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고려인 청소년의 생태체계 속 다양한 삶의 적응 모습을 밝히며 적극적인지원방안을 제안함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 지도경험이 풍부한지역사회 교사 5명의 심층면담 자료를 토대로 고려인 청소년의 개인, 가족, 학교, 사회, 국가, 초국가적 삶의 모습은 어떠한지 그리고 그 삶 속에 내재한 문제와 이슈는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일상 속에서 이들은 같은 처지의 주변 친구들과 어울리며 지내지만, 삶의 희망과 계획도 없이 존재감을 찾지 못하여 좌절감을 느끼고 방황하는 모습들이 포착되었다. 불안정한 부모의 삶이 자녀들의 삶에도 투영되어 표출되었다. 학교생활에서는 두려움과 배제를 경험하였고 양면적인 적응모습이 나타났다. 모범적인 학생이 한계에 부딪치며 학교를 탈퇴하고, 교사의 관심과 지원에 따라 이들의 적응모습도 달라진다. 사회적으로 이들에게는 이중언어 능력, 비자, 진로/취업이 필수적이다.

이들은 외국인으로서 교육과 복지 서비스에서 배제되지만, 익숙한 한국에 정착하고자노동비자나 국적취득을 원하였다. 또한, 한국인과 유사한 외모로 동질감과 공동체 의식을 갖지만 고려인 이주역사는 잘 모른다. 이들은 일상의 삶 속에서 언어와 문화가 다른 양국가를 오고가며 초국가적으로 산다. 더 나은 진로와 취업기회를 위해 러시아학교 졸업장도 원한다. 양국가의 법과 제도적 경계로 인해 유랑하는 이방인으로서 초국가적인 삶은 지속할 수 밖에 없다. 이에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생태체계 속문화적 환경개선과 체계적인 적응과 정착을 지원할 교육과 복지 정책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휴먼 다문화주의의 등장 : Emergence of posthuman multiculturalism :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 이론적 기초, 개념적 범주, 그리고 주요 특성 박휴용 p. 1-23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다문화 연구동향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cultural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윤영, 한승규, 이창봉 p. 25-50

다문화사회의 공정과 정의에 관한 관견(管見) = Perspectives on fairness and justi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손영화 p. 51-81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생태체계 속 삶의 적응 모습 : Aspects of adaptation to life in their ecological system of "Koryein" youth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local community teachers / 지역사회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남부현, 박미숙 p. 83-120
다문화 공간 스토리텔링을 위한 향유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consumers' cognition for multicultural spatial storytelling : focusing on social media network analysis /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윤희진 p. 121-144

결혼이주여성의 유형별 일터학습과 일터적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workplace learning and workplace adaptation by types of married migrant women 이정금, 심현 p. 145-178

다문화가정 방문교육지도사의 돌봄 서비스 :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care services practice by visiting educators for multicultural family / 실천에 관한 의미 탐색 남정연, 김영순 p. 179-205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 다문화 단원 분석 = Analysis of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units in high school social textbooks 장양기 p. 207-229
국내 체류 외국인 유형별 거주지 분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istribution by types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Republic of Korea :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multicultural living environment / 다문화 생활환경 개선에의 정책적 함의 박영수 p. 231-253
보육교사들의 다문화가정자녀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childcare experience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채경란 p. 255-289
IB 교육과정 접근법에 따른 PYP 통합 수업 구성 방안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integrated class of PYP based on the IB curriculum approaches : for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in Korea / 국내 국제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미강 p. 319-336
이슬람 수피의례 참여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 A ethnograph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Islamic sufi ritual 권요셉 p. 337-362
일본 애니메이션의 신화적 모티프를 활용한 심층문화 교육 자료로서의 가능성 고찰 = A reference of the possibility of deep culture education materials using the mythical motifs of Japanese animation 박신영 p. 363-380
생태환경 문화 기반의 퍼포먼스 창작 사례 : Case study of creative performance based on eco-environmental culture : focusing on the play 'Fate' / 연극 '인연' 작품 중심으로 노광흔, 전영국 p. 381-400
미술관 소장품을 활용한 대중 참여전시 = Public participatory exhibition using museum collection 박성혜 p. 401-415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섬 인문지형 변동과 섬 정체성의 변화 : Changes in the island humanistic topography and the island identity due to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 focused on the ecological-cultural background and methodology / 생태·문화적 배경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홍선기 p. 417-441

COVID-19 국가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대국민 메시지에 대한 화법 양상 분석 = Analysis of the speech pattern of the government's message to the public in the face of the COVID-19 national crisis 김윤정, 조성윤 p. 443-476
학업중단 청소년이 경험한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또래애착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experienced by youths who have stopped studying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peer attachment :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송진영, 민장배 p. 497-519
노인의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 The impact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suicidal ideation among elderly peopl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임현승, 전온주 p. 521-539
대학골프선수들의 전공선택 및 진로결정과정 연구 = The study of academic major sele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iate golf athletes 손승범, 박수정, 서호정 p. 541-561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을 활용한 2018 초등·중학 문해교육과정 분석 = Analysis of the 201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using Posner's curriculum analysis theory 윤미경, 이희수 p. 291-318
불확실성 시대에 균형잡힌 삶의 가치 탐색과 적용 : Exploring and applying the value of a balanced life in an era of uncertainty : focusing on the lecture of liberal arts on a balanced life in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 인지, 정서, 행동상의 균형잡힌 삶 교양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종희 p. 477-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