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팬데믹 환경에서의 1인 태권도장의 경영과 안전관리 = One-man management in a pandemic environment management environment for safety management of taekwondo academy / 김두한 ; 박영만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 목적 2

II. 연구방법 3

1. 연구 참여자 3

2. 심층면담 3

3. 조사 절차 3

4. 자료 처리 3

5. 연구의 타당성 3

III. 연구결과 4

1. 팬데믹 환경에서 1인 경영 태권도장으로의 전환 4

2. 1인 경영 태권도장의 안전관리 6

IV. 논의 6

V. 결론 및 제언 7

참고문헌 8

초록보기

1인 경영 체제로 전환한 태권도장들은 지난 2년간 다음의 과정을 차례로 겪으면서 태권도장의 경영 안정화를 이루어냈다. 도출된 1인 태권도장화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수련생의 감소와 고용사범의 이탈에 의해 태권도장 경영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였다. 둘째, 변화가 불가피한 태권도장 운영에 대해 학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하면서 상호 소통하면서 갈등을 겪기도 하고 해결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문제 해결책을 찾아 1인 경영 체계를 수립하여 기본 운영 체계를 수립하여 태권도장 운영을 시작하였다. 넷째, 1인 경영의 안정화 접어들어 1인 태권도장 경영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전관리 체계를 우선 확보하였다. 1인 경영 체제의 태권도장 운영을 시작하고 팬데믹 환경에서 태권도장의 지도자들이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수련생의 상해 예방을 위해 시설 및 장비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다. 둘째, 1인 경영자가 대응 가능하도록 운영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셋째, 감염증 관리는 반드시 정부의 방역시책을 준수 하는 것이다. 넷째, 안전사고에 대비해 인적 물적 자원을 별도로 준비하는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뮬레이션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기술준비도가 기술수용의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chnology readiness of simulation golf on technology acceptanc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 comparative between generations / 세대 간 비교분석 이인엽, 김동규, 최철환 p. 1-12

보기
스포츠지도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의 인과 관계 :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of sports leader : focusing on the new silver generation / 뉴실버세대 중심으로 김우식, 김병윤 p. 13-24

보기
국내브랜드의 해외스포츠스폰서십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ocal brands' communication activities through global sports sponsorship upon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강준상 p. 25-33

보기
코로나19시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태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leisur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rona 19 pandemic era 엄준함, 왕운, 이원휘, 왕배녕, 박그레이스, 황향희 p. 35-44

보기
코로나-19시대 실내체육시설 사용실태 및 운동 참여형태에 따른 지각된 건강 상태 분석 = Analysis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use of indoor sports facilities in the era of COVID-19 and the type of exercise participation 박주형, 백형진, 김성언 p. 45-53

보기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렛츠런파크 부산경남 테마파크로써의 활성화 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for vitalize as a theme park of the Let's Run Park Busan Gyeongnam using social big data analysis 이재문, 장용석 p. 55-67

보기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gular low-intensity exercise on the stress level and the life quality of homemakers = 규칙적인 걷기운동과 저강도 운동이 전업주부의 스트레스 수준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on, WonHo p. 69-78

보기
생활체육 동호인의 대인관계능력, 팀 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team commitment,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of life sports enthusiasts 백형진 p. 79-88

보기
공군사관학교 체육교수의 멘토링 역할이 사관생도의 감정반응 및 생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physical education professor's mentoring role on the cadets' emotional response and cadets' life satisfaction in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cademy 전기제, 박상섭, 김인기 p. 89-98

보기
COVID-19로 인한 태권도전공 비대면 강의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교육몰입 및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aekwondo non-face-to-face lecture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educational commit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due to COVID-19 박태승 p. 99-108

보기
탁구 동호인의 참여동기와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의 연구 = The study on participation motivation, exercise immersion, and exercise continuation behavior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조용순 p. 109-118

보기
유아 체육강사의 전문성 확보 방안 탐색 = A study on ensuring the expertise of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곽은정 p. 119-130

보기
무용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타당도 탐색 : Exploring alternative validity in dance qualitative research : validity of post positivism / 후기 실증주의 타당도 서재성 p. 131-140

