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최남선이 주도한 <신문관> 발행 잡지에 등장한 호랑이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은 <신문관>에서 발행한 잡지 중 호랑이 이미지를 표지로 내세우거나 호랑이를 강조한 잡지 - 『아이들보이』, 『붉은 저고리』, 『소년』, 『새별』, 『청춘』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신문관> 발행 잡지의 호랑이 표상이 지닌 특징과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문관>의 호랑이는 한반도와 호랑이 형상이 유사함을 주장하며 국토의 표상을 제시하였다. 당대 일본 학자들이 한반도를 힘없고 나약한 토끼라 규정하였을 때, 최남선은 한반도의 지형이 호랑이와 유사함을 주장하였고, 이를 대중화 하는데 성공하였다. 2) 민족적 표상과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근대 열강들의 침탈이 계속되었던 20세기 초, 강인함과 용맹함을 지닌 호랑이의 긍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이를 우리 민족의 표상이자 미래상으로 제시함으로써 암울한 시기 대중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3) 독자별 맞춤형 호랑이를 제시하였다. 이렇듯 연령별로 차별화된 호랑이 이미지는 독자들에게 친밀감을 높이는 기제로 작용했다. 4) 기법적인 면에서 다양한 호랑이를 제시하였다. 『소년』의 호랑이가 한반도 지형을 토대로 도안을 시도했다면 『아이들보이』에서는 증명사진을 찍듯 호랑이 얼굴만 확대하여 의인화한 호랑이를 선보였고, 마지막 호의 표지는 아르데코 기법으로 수직과 수선, 삼각형, 네모를 이용하여 호랑이를 최대한 추상, 단순화하여 표현하였다. 『새별』의 호랑이가 캐릭터 풍으로 제시되었다면, 『청춘』 창간호의 호랑이는 강하고 용맹한 기운을 떨치는 호랑이로 등장하였다. 이렇듯 호랑이를 묘사하는 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시도들은 이전부터 있어 온 호랑이 이미지의 수동적 재현이 아닌 능동적인 호랑이 상(像)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he) influence of visual elements of bank logo design on corporate image : 은행 로고의 시각적 요소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대표적인 중국의 은행 브랜드를 중심으로 / focused on representative Chinese banking brands Jia Tingting, Park, Yong Jin p. 1-18

현대미술에서 텍스트를 활용한 예술 표현방식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artistic expression method using text in contemporary art :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that show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s /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관계성을 보여주는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고경호, 구영은 p. 19-30

유아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교육 공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pace focus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 focused on Montessori, Waldorf and Leggio Emilia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and facilities / 몬테소리, 발도르프, 레지오 에밀리아 유아교육 이론과 유아교육 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강혜승, 임경란 p. 31-42

20세기 여성복 테일러드 재킷의 의복구성 변천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construction of women's tailored jackets in the 20th century 김경아 p. 43-62

선종화와 현대적 디자인의 조형적 상관성 : The formative correlation between Zen painting and modern design : focusing on modern graphic design of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 현대 동아시아 3개국의 그래픽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상규 p. 63-75

피부미용실의 서비스품질과 고객의 전환장벽 및 전환의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s well as switching barriers and switching intentions of customers in beauty salons 김설아, 방효진 p. 77-89

<신문관> 발행 잡지의 호랑이 표상 연구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igers in magazines, published by <Sinmungwan> 김소연 p. 91-102

소수자 예술에서 나타나는 권력의 가시화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power in minority art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work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김정이 p. 103-119

학령기 여아의 체간부 체형 분석 = An analysis of the torso shapes of elementary school girls 김지민 p. 121-132

소비자 제품에 사용된 라티스 구조의 특성 활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the use of characteristics of lattice structures in consumer products 김지헌 p. 133-146

전통 짜임을 응용한 테이블웨어 개발 연구 : A study on tableware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Zzaim(setting-up) : focusing on plates / 플레이트 중심으로 남궁선 p. 147-158

영화의 비물리적 카메라 무브먼트에 의한 공간 연출 = A space produced by non-physical camera movements in films 박민주 p. 159-170

Research on flipped-class teaching mode based on software course learning in art and design = 예술 디자인 소프트웨어 과목 학습을 기반으로 한 반전 수업 교육모드에 관한 연구 Xu, Qun, Shin, Jaewook p. 171-184

조형예술작품에 나타나는 예술가의 시각화된 '글쓰기'에 관한 분석 = Analysis on visualized 'writing' of artist in artworks 서정배 p. 185-198

한글 타이포그래피와 미감의 교차양상 대응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crossmodal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typography and taste : revolving around the difference in taste according to the typeface shape and boldness / 서체 형태와 두께에 따른 미감 차이를 중심으로 서혜란, 김성계 p. 199-211

포토 리터러시를 활용한 문화예술활동이 중년여성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n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photo literacy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 woman 신연하 p. 213-227

아르테 포베라의 표현형식 연구 : Research on the expression form of Arte Povera : focused on fiber materials / 섬유적 소재를 중심으로 안은선 p. 229-243

애니메이션의 유희 요소 분석 : A study on the amusement elements of animation : based on the "PororoⅠ" / "뽀로로Ⅰ"을 중심으로 양한빈, 정우용 p. 245-256

(A) study on the functional form of knock-down furniture based on affordance : 어포던스에 기초한 넉다운(knock-down) 가구의 기능적 형태에 관한 연구 : 현대적 목공의 결합법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modern mortise-and-tenon joints Wang, Qin, Kim, Jin Sung p. 257-272

조선 후기 풍속화와 중국 청대(1644~1911년)풍속화의 비교 = A comparison between Korean genre paintings in the later period and Chinese genre paintings in the Qing Dynasty (1644-1911) 왕소우, 유동관 p. 273-291

