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른바 ‘4차산업혁명’의 전개와 함께 기술발전의 속도가 빨라지고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간숙련도의 관리자가 소멸하고 중간층이 몰락하고 있다. 인문학 전공자가 갈 곳을 잃고, 대학에서 인문학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유럽에서 근대대학이 성립한 이후 교양교육은 대학교육의 비판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장치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인문학의 위기와 함께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차지하는 위상도 함께 동요하고 있다.
해방 이후 한국대학의 교양교육은 일본식과 미국식 모델이 절충되는 가운데 가치중립적 성격이 강화됨과 함께 전공교육의 주변적 성격 역시 심화되었다. 1974년 한국사가 대학에서 법정 교양과목으로 지정되면서, 한국사 교양교육은 폭발적으로 확대되었다. 국책과목으로 지정되면서 강화된 한국사 교육의 민족주의적 성격은 1989년 국책과목에서 해제된 이후에도 어느정도 유지되고 있다. 근대역사학의 토대가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비판성과 보편성 그리고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한국사 교양교육을 모색해나가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숙(2002). “미군정기 대학 단일화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29(2), 한국교육개발원, 433-453. | 미소장 |
2 | 강명숙(2002). “미군정기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교육사학 24(1), 한국교육사학회, 87-104. | 미소장 |
3 | 강명숙(2003). “미군정기 고등교육 개혁의 특징과 성격”, 교육비평 13. 교육비평사, 250-267. | 미소장 |
4 | 고석규(1989). “대학의 한국사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역사비평 1989년 봄호, 역사비평사, 24-30. | 미소장 |
5 | 김기봉(2009). 역사들이 속삭인다, 프로네시스. | 미소장 |
6 | 김기봉(2019). “인공지능 시대 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인간⋅환경⋅미래 22,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63-88. | 미소장 |
7 | 김기봉(2020a). “미래를 위한 ‘역사학 선언’과 빅히스토리”, 서양사론 144, 서양사학회, 226-255. | 미소장 |
8 | 김기봉(2020b). “포스트코로나 문명전환과 컴퓨터역사학”, 한국사학사학보 42, 한국사학사학회, 239-262. | 미소장 |
9 | 김기봉(2021). “AI시대 역사학, 컴퓨터 역사학”, 사림 76, 수선사학회, 1-29. | 미소장 |
10 | 김종철(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 녹색평론사. | 미소장 |
11 | 김지형(2015). “대학 교양 ‘한국사’의 역사와 현실 - 시기별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4), 한국교양교육학회, 371-399. | 미소장 |
12 | 김한종(2011). “대학 교양 역사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양논총 4,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1-15. | 미소장 |
13 | 김현진, 정병설, 임호준, 이석재, 신혜경, 박훈, 김현진, 이영목 (2018). 인문학의 성찰과 전망, 사회평론. | 미소장 |
14 | 나인호(2016). “국사를 넘어선 교육”, 대구사학 124, 대구사학회, 243-270. | 미소장 |
15 | 다니엘 벨(1994). 교양교육의 개혁, 송미섭 역, 민음사. | 미소장 |
16 | 마코비츠 대니얼(2019). 엘리트 세습, 서정아 역, 세종, 160-340. | 미소장 |
17 | 문재경(2016).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민족정체성 교육 문제”, 역사와교육 14, 역사교육연구소, 9-22. | 미소장 |
18 | 박정하(2020). “기초학문과 대학교육”, 제4회 리베르타스 교양교육 심포지움. | 미소장 |
19 | 박혜정(2017). “대학 세계사 교양교육을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 역사교육논집 64, 역사교육학회, 3-26. | 미소장 |
20 | 박혜정(2020). “21세기 교양교육의 융합학문적 지도 그리기 - 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을 통하여”, 교양교육연구 14(6), 교양교육학회, 25-37. | 미소장 |
21 | 백승수(2012).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 형성 과정 분석”, 교양교육연구 6(4), 한국교양교육학회, 321-352. | 미소장 |
22 | 백승수(2018).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교양교육연구 12(5), 한국교양교육학회, 231-250. | 미소장 |
23 | 백승철(1990). “대학에서의 교양 한국사교육”, 역사와현실 4, 한국역사연구회, 127-148. | 미소장 |
24 | 서스킨드 대니얼(2020).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김정아 역, 와이즈베리, 44-64. | 미소장 |
25 | 손승남(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11(1), 한국교양교육학회, 13-37. | 미소장 |
26 | 서정혁(2020). “대학의 교양교육에 대한 철학적 성찰 - 헤겔의 법철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149-160. | 미소장 |
27 | 신주백(2010). “대학에서 교양 역사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한국근현대사연구 53, 한국근현대사학회, 176-209. | 미소장 |
28 | 신주백(2021), 한국역사학의 전환, 휴머니스트, 281-430. | 미소장 |
29 | 아벤트 라이언(2018). 노동의 미래, 안진환 역, 민음사, 164-198. | 미소장 |
30 | 안병우(1996). “대학 한국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역사와현실 20, 한국역사연구회, 68-87. | 미소장 |
31 | 안홍선(2017). 식민지 중등교육체제 형성과 실업교육, 교육과학사. | 미소장 |
32 | 양재혁(2020), “과거의 재현에서 시뮬레이션으로”, Homo Migrans 22, 이주사학회, 148-177. | 미소장 |
33 | 오종록(2004). “대학 한국사 교양교육의 실태와 개혁방안”, 역사와현실 52, 한국역사연구회, 51-88. | 미소장 |
34 | 요시다 아야(2020). “일본의 교양교육: 70년간의 모색”, 교양교육학회 제2회 창파강좌 발표문. | 미소장 |
35 | 우석훈(2014). 솔로계급의 경제학, 한울, 131-153. | 미소장 |
36 | 유지아(2011).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5(1), 한국교양교육학회, 195-228. | 미소장 |
37 | 이상동, 박충식(2020). “From Data to Agents - 한국 디지털역사학의 현주소와 AI시대의 역사학”, Homo Migrans 22, 이주사학회, 178-202. | 미소장 |
38 | 이영달(2021). 메리토크라시, 행복한북클럽. | 미소장 |
39 | 이정옥(2015).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교양교육연구 9(3), 한국교양교육학회, 11-37. | 미소장 |
40 | 자카리아 파리드(2015). 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강주헌 역, 사회평론, 11-41. | 미소장 |
41 | 최상훈(2009). “대학 역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연구 15, 서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7-39. | 미소장 |
42 | 최용규, 이광원(2011). “초등학교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안 탐색”, 사회과교육연구 18(1), 사회과교육연구회, 65-80. | 미소장 |
43 | 최종철(2007).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 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 한국교양교육학회, 209-232. | 미소장 |
44 | 최형욱(2021). 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시대가 온다, 한스미디어. | 미소장 |
45 | 칸트 임마누엘(2012). 학부들의 논쟁, 오진역 역, 도서출판 비. | 미소장 |
46 | 크리스천 데이비드, 베인 밥(2013). 빅 히스토리, 조지형 역, 해나무. | 미소장 |
47 | 하경수(2020).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지형도 변화와 초등학교 현대사 교육”, HOMO MIGRANS 22,이주사학회, 284-318. | 미소장 |
48 | 허준(2020). 대학의 과거와 미래,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70-85. | 미소장 |
49 | Ivan Jablonka(2018). 歷史は現代文學である, 眞野倫平譯, 名古屋大學出版會.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