보기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포츠활동 수준에 따른 학업열의 및 주의집중 간의 차이 검증 =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academic enthusiasm and attenti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sports activity level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강민구, 신승아 p. 141-150

보기
루만의 관찰 관점을 통해 스포츠 새로 보기 = A new observation of sport with Luhmann's observation concept 박상현, 양승혁 p. 151-159

보기
스포츠 참여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재미요인 및 대학생활만족 간의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un fact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정용, 문경은 p. 161-169

보기
커리어 우먼의 스포츠웨어 속성에 따른 구매행동 질적연구 = Career women purchasing according to the sportswear of the property qualitative research 문경은, 정용 p. 171-179

보기
1인 가구의 홈트레이닝 소비가치 분석 = Analysis of consumption value in the home training for single-person households 이나경, 정영남 p. 181-190

보기
정보 공유 플랫폼 SIISP-G 시스템의 기초 구성요소 탐색 : Exploring the basic components of SIISP-G system, an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orts industry / 스포츠산업을 중심으로 연초빙, 이수행, 추종호 p. 191-202

보기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통한 AI기반 모바일스포츠 이용의도 연구 =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AI-based mobile sports through the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류민아 p. 203-213

보기
체육수업 참여자의 내적동기, 학업Grit 및 운동지속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inner motivation, academic grit and exercise continu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nts 장채욱, 김준웅 p. 215-225

보기
지속적 스포츠클럽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제약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tinuous sports club participants' restrictions on exercise participation on depression :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and loneliness /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외로움의 매개효과 김상태 p. 227-237

보기
스포츠센터 구성원의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dividual-environmental fit of sports center employees up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김정만 p. 239-248

보기
생활체육 론볼 교실의 참여에 따른 지체장애인들의 자기관리행동과 운동열정 및 운동지속수행 =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lawn bowls class on self-management behavior, exercise passion, and exercise adherence in the physically disabled 심태영 p. 249-260

보기
퍼스널 트레이닝 고객이 지각하는 지도자 신뢰와 PT만족 및 행동의도의 인과 관계 =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der trust, P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personal training customers 김병윤, 김우식 p. 261-271

보기
기대불일치에 근거한 체육대학 신입생 시기의 진로설정과 졸업 후 직업선택의 변화요인 탐색 = Research about factors of change between the career setting of a freshman at a sports university and job choice after graduation based on the discrepancy in expectations 강명구 p. 273-284

보기
스포츠미디어 콘텐츠 참여요인과 소비행동 관계 연구 =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factors of sport-media contents and consumption behavior 김동재 p. 285-293

보기
대학 체육교과에 온라인 기반 혼합수업방식의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online-based blended teaching method to colleg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하숙례 p. 295-307

보기
중국 온라인 태권도 이벤트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 The directions for activation of online taekwondo events in China 이향화, 김병식 p. 309-316

보기
학교 실내체육시설의 공기 질에 관한 기초연구 = Basic research on air quality of indoor sports facilities in schools 이제승, 김석기 p. 317-326

보기
팬데믹 환경에서의 1인 태권도장의 경영과 안전관리 = One-man management in a pandemic environment management environment for safety management of taekwondo academy 김두한, 박영만 p. 327-334

보기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다문화 스포츠활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multicultural sports activiti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김승진 p. 335-342

보기
캠핑 여성 참가자의 아웃도어 웨어 기능성 선호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unctionality preference of outdoor wear by camping female participant 문경은 p. 343-352

보기
숲체험 참여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유능감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forest experience 김백윤 p. 353-364

보기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따른 커뮤니티댄스 연구동향 : Community dance research trend according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토픽모델링 및 소셜네트워크 분석 한시완, 이제욱 p. 365-378

보기
항노화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anti-aging :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1992-2021) / 등재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92-2021) 옥승철 p. 379-395

보기
저항성 운동 참여 후 정리운동 방법에 따른 직장인의 수면의 질, 통증 및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Sleep quality, pain, muscle function according to cool-down exercises types after resistance exercise in office workers 강일기, 오재근, 권일수 p. 397-405

