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xt in which South Korean sports welfare policies and systems have started and chang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Drawing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we traced the shifts in the sports welfare policies along with social changes, investigated policy actors and subjects, and examined the content and changes of associated policies and legislation. We collected and analyzed sports welfare-related government reports, policy data, welfare programs, newspaper articles, and academic journals from the 1960s up to now.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the concept of 'sports welfare' first appeared in government data in 1986, and that the sports welfare policies have been led by the government. Specifically, in the 1980s and 1990s, the government laid the foundation of sports welfare by building sport facilities and developing programs. From 2000 to the mid 2010s,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welfare programs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sport participation to a marginalized population. Recently, the government has carried out sport projects tailored for each age group, institutionalizing sport welfare based on the Sports Framework Act and the Sports Welfare Act. South Korean sport welfare policies adopted social environment and the basis of general welfare policies. However, most policies and programs’ initial direction of policies, showing a path-depended tendency. Policies pertaining to coaches, sport vouchers, adapted sport, and senior sport has been newly introduced, rendering some policies layering.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경기도 교육청(2020).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계획. | 미소장 |
2 | 고의석, 조만행(2018). 정부의 체육진흥시설 정책의 과제. 한국산학기술학회, 19(1), 291-299. | 미소장 |
3 | 국정신문(1998.10.19.).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생활체육’늘려 국민건강 다진다. | 미소장 |
4 | 금성희, 남재걸(2017). 우리나라 예술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한국거버넌스학회, 24(1), 235-270. | 미소장 |
5 | 김대희, 임채욱(2015). 체육인복지 및 스포츠안전제도 개선방안 -체육인공제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8(3), 11-31. | 미소장 |
6 | 김명미, 양승원(2020).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활스포츠 복지통합모델 구축. 한국스포츠학회, 18(1), 151-156. | 미소장 |
7 | 김민규, 박수정, 박병권(2018). 스포츠복지문화활성화를 위한 정책요인의 우선순위 산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4(4), 633-657. | 미소장 |
8 | 김민규, 송정란(2018). 스포츠복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요인 탐색. 한국체육학회, 57(3), 263-279. | 미소장 |
9 | 김상겸(2007). 스포츠복지의 헌법적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1), 125-147. | 미소장 |
10 | 김상겸(2017). 헌법 개정과 스포츠기본법의 제정 방향.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4), 3-25. | 미소장 |
11 | 김선희(2010). 청소년스포츠 진흥을 위한 스포츠 교육 지도자 양성. 한국스포츠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5-64. | 미소장 |
12 | 김순영 (2011). 이명박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의 후퇴? 현대정치연구, 4(1), 127-152. | 미소장 |
13 | 김조설(2017). 한국 복지정책 형성의 역사. 서울: 인간과 복지. | 미소장 |
14 | 김학신(2020). 공공체육시설 이용자들의 선택과추구가치가 스포츠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82, 303-312. | 미소장 |
