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평균 수명이 점점 더 길어지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노년은 문학에서도 의미 있는 주제이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노년 여성은 이중의 차별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노년소설에 형상화된 노년 표상에 대한 연구를 여성으로 한정하는 상호교차적 접근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구성한 ‘노년 여성’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계간 문예지 『문학동네』, 『문학과사회』, 『창작과비평』에 수록된 노년소설 열다섯 편을 대상으로 작품 속 노년 여성들이 공유하는 자아 정체감을 탐구했다. 이를 통해 크게 두 측면의 자아 정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측면은 죽어가는 자로서 느끼는 소멸감과 이에 대한 반응이자 위안으로서 가족에게 느끼는 유대감이다. 다른 측면은 대개는 가족과 직접 연관되어 있고 더러는 사회와 직접 연관되어 있는 수치심과 자책감이다.

작품 속 노년 여성 다수가 깊이 품고 있는 이 감정들은 궁극적으로, 인간이 오랫동안 추구해온 남성 중심 사회의 관점에 더하여 근대 이후 점점 더 강하게 추구되는 ‘영원한 청년’의 이상에 부합하지 않는 이들에 대한 타자화에 기반한다. 영원히 젊고 유능한 가상 인간이 생물학적 인간을 점점 더 많은 분야에서 대체하는 시대에 우리가 추구하는 ‘영원한 청년’에 부합할 수 있는 생물학적 인간은 나날이 줄어들 것이다. 윤리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적 차원에서, 우리 사회가 혐오하거나 책임을 전가하는 이들이 처한 삶의 조건을 되돌아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의 환상, 환상의 시 : The fantasy of poetry and the poetry of fantasy : fantasy as an aesthetic that responds to an incomprehensible reality : fantasy that appeared in Kim, Gu-yong’s poems / 불가해한 현실에 대응하는 미학으로서의 환상 : 김구용 시에 나타난 환상을 중심으로 김청우 p. 35-62

전통적 사유방식의 판단 유보와 일상 미학 : Reservation of judgment of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daily aesthetics : focusing on the novels in the 1980s of Ha, Geun-chan / 하근찬의 8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권경미 p. 87-108

정미경 소설에 나타난 욕망의 양상과 속성 = Aspects and properties of desire appeared in Jung, Mi-kyung's novel 박수현 p. 143-164

한국 노년소설에 형상화된 노년 여성의 자아 정체감 : Representations of self-identity in aging women in Korean novels about old age : focusing on works recorded in three literary magazines from 2000 to 2020 / 2000~2020년 계간 문예지 3종의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심유미 p. 189-212

『조선출판경찰월보』 수록 아나키즘 잡지의 검열 양상과 의미 : Censorship trends and meaning of anarchism magazines in Joseon Chulpan Gyeongchal Wolbo : focusing on the magazine published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 재일조선인 발행 잡지를 중심으로 이정용, 김정화 p. 213-237

박탈된 주체의 증환과 주이상스 <당신 얼굴 앞에서> = Sinthome and jouissance of the dispossessed subject In Front of Your Face 한귀은 p. 365-393

일제강점기 김해지역 아동문학 연구 = A study o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Gimhae re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박경수 p. 239-269

1970년대 한국 공포영화의 대항문화적 상상력 : The counter-cultural imagination of the Korean horror films in the 1970s : with focus on Fidelity(Sujeol)(1973), Myonyeo(A Cat Woman)(1974), You Become a Star, too (Neo ttohan byeol-i doe-eo)(1975) / <수절>(1973), <묘녀>(1974), <너 또한 별이 되어>(1975)를 중심으로 김지영 p. 305-336

워맨스에서 레즈비언 로맨스로 : From womance to lesbian romance : focusing on Mama-Search WWW-Mine / <마마>-<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마인>에 이르기까지 이문우 p. 337-364

김환태 비평의 또 다른 근원 : Another source of Kim Hwan-Tae's criticism : Francis Grierson's Art, Science, and Beauty / 프란시스 그리어슨의 「예술과 과학과 미와」 김영범 p. 395-426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 World literature as method : focusing on the discourse of foreign/national literature and the recognition of post-backwardness in the 1970s /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박연희 p. 427-454

<정을선전>의 악인 형상화와 그 의미 = The evil character figur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Jeongeulseonjeon 백지민 p. 455-475

현대시와 이미지의 역량 : Modern poetry and competency of the image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image and light / 시각 이미지와 빛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권혁웅 p. 9-33

정지용 초기시의 실존 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in the early poetry of Jeong, Ji-yong 황사랑 p. 63-86

