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부모의 진로 기대와 자녀의 진로 결정의 일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An autoethnography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student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an inclusive class / 이선숙 ; 왕정원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선행연구 분석 3
II. 연구방법 5
1.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5
2. 측정 변인 6
3. 분석방법 8
III. 분석결과 9
1. 학생과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 9
2. 학생과 학부모의 진로 기대 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
IV. 논의 및 결론 18
참고문헌 22
Abstract 24
부모가 자녀의 진로에 대해 갖는 기대는 자녀의 진로 결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둘이 일치하느냐 불일치하느냐에 따라 상호간 관계와 자녀의 실제 진로에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모의 진로 기대가 자녀의 진로 결정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그리고 이러한 일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2005년에 중학교 1학년에 입학하여 2010년에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하고 대입이나 취업 등의 진로 선택 단계에 도달한 학생 6,908명과 동수의 학부모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반수 이상의 사례에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진로 기대와 자녀의 진로 결정이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학생과 관련한 변수 중에서 학생 성별과 학생 출생 순위, 학생진로활동참여의 세 가지 변수가 모두 종속변수인 일치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와 관련한 변수 중에서는 학부모 학력, 가계 월소득, 사교육 여부, 학부모 정서적 지원, 학부모 진학 활동참여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학부모 성별과 학부모의 교육적 지원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학부모의 진학활동 참여, 학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자녀의 사교육 지원 등은 학생과 학부모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태도로서 보다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와 진학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있을 경우 이러한 일치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부모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진로를 지원하고 자녀의 선택에 수용과 격려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직접적인 교육적 개입보다 유의미한 방향으로 자녀의 진로 결정과의 일치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녀의 진로에 대한 지지와 격려와 같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윤아, 신현기(2019).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교육연구, 14(1), 1-28. | 미소장 |
2 | 교육부(2020). 202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3 | 김민지(2017). 특수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학생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성애(2007). 21세기 유아교육의 과제에 따른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역할.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5-71. | 미소장 |
5 | 김순희, 이은주(2020). 초등학교 완전통합학급 운영 현황 및 담임교사의 지원 요구. 통합교육연구, 15(2), 1-27. | 미소장 |
6 |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 Ⅰ: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7 | 김의정, 김애화, 최혜승, 권택환(201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 실시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교과교육연구, 15(4), 991-1019. | 미소장 |
8 | 김정혜, 최성욱(2012).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교사교육연구, 51(3), 488-506. | 미소장 |
9 | 김주혜, 김희규, 박찬영(2020).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교사제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통합교육연구, 15(1), 1-24. | 미소장 |
10 | 방희선(2002).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초·중·고등학생의 수용태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변찬석, 강병주, 김성화(2009).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 관련요인에 대한 인식수준과 만족도. 정서·행동장애연구, 25(2), 215-238. | 미소장 |
12 | 손지영, 임장현(2020). 전일제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부모의 지원 요구. 특수교육연구, 27(1), 207-237. | 미소장 |
13 | 손지영, 임장현(2021). 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통합교육지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탐색. 특수교육논총, 37(1), 83-106. | 미소장 |
14 | 이동성(2010).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학생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13(3), 141-168. | 미소장 |
15 | 이동성(2012).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16 | 이동성, 주재홍, 김영천(2013).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경 고찰. 다문화교육연구, 6(1), 51-72. | 미소장 |
17 | 이은주, 홍진희(2012). 특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또래관계와 수업 및 학급이동에 대한 인식. 통합교육연구, 7(2), 1-28. | 미소장 |
18 | 조태곤(2016).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도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1), 105-129. | 미소장 |
19 | 지종민(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4), 181-205. | 미소장 |
20 | Chang, H. (2008). Autoethnography as method. Walnut Greek, CA: Left Coast Press, Inc. | 미소장 |
21 | Saldaña, J. (2009).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SAGE Publications Lt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