로 먹거리를 해오며 쌀과 함께 곁들일 채소류를 중심으로 조미료가 발달되었고, 염절임 기법을 통해 발효식품을 만들었다. 이러한 발효식품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종은 Lactobacillus sp.과 Pediococcus sp. 및 Bacillus sp. 등과 같은 유산균을 분리할 수 있었고 다양한 방법으로 동정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는 한국전통발효식품을 통해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고,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였다. 그리고 우수 후보 균주의 인공위액 및 담즙액에 대한 내성과 용혈능 등을 검토하여 최종 균주를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유산균은 3종의 prebiotics와 혼합한 synbiotics로서의 항균활성 능력을 평가하였다. 1차 항균 활성에서 C13은 인체 및 어류질병세균에서 가장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보였고, β-haemolysis를 생산하지 않고 인공위액과 담즙액의 내성을 지닌 M1, K1 및 C13을 synbiotics의2차 항균 활성을 수행하였다. Prebiotics 3종(FOS, GOS, Inulin)과 선별된 균주가 혼합된 synbiotics에서는 이전 보다 항균 활성이 증진 또는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16 rDNA 염기서열 결과, K1과 M1은 Bacillus tequiensis 99.72%, Bacillus subtilis 99.65%, Bacillus inaquosorum 99.72%, Bacillus cabrialesii 99.72%, Bacillus stercoris 99.58%, Bacillus spizizenii 99.58%, Bacillus halotolerans 99.58%, Bacillus mojavensis 99.51%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C13은 Bacillus velezensis 99.71%, Bacillus nematocida 99.36%, Bacillus amyloliquefaciens 99.44%, Bacillus atrophaeus 99.22%, Bacillus nakamurai 99.44%로 분석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xploring staphylococcus aureus virulence factors : special emphasis on staphyloxanthin Fatma Al-zahraa A. Yehia, Nehal Yousef, Momen Askoura p. 467-477

How do bacteria maximize their cellular assets? Juhyun Kim p. 478-484

B16F10 세포에서의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활성 검증 = Whitening effect of Abelmoschus esculentus on melanoma cells (B16F10) 유단희, 이인철 p. 485-492

Discovery of argyrin-producing Archangium gephyra MEHO_001 and identification of its argyrin biosynthetic genes Juo Choi, Taejoon Park, Daun Kang, Jeongju Lee, Yungpil Kim, Pilgoo Lee, Gregory J.Y. Chung, Kyungyun Cho p. 493-50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starter yeasts from traditional Moroccan sourdoughs Mouna Aouine, Asmae Misbah, Soumya Elabed, Abdelatif Haggoud, Iraqui Houssaini Mohammed, Saad Ibnsouda Koraichi p. 501-509

Minor coat protein pIII domain (N1N2) of bacteriophage CTXφ confers a novel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 for rapid detection of Vibrio cholerae Hae Ja Shin, Seok Hywan Hyeon, Jae Ho Cho, Woon Ki Lim p. 510-518

모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의 다제내성 균에 대한 항용혈 및 항균 효과 = Anti-hemolytic an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of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d from human breast milk 이은지, 이정은, 조소연, 김수빈, 유두나, 국무창, 김애정 p. 519-527

Microalgae, Tetraselmis tetrathele has alopecia prevention and scalp improvement Si-Hyang Park, Kyong-Dong Lee, Ginnae Ahn, Hye-Jin Park, Kap Seong Choi, Jiyeon Chun, Sun-Yup Shim p. 528-533

CRISPR 간섭에 필요한 sgRNA 표적 인식 서열 길이의 결정 = Determination of the length of target recognition sequence in sgRNA required for CRISPR interference 김범준, 김병찬, 이호중, 이상준 p. 534-542

Anti-inflammatory and anti-fibrotic activities of Nocardiopsis sp. 13G027 in lipopolysaccharide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stimulated nasal polyp-derived fibroblasts Grace Choi, Geum Jin Kim, Hyukjae Choi, Il-Whan Choi, Dae-Sung Lee p. 543-551

한국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Probiotics의 특징 및 Synbiotics 항균활성 효과 =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synbiotics 문채윤, 허문수 p. 552-558

Lactic Acid Bacteria (LAB)와 5-L 발효기를 이용한 γ-Aminobutyric Acid 생산기술 개발 = Evaluation of γ-aminobutyric acid (GABA)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using 5-L fermentor 김나연, 김지민, 라채훈 p. 559-565

Produc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 and 1-deoxynojirimycin by Bacillus subtilis MORI Young Shik Park, Jae Yeon Lee, Kyo Yeol Hwang, Keun Kim p. 566-575

근권 토양과 뿌리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p.의 항진균 활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및 미네랄 가용화능 비교 =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y,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and mineral-solubilizing ability of Bacillus sp.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and root 김희숙, 오가윤, 이송민, 김지윤, 이광희, 이상현, 장정수 p. 576-586

Determination of semen quality and antibacterial susceptibility pattern of bacteria isolated from semen of Iraqi subjects Anwer Jaber Faisal, Hamzah Abdulrahman Salman p. 587-593

(The) inhibitory effect of NLRP3 deficiency in hepatocellular carcinoma SK-Hep1 cells Wonhyeok Choi, Hyosun Cho p. 594-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