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일본신화와 일본애니메이션 『이웃집 도토로』, 『이세계 식당』, 『피아노의 숲』, 『미요리의 숲』을 중심으로 ‘수목’ 관련 모티프와 일본의 상대 문헌 속 신화적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각각의 ‘이미지 차용’이 의미하는 상징성을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일본 최고(最古) 문헌인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풍토기(風土記)』를 비교텍스트로 하여 신화 속 전승을 추출하고, 각 애니메이션 속 ‘수목 터널’과 ‘나무 밑동’, ‘거목 구스노키’, ‘숲’이라는 장치를 핵심 키워드로 비교・고찰하였다.
각각의 모티프들은 공통으로 공간적 배경을 위한 장치였으며 동시에 이계(異界)와 현계(現界)를 넘나들며 신의 사자인 정령과 인간들이 소통하는 ‘이동’과 ‘통로’의 이미지로 차용, 상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 ‘거목 숭배 사상’이 더해져 인간 세상과 분리된 그 ‘어떤 세계’의 상징적 이미지로 경외과 숭배의 대상으로 묘사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일본의 고대시대를 중심으로 일본신화 전승고증을 통해 일본인의 수목 사상과의 관계성을 규명했다는 점이 기존 연구과 차별성이 있다. 특히 『이웃집 도토로』를 제외한 나머지 3작품 속 ‘수목 사상’ 대한 ‘신화적 접근’이 최초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수목 사상에 대한 이미지 ‘변용’ 모티프 분석이 약간의 아쉬움으로 남지만 추후 과제에서 규명하고자 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岩波大系67(1974), 『日本書記』, 岩波書店 | 미소장 |
2 | 青木和夫외(1983), 『古事記』, 岩波書店 | 미소장 |
3 | 植垣節也(1997), 『風土記』, 小学館 | 미소장 |
4 | 宮崎駿(1988), 『이웃집 도토로(となりのトトロ)』, 스튜디오 지브리 | 미소장 |
5 | 小島正幸(2007), 『피아노의 숲(ピアノの森)』, NAS | 매드하우스 | 미소장 |
6 | 山本二三(2007), 『미요리의 숲(ミヨリの森)』, 에이프릴 엔터테인먼트 | 미소장 |
7 | 神保昌登(2017), 『이세계 식당(異世界食堂)』, SILVER LINK. | 미소장 |
8 | 권해주(2010),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의 『이웃집 도토로』(となりのトトロ)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 『日本語敎育』 51, 한국일본어교육학회, pp.197-210. | 미소장 |
9 | 김미선(2020), 『일본 상대 문헌에 나타난 수목(樹木)관』, 경희대학교 학위논문, p.81. | 미소장 |
10 | 김성숙·임부연(2013),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 속의 생명사상과 존재론에 대한 연구:「원령공주」에서나타난 “숲”을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pp.123-149. | 미소장 |
11 | 김종태(2010).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한국문예비평연구, 32, pp.349-373. | 미소장 |
12 | 노성환(2009), 『고사기』, 민속원, p.74. | 미소장 |
13 | 박인하(2003), 『아니메 미학에세이』, 바다출판사, p.40. | 미소장 |
14 | 손지연·Teshima Takahiro(2020), 「펜데믹 시대의 애니메이션 읽기 『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 속 인간· 자연·병 』」, 『일본연구』 85,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pp.103-125. | 미소장 |
15 | 上田正昭(1991), 『古代伝承史の研究』, 塙書房, p.346. | 미소장 |
16 | 上田正昭(2003), 『日本の神話を考える』, 小学館, p.139. | 미소장 |
17 | 宮崎駿(1999), 『出発点1979~1996』, 徳間書店, p.486. | 미소장 |
18 | Hayao Miyazaki(1988), 『The Art of Totoro』, 徳間書店, p.10. | 미소장 |
19 | 平凡社編集部(2007), 『世界大百科事典13』, 藤井正雄:生命の樹, 平凡社, pp.265-266. | 미소장 |
20 | 笹生衛監修 外(2012), 『神社と御神木·社叢: 「神社祭祀と御神木に関する調査」』, 国学院大学神道資料館, p.4. | 미소장 |
21 | スタジオジブリ文春文庫編((2013), 『となりのトトロ』, 文芸秋, p.37. | 미소장 |
22 | 佐藤洋一郎(2013), 『スノキ巨樹の信仰と崇拝:神さまとなった生き物たち』, ビオストーリー: 生き物文化誌 : 人と自然の新しい物語 /『ビオストーリー』, 編集委員会 編, pp.48-5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