보기
소근육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뇌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mall muscle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brain wave activity in the elderly 곽호경, 임은조, 김복주 p. 407-417

보기
바벨 백 스쿼트 운동 시 스쿼팅 깊이에 따른 요추 관절의 운동역학적 변인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biomechanical variables of lumbar joint according to squatting depth during the barbell back squat exercise 이재우, 임영태, 권문석 p. 419-426

보기
성인 여성의 건강체력 수준에 따른 우울 관련 지표 비교 = Comparison of depression-related indica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health-related fitness in women 김민준, 김준웅, 오태웅 p. 427-437

보기
시지각 시스템을 활용한 유산소 트레이닝이 젊은 비만 성인들의 BDNF, 인지기능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erobic training with visuoperceptual feedback on 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younger adults with obesity 김대은, 문광현 p. 439-450

보기
연령별 복합체력 운동참여가 체력변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mpact force exercise participation by age on physical self-concept, stress coping style and physical fitness change 김아름, 최종인, 이상현 p. 451-462

보기
스포츠용품 선택속성에 따른 가치-태도-행동(VAB) 체계분석 = An analysis of value-attitude-behavioral system according to selective attributes of sports goods 김기탁, 신종훈 p. 463-473

보기
왈츠의 Hold와 Rise & Fall 훈련이 중년여성의 전신 평형성 능력과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altz hold and rise & fall training on body balance ability and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of middle-aged women 권금순, 조인호 p. 475-485

보기
코로나 시대 크로스핏 센터의 SNS마케팅 활동이 센터 이미지, 신뢰, 충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NS marketing activities of CrossFit centers in the COVID-19 era on the center's image, trust, loyalt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한이준 p. 487-500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기원(2022). 통계 및 정책 자료. http://www.kukkiwo n.or.kr/front/kor/main.action 미소장
2 권영기(2020, 3월 11일). 호동태권도장, 코로나19 '4인클래스'로 정면돌파 대체 뭐길래? 무카스. 미소장
3 김두한(2018). 태권도장 경영자가 인식하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의 마케팅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6(2), 1-8. 미소장
4 김두한, 이재봉(2020). 태권도 산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대응 방안.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4), 53-61. 미소장
5 김진기, 정경회(2020). 태권도장 지도자와 수련생, 학부모의 관계마케팅, 관계품질, 고객충성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8(3), 217-226. 미소장
6 김하영, 김두한(2018). 사범지도자와 학부모의 관계 탐색을 통한 태권도장 경영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학회지, 16(4), 167-174. 미소장
7 남행웅, 김세아, 조치훈(2011). 태권도장의 서비스품질, 학부모 관여도, 소비자 만족과 참여지속의도의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9(3), 417-429. 미소장
8 박성언, 김나혜(2021). 코로나19 팬데믹(COVID-19Pandemic)에 따른 태권도 도장 지도자들의 일상과 걱정. 한국체육학회지, 60(1), 49-57. 미소장
9 반은아(2020). 코로나19 이후 태권도장의 경영환경 변화 예측 및 대응방안. 국기원태권도연구, 11(4), 15-29. 미소장
10 선우유영, 정윤덕(2021). 코로나19에 따른 태권도 사범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탐색: Giorgi 현상학적 접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4(1), 1-21. 미소장
11 성태제, 시기자(2007).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12 세계보건기구(2021). COVID-19. https://www.who.int/ 미소장
13 신명희(2021). 코로나19 팬데믹 속 태권도 수련의 도덕적 가치. 스포츠와 윤리, 1(2), 1-12. 미소장
14 오상훈, 이정수(2019). 학부모가 지각하는 태권도장 지도자의 이미지, 관계품질, 장기관계지속성간의 구조적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7(1), 131-139. 미소장
15 이미연(2020).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태권도장의 대응방안 연구: 태권도장 경영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9(6), 85-101. 미소장
16 질병관리청(2021). 감염병 유행정보. https://kdca.go.kr/i ndex.es?sid=a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