혁명과 변소 : The revolution and toilet : an aversion and the narrative of counter-conduct in the 4·19 representation novels / 4·19 재현소설 속 혐오스러움과 대항품행의 서사 김주리 p. 109-142

5·18과 서사 : 5·18 and narrative : pain, body, representation : focusing on Lim, Cheol-woo's early novels / 고통, 신체, 재현 : 임철우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박숙자 p. 165-188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한국학 교수요목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yllabus design of Korean studies for blended learning 진대연 p. 477-508

일본군 ‘위안부’ 재현의 포스트메모리적 양상 분석 : Post-memorial analysis on the reproduction of the ‘comfort women’ : focusing on the documentary film Comfort / 다큐멘터리 영화 <보드랍게>를 중심으로 김지언 p. 271-304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채운, 「겨울선인장」, 『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2001 겨울호. 미소장
2 김원일, 「나는 누구냐」,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00 가을호. 미소장
3 김 훈, 「저만치 혼자서」,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4 여름호. 미소장
4 윤성희, 「5초 후에」,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08 가을호. 미소장
5 윤성희, 「어느 밤」,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8 겨울호. 미소장
6 윤이형, 「대니」,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13 가을호. 미소장
7 은희경, 「금성녀」,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3 가을호. 미소장
8 이승우, 「마음의 부력」,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20 봄호. 미소장
9 정소현, 「돌아오다」,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09 봄호. 미소장
10 정소현, 「품위 있는 삶」,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9 봄호. 미소장
11 조남주, 「매화나무 아래」,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20 겨울호. 미소장
12 조해진, 「사물과의 작별」,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14 겨울호. 미소장
13 편혜영, 「야행」, 『문학과사회』, 문학과지성사, 2011 여름호. 미소장
14 홍희정, 「앓던 모든 것」,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5 여름호. 미소장
15 황정은, 「파묘」, 『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2019 봄호. 미소장
16 고봉만, 『몽테뉴《수상록》선집: 나이 듦과 죽음에 대하여』, 책세상, 2016. 미소장
17 김애순, 『장·노년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5. 미소장
18 데이비드 스탯, 정태연 옮김, 『심리학 용어 사전』, 이끌리오, 2001. 미소장
19 디디에 앙지외, 권정아·안석 옮김, 『피부자아』, 인간희극, 2017. 미소장
20 마거릿 크룩생크, 이경미 옮김, 『나이듦을 배우다』, 동녘, 2016. 미소장
21 마사 너스바움, 조계원 옮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미소장
22 시몬 드 보부아르, 홍상희·박혜영 옮김, 『노년』, 책세상, 2019. 미소장
23 장 아메리, 김희상 옮김, 『늙어감에 대하여-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돌베개, 2015. 미소장
24 정진웅, 『노년의 문화인류학』,한울, 2012. 미소장
25 조회경, 『한국노년문학연구 Ⅲ』, 푸른사상, 2002. 미소장
26 최명숙, 『21세기에 만난 한국 노년소설 연구』, 푸른사상, 2014. 미소장
27 패트리샤 힐 콜린스·시르마 빌게, 이선진 옮김, 『상호교차성』,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미소장
28 팻 테인 엮음, 슐라미스 사하르 외 6인, 안병직 옮김, 『노년의 역사』, 글항아리, 2012. 미소장
29 하세가와 가즈오·이노쿠바 리쓰코, 『나는 치매 의사입니다』, 라이팅하우스, 2021. 미소장
30 한우리·김보명 외, 『교차성×페미니즘』, 도서출판여이연, 2018. 미소장
31 김경연, 「노년여성의 귀환과 탈가부장제의 징후들」, 『어문논집』 82, 민족어문학회, 2018. 미소장
32 김소륜, 「노년 여성의 몸과 환멸의 서사」, 『한국현대소설연구』 59,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미소장
33 김윤정,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노년기 정체성의 위기와 문학적 대응」, 『한국문학이론과비평』 66,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미소장
34 류종렬, 「한국 현대 노년소설 연구사」, 『한국문학논총』 50, 한국문학회, 2008. 미소장
35 마혜정, 「노년의 욕망: 발설과 은폐」, 『현대문학이론연구』 4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미소장
36 박태상, 「박완서 창작집에 등장한 노년문학 연구」, 『현대소설연구』 72,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미소장
37 양보경, 「박완서 노년소설의 젠더 윤리 양상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3, 숙명여자대학교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미소장
38 정미숙·유제분, 「박완서 노년소설의 젠더시학」, 『한국문학논총』 54, 한국문화회, 2010. 미소장
39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2021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통계청, 2021. 미소장
40 김대영, 「“당혹스럽다” 직원들 반응... ‘올해의 최우수 신입사원’ 누구길래」, 『한국경제』, 2022.1.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