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쿠다가와의 여성들에 대해 고찰 분석한다. 아쿠타가와의 여인으로 잘 알려진 여성은 흔히 5명으로 압축된다. 하지만 알려진 5인 외에도 아쿠타가와의 생애와 작품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나머지 15인의 여인들에 대한 세밀한 검토를 거쳐 논문(1)(2)로 정리하고자 한다. 그 과정으로 우선(1)로 정리한 것이 본 논문이다. 논문(2)의 과정을 거치면 선행연구에서는 볼 수 없는 나름의 독창적이고 유의한 결론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선 논문(1)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아쿠타가와의 어린시절과 청년시절 그리고 결혼까지를 논문(1)의 여성으로 살펴보았으며, 흔히 5인의 잘 알려진 여성으로 요시다 야요이와 부인이었던 쓰카모토 후미가 이시기에 등장한다. 그 외 여성으로 주목할 만한 인물은 요시무라 치요이다. 흔히 아쿠타가와의 첫사랑은 요시다야요이로 알려져 있지만 아쿠타가와에게 의미있는 첫 사랑의 여성으로서 요시무라 치요를 통해, 신분의 차이로 성취되지 못할 사랑임을 알았던 소년 아쿠타가와의 연정을 엿볼 수 있다. 지식이 부족했던 그녀를 섬세하게 보살피는 또 다른 아쿠타가와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요시다 야요이는 빼놓을 수는 없는 인물이다. 파혼이 되고서도 몇 해를 그녀를 그리워하고 못잊어하는 모습에서 인간의 에고이즘에 대한 사고를 분명히 하게 되며, 그러한 경향은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라쇼몬(羅生門)』과 『코(鼻)』가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부인 쓰카모토 후미로, 아쿠타가와가 그녀에게 보낸 많은 연정의 편지문을 통해 결혼까지의 과정을 추리해 보았다. 나머지 15명의 여인 중에는 널리 알려진 여성이 3명이 있으나, 그 외 여성은 대부분 자료를 통해 새로이 추구하고자 하는 여성이 대부분이다. 그의 전 생애에 드리워진 여성들과의 인연과 만남을 통해, 작품 속에 어떠한 모티브로 작용, 혹은 관계로 드러나 있는지, 또한 그것이 사실과 어떻게 평행선을 이루고 있는지 논문(2)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최종 결론을 얻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程度の大きさを表す形容詞に関する一考察 : A study of degree-denoting synonymous adjectives : focussing on Sugoi, Hidoi, and Hageshii / 「すごい」·「ひどい」·「はげしい」を中心に 金英児 p. 7-24

번역과 언어간섭 : Translation and language interference : focused on 'false friends' / '가짜동족어(false friends)'를 중심으로 오경순 p. 25-49

일본 학술논문 서론의 문말표현 사용 양상 : Sentence-ending expressions in the introductions of Japanese academic articles :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 서론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중심으로 임정아 p. 51-74

일본어 아이러니 발화에서 경어 사용의 대인적 기능 : Interpersonal functions of using honorifics in Japanese irony utterance : focusing on senior's response to irony utterance / 아이러니 발화에 대한 상위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신희혜 p. 75-98

学習者の「ところ」表現の習得に関する一考察 : On the usage of TOKORO expressions by Korean learners of JFL / JFL韓国人学習者の使用実態を中心に 黄允實 p. 99-118

外国人留学生の健康とソーシャルキャピタルに関する研究 : Study on the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international students : case study of Nepalese students and Vietnamese students in Japan / ネパール人留学生及びベトナム人留学生の事例より 秋谷公博 p. 119-142

아쿠타가와(芥川)의 여성들 : Akutagawa's women : centered on writer's life and career / 생애와 작가활동을 중심으로 감영희 p. 143-161

고바야시 다키지의 문학에 나타난 마이너리티의 양상 : The representation of the minority in the literature of Kobayashi Takiji : centering on Choseon laborers as marginal men / 경계인으로서의 조선인 노동자를 중심으로 김대양 p. 163-176

환상소설로서의 '나와 오유사마(お遊さま) 이야기' 일고 = A study as a fantasy novel 'The story of me and Oyusama' 이영희 p. 177-189

近代における韓国と日本の放鷹を介した文化交流 : Cultural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rough falconry in modern times using Koraikohonyokotsuho as a clue / 『高麗古本鷹鶻方』を手掛かりにして 二本松泰子 p. 191-206

근대 조선 기생복식 문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 Joseon Gisaeng costume culture 조선희 p. 207-231

1934年愛知県廃娼案にみる遊廓組合の思惑 = "YUKAKU" association's intentions as seen in movement against licensed prostitution in 1934 Aichi Prefecture 眞杉侑里 p. 233-254

アジア太平洋戦争期朝鮮総督府における満洲移民宣伝活動 = Manchurian immigration propaganda activities at the government : general of Chosen during the Asia Pacific War 権力 p. 255-290