15 | 남덕현 (2020). 한국 특수학교 체육과 장애인체육환경 시대별 변화과정 탐색. 체육과학연구, 31(2), 318-329. | 미소장 |
16 | 남재화, 심규성(2012). 푸코의 담론 이론을 통해 살펴본 스포츠복지 담론의 형성. 한국스포츠학회, 10(4), 251, 269. | 미소장 |
17 | 노용구 (2015). 스포츠복지 개념 및 정책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개발원. | 미소장 |
18 | 노용구, 여경아, 권연택(2017). 스포츠복지의 개념정립과 모형 제안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체육과학회, 26(6), 35-48. | 미소장 |
19 | 대한체육회(2015). 유아체육, 첫 걸음 내딛다. https://www.sports.or.kr/home/010207/0000/view.do?T_IDX=2625 | 미소장 |
20 | 매일경제 (1988.06.20.). 오금洞(동)에 대규모 公園(공원). | 미소장 |
21 | 매일경제 (1991.01.17.). 인터뷰 崔一鴻(최일홍)생활체육협會長(회장). | 미소장 |
22 | 문화관광부(2003). 건강한 삶을 위한 생활체육가이드. | 미소장 |
23 | 문화관광부(2003). 참여정부 국민체육진흥5개년계획. | 미소장 |
24 | 문화채육관광부(2020). 스포츠산업 및 생활체육활력 회복과 과학적 전문체육 육성에 방점. | 미소장 |
25 | 문화체육관광부 (2008). 체육백서. | 미소장 |
26 | 문화체육관광부(2011). 이명박 정부 3년의 문화체육관광분야 주요 성과 2011. | 미소장 |
27 | 문화체육관광부(2021. 05). 문재인정부 4년 100대 국정과제 추진실적. | 미소장 |
28 | 문화체육관광부(2016). 체육백서. | 미소장 |
29 | 박정원, 박수경(2021). 보건의료 연구개발 정책의 변동과정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1(2), 145-175. | 미소장 |
30 | 보건복지부 (2021).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미소장 |
31 | 사회보장위원회 (2021). 사회보장통계-스포츠강좌이용권 수혜자 및 수혜율. https://ww w.ssc.go.kr/stats/infoStats/stats010100_vi ew.do?indicator_id=532&listFile=stats010200&chartId=1751 | 미소장 |
32 | 한국경제60년사편찬위원회(2010). 한국경제 60년사. 서울: 한국경제60년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33 | 손수범(2004).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체육의 변천. 한국체육학회지, 43(5), 23-34. | 미소장 |
34 | 신현규(2005).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과 변천과정고찰.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35 | 심규성(2012). 스포츠복지개념의 형성과정: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21, 55-74. | 미소장 |
36 | 심규성(2014). AHP를 이용한 한국형 스포츠복지에 대한상대적중요도 및 결정요인 분석: 스포츠참가 Client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28, 101-111. | 미소장 |
37 | 오정수(2020). 신 노년층이 체험하는 스포츠 복지인식에 대한 내러티브 탐색. 한국웰니스학회, 15(3), 221-233. | 미소장 |
38 | 유현승(2017). 소외계층 스포츠복지 지원체계문제점의 내용분석: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2(3), 329-248. | 미소장 |
39 | 유현승, 이용호, 이윤수(2018). 소외계층의 스포츠복지 제약척도 개발. 한국웰니스학회지, 13(2), 129-140. | 미소장 |
40 | 이은석, 심규성(2011). 한국의 스포츠복지 개념정립을 위한 메타분석. 한국운동재활학회, 7(1), 29-39. | 미소장 |
41 | 이종하, 석혁기(2008). 노인의 스포츠 참여 실태를 기초로 한 노인 스포츠복지 개선방안. 한국스포츠학회, 6(2), 17-25. | 미소장 |
42 | 이학래(2003). 한국체육백년사. 경기: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43 | 임번장, 노희덕, 강신복, 김동진, 정응근, 박진경 (1990). 생활체육 투자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26-28. | 미소장 |
44 | 임연아(2018). 스포츠 복지시설 및 프로그램이지역주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6(3), 23-30. | 미소장 |
45 | 임채욱(2015). 스포츠복지의 법적 정의와 법률체계 정합성-문화복지와의 비교-.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8(4), 205-235. | 미소장 |
46 | 장영락(2017.04.09.). 문재인 체육분야 공약, “공정성 세우고 자율성 보장…제2의 체육농단 없게”. 머니s. | 미소장 |
47 | 장용근(2015). 생활스포츠복지관점에서의 통합체육회의 재정운영에 대한 헌법정책적 고찰.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1(3), 71-92. | 미소장 |
48 | 장재옥(2007). 복지국가실현을 위한 스포츠의법정책적 과제 ; 스포츠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장애인, 노인, 청소년 스포츠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1), 95-122. | 미소장 |