인지적 체험 기반의 한·중 박물관 체험디자인에 관한 비교 연구 =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ptual experience-based Sino-Korean-China museum design 왕홍레, 오치규 p. 293-304

양자역학의 코펜하겐 해석적 관점에서 본 현대 회화론 연구 = A study on a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paint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penhagen interpretation in quantum mechanics 원영태 p. 305-321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렌즈기반 미디어 팀프로젝트 수업효과 분석 = Analysis of class effect for project-based learni[n]g with lens based media after COVID-19 pandemic 유기상 p. 323-336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usage intention of mobile simple payment system : focused on WeChat Hongbao / 위챗 홍바오(紅包)를 중심으로 유천, 이홍, 김형우 p. 337-353

예술 재료로서 섬유가 지니는 의미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extiles as a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works by contemporary artists / 현대 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윤정희, 차영순 p. 355-367

구한말 사자관(寫字官) 필체 기반의 폰트 디자인. Font design based on the handwriting of Sachaguan(寫字官)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2, 'Hangeul Jaemin 2.0' including 4,888 KS X 1001 Chinese characters / 2, KS X 1001 한자 4,888자를 포함한 한글재민2.0 이규선, 박윤정 p. 369-380

권오상의 정물 조각에 나타난 구축과 해체의 공존 = Coexistence of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in Osang Gwon's still-life sculpture 이문정 p. 381-394

'만짐'과 거리 조정에 의한 마를렌 뒤마 회화의 정치성 = Politicality of Marlene Dumas' paintings by 'touching' and distance coordination 이보람 p. 395-406

4년제 대학 시각디자인 전공자의 정보문해력 향상을 위한 정보디자인 교육모델 연구 = The study of information design education model to enhance the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college students of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이주훈 p. 407-420

메리 켈리(Mary Kelly)의 작품에 드러난 여성해방운동과 여성기록 연구 = A study on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women archives in the artwork of Mary Kelly 이혜린 p. 421-433

MOBA 장르 게임 플레이어의 기호소비에 대한 연구 : Research on the symbol consumption of players in MOBA game : focused on <Honor of Kings> / <Honor of Kings(王者榮耀)>를 중심으로 장함교 p. 435-450

주얼리산업에서의 환경영향성평가를 위한 예비 연구 : Preliminary research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jewelry industry : focusing on environmental certification and the self declared environmental system / 환경인증 및 환경성자기주장제도를 중심으로 정보원, 민복기 p. 451-464

론 뮤익의 조각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미학 = Aesthetics of life and death in sculpture of Ron Mueck 정연이 p. 465-479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스마트 스트랩 디자인 제안 : A smart strap design proposal on the utilisation of SCAMPER : focused on MR TIME / MR TIME을 기반으로 정자영, 장경국 p. 481-494

느린학습자용 폰트개발을 위한 글자 요소 실험 Ver.1.0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nt for slow learners based on character element experiment ver.1.0 : using eye-tracking measurement / Eye-Tracking 측정을 활용한 연구 조안나, 박윤정 p. 495-510

근대 건축물의 보존을 위한 역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al value and architectural value for preservation of modern historical buildings : focused on Walker House in Busan / 부산 워커하우스를 중심으로 조정형, 하봉규, 이재정, 남인용 p. 511-522

공론장 실천을 위한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 '문화적 보철물'시리즈 연구 = A study on 'cultural prosthetics' series of Krzysztof Wodiczko, for practical actions in the public sphere 주세균 p. 523-534

금속 조형 녹청착색 연구 : A study on process for metal coloring : with focus on blue-green patina of copper and bronze / 동과 브론즈의 녹청착색을 중심으로 최하나, 장현숙 p. 535-550

그래픽 조형 관점에서의 만다라 도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andara geometry from the perspective of graphic form 판윈팅, 장혜진 p. 551-566

SNS 화장품 광고에 등장하는 KOL의 특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L appearing in SNS cosmetic ads on purchase intention : take the advertisement for the perfect diary brand in The Xiaohongshu / 샤오홍슈(Xiaohongshu)의 퍼펙트 다이어리(PERFECT DIARY) 광고를 중심으로 황양언, 구자준 p. 567-581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o, Eun-Jung (2017), Ahan Joongshik's Potrait Painting - Transition to existence -, Association of Biographical Art History in Korea', (13), 75-123 미소장
2 Cho, Eun-Sook (2003). A Study about "Burk'eun Jeogory (A Red Korean jacket)", the Children's Newspaper in the 1910's,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4(2), 101-135 미소장
3 Choi, Nam-seon (1908). Sonyun, Sinmungwan 미소장
4 Choi, Nam-seon (1908). Sonyun, Sinmungwan 미소장
5 Choi, Nam-seon (1927). First Time Seeing Pur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DongAIlbo, 3 미소장
6 Choi, Nam-seon (1955). The early days of Korean literature, Modern Literature 미소장
7 Choi, Hyun Sik (2006). A Crucial Shift from "New Daehan" to "Great Chosun" -the modernity of magazine So-nyeon poems 미소장
8 Kim, Kyung Hee (2016). The Status of Choseon Dongwha Woori Dongmu in Fairy Tales Written During the 1920', The Korea Association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Young Adlult, 2016, (19), 7–49 미소장
9 Mok, Soo-hyun (2014). The imagination of Korean territory in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 Focused on the theory of Choi Nam-sun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57, 13-39 미소장
10 Park, Yong-Gyu (2011). A Study on Choi, Nam-Seon's perception of Rea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Changes in the Magazine So-Nyeon: Focused o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Youths Student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1), 461-484 미소장
11 Seo, Yuri (2013). Study on Cover Images of Magazines in Moder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