식민도시 부산과 유곽 : A study on colonial cities of Busan and Yugwak : focusing on 『Gwanmun Maeseok Newspaper』 and Busan regional newspaper / 『관문매석신문』과 부산 지역신문을 중심으로 임상민 p. 291-304

일본의 스포츠사회학에 관한 이론적 고찰 = A theoretical study on the sports sociology in Japan 오현석 p. 305-317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협정 시행에 따른 영주권 문제 고찰 = A review of the issue of permanent residence following the enforcement of the legal status agreement of Koreans in Japan 이경규 p. 319-334

李秀賢氏の事故後の20年の軌跡への一考察 : A study on Lee Soo-hyun's 20-year trajectory after the accident : as a bridge between Korea and Japan / 「韓国と日本の架け橋」として 俵木はるみ p. 335-350

영화에 투영된 '남성 직장인 은퇴 후 삶'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f "life after retirement as a male office worker" : focusing on the Japanese movie 『Life in overtime』 and the American movie 『The Intern』 / 日 『끝난 사람』과 美 『인턴』을 중심으로 김웅철, 안노 마사히데 p. 351-370

社会福祉領域における「援助者支援」の概念化の試み = An attempt to conceptualize "support for supporters" in the social welfare area 趙正祐 p. 371-390

일본의 복지문화 및 노인문화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welfare culture and the elderly culture in Japan 정기룡 p. 391-410

재난의 연쇄와 오키나와 공동체의 대응 = A chain of disasters and the response of the Okinawan community : 오키나와 의료생활협동조합의 사례와 함께 조경식 p. 411-426

한·일 주식시장에 비트코인의 가격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bitcoin price and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임병진, 임태순 p. 427-446

일본 미에현 토바시 오사츠마을의 지역DMO 사례 = Regional DMO case in Osatsu-Cho, Toba-City, Mie Prefecture, Japan 유형숙, 김미정 p. 447-465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芥川竜之介(1925) 「藤澤清造君に」評論 『新潮』新潮文庫、p.68 미소장
2 富田砕花(1927) 「芥川君を憶ぶ」改造、9月 미소장
3 芥川 文 (1949) 「二十三年ののちに」(図書 12月) 미소장
4 恒藤 恭 (1952) 「旧友芥川竜之介」市民文庫版、27頁 미소장
5 村松梢風(1956) 「芥川と菊池」「文芸」春秋新社 5月刊行、62頁 미소장
6 葛巻義敏(1958) 「芥川のいわゆる初恋」圖書 2月刊行 미소장
7 葛巻義敏(1958) 『芥川をめぐる女性」近代文学鑑賞講座』第11巻、角川書店 미소장
8 葛巻義敏(1958) 『近代文學鑑賞講座 第11卷 芥川竜之介』角川書店、6月刊 미소장
9 芥川竜之介(1968) 「澄堂雜記」『芥川龍之介全集7』角川書房、p.132 미소장
10 葛巻義敏(1968) 「芥川龍之介未定稿短篇」岩波書店、p.201 미소장
11 芥川竜之介(1977) 『芥川龍之介全集第3卷』東京: 岩波書店、p.515 미소장
12 芥川竜之介(1977-1978) 『芥川龍之介全集』제10권、11권、岩波書店 미소장
13 芥川竜之介(1979) 『筑摩全集類聚 芥川龍之介全集第四巻』筑摩書房、p.13 미소장
14 芥川竜之介(1983) 『日本文学アルバム芥川竜之介』13의 21항、新潮社 미소장
15 芥川竜之介(1986) 『芥川龍之介全集1』東京: 筑摩書房、p.432 미소장
16 芥川竜之介(1987) 『芥川龍之介全集4,5』東京: 筑摩書房、p.423、p.448、p.512 미소장
17 芥川竜之介(1987) 「昭和文学全集 第1巻」『点鬼簿』第1巻、小学館 初版 미소장
18 芥川竜之介(1998) 「芥川龍之介全集 第二十三巻」岩波書店 미소장
19 菊地 弘(1994) 『芥川竜之介一表現と存在』明治書院、p.100 미소장
20 関口安義(1995) 『芥川龍之介についての評伝』岩波新書 미소장
21 関口安義(1999) 『芥川龍之介とその時代』筑摩書房、p.89 미소장
22 進士素丸(2019) 『文豪どうかしてる逸話集』角川 미소장
23 https://news.livedoor.com(검색 2021.11.05) 미소장
24 https://pdmagazine.jp/people/akutagawa/(검색 2021.11.05) 미소장
25 https://www.aozora.gr.jp/cards/000879/files/25_15244.html (검색일: 2021.10.01.) 미소장
26 https://blog.goo.ne.jp/utakata96/e/ (검색일: 2021.09.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