49 | 정세희, 문영규(2020).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사회서비스 경로변화 연구: 바우처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0(1), 45-73. | 미소장 |
50 | 정영환, 이호근, 신현규(2009). 박정희 정권의스포츠정책 다시보기. 한국사회체육학회, 35(1), 65-73. | 미소장 |
51 | 정용덕, 최태현(1999). 한국 자본주의 국가의 기능과 기구, 1982~ 1997. 행정논총, 37(1), 21-56. | 미소장 |
52 | 정원오(2010). 복지국가. 서울: 책세상. | 미소장 |
53 | 정윤하(2015). 유아체육 지도자들의 조직몰입 요인 재구성.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 399-407. | 미소장 |
54 | 정정길 외 (2018). 정책학원론. 서울: 대한출판사. | 미소장 |
55 | 정헌영(2020). 사회복지정책의 이해. 파주: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56 | 정현우, 김동현(2020). 스포츠복지에서 통합적관점의 의미 및 의의. 한국체육정책학회, 55, 73-89. | 미소장 |
57 | 정혜진, 김홍식(2018). 스포츠복지 개념 정립에 관한연구: 앤서니 기든스의 ‘제3의 길’ 정치 이념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7(4), 83-101. | 미소장 |
58 | 조경환(2020).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4), 305-319. | 미소장 |
59 | 조선일보(1982.10.12.). 테니스場(장),야간照明(조명) 제한 해제. | 미소장 |
60 | 주경일(2005). 1990년대 시군통합과정 분석을통한 행정구역 변화기제 연구. 지방행정연구, 19(2), 93-124. | 미소장 |
61 | 중앙일보(1998.09.19.). [88 서울올림픽 이후 10년…무얼 남겼나]. | 미소장 |
62 | 체육과학연구원 (2007). 제4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미소장 |
63 | 체육부 (1986). 국민체육진흥장기계획. | 미소장 |
64 | 최병호(2014).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변천과 과제. 예산정책연구, 3(1), 89-129. | 미소장 |
65 | 최원재, 김유빈, 강근복(2016).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제도 변동의 맥락과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439-465. | 미소장 |
66 | 최혜선(2016). 스포츠복지 관련 현행 법령 및정책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9(4), 133-158. | 미소장 |
67 | 탁민혁(2018). 스포츠 관련 제도 연구를 위한세 가지 개념도구: 비용, 경로, 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1(1), 171-196. | 미소장 |
68 | 하남길(2011). 체육사 신론. 경상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69 | 하연섭(2006).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진화와 정책연구. 행정논총, 44(2), 217-246. | 미소장 |
70 | 하연섭(2011).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서울: 다산출판사. | 미소장 |
71 | 행정안전부(2013). 대통령기록관 자료. | 미소장 |
72 | 허정호 (2016). 대한체육회, 2017년 예산 3700억원 확정. 조선일보. | 미소장 |
73 | Coakley, J.(2007). Sport in Society: Issue Controversies. McGraw-Hill Education. | 미소장 |
74 | Hogwood B. W., & Peters B. G.(1982), “The Dynamics of Policy Change: Policy Succession”, Policy Sciences 14, 225-245 | 미소장 |
75 | Krasner, S. D. (1984). Approaches to State:Alternative Conception and Hidtorocal Dynamic. Comparative Politics. 16(2), 223-246. | 미소장 |
76 | Peters, B. G. (2016). Institutionalism and public policy. In B. G. Peters, & P. Zittoun(Eds.), Contemporary approaches to public policy. London: Palgrave Macmillan. | 미소장 |
77 | Pierson, P. (2000). Increasing Returns, Path Dependence, and the Study of Politic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4(2), 251-267. | 미소장 |
78 | Sewell, W. H. (1996). Three Temporalities:Toward an Eventful Sociology. In Terrance J. McDonald(eds).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미소장 |
79 | Streeck, W. & Thelen, K. (2005). Introduction:Institutional Change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80 | Thelen, K. (2003). How institutions Evolve:Insight from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