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성인 대상 음악치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32편, 학술지 논문 7편, 총 3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발달장애성인 대상 음악치료 연구의 연도별 동향은 2015년에 5편(12.8%)으로 가장 많은 편수가 발표되었다. 연구 대상별로 살펴보면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20대가 32편(40.5%)으로 가장 많았으며,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가 34편(75.6%)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 연구 유형은 양적연구가 24편(61.5%)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치료 회기 분석에서 회기 시간은 40~60분 미만이 25편(64.1%)으로 가장 많았으며, 총 회기는 11~15회기가 18편(46.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측정도구는 심리측정이 30편(73.2%)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내용별 분석에서 연구 주제는 사회성 관련 연구가 18편(36.0%)으로 가장 많았으며, 음악치료 중재 방법은혼합기법이 19편(48.7%)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진아(2004).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의 사회인지 기능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권나미(2016). 아동 및 청소년 관련 음악치료 연구동향: 한국과 미국의 학술지 비교분석(1999-2015),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권세라(2019). 장애인복지시설 이용 발달장애 성인의 프로그램형 음악활동 참여현황 및 욕구조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영신(2020).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음악치료 동향 및 과제”,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2(2), 1-28. | 미소장 |
5 | 김원순(2021). “긍정심리미술프로그램이 발달장애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PERMA모델기반으로”, 문화와 융합 43(1), 957-978. | 미소장 |
6 | 김진숙(2010). “샤머니즘과 예술치료”.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7 | 김하영(2018). “등재학술지 내 음악치료 연구 게재 동향”,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5(2), 1-22. | 미소장 |
8 | 문지영(2010).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14(2), 199-221. | 미소장 |
9 | 보건복지부(2021). “장애인 등록 현황(2020)”, 보건복지부 현황자료. | 미소장 |
10 | 변미정(2014). 음악치료 관련 연구 경향분석: 석사학위 논문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선원필, 소희정(2019). “예술치료”, 서울: 피와이메이트. | 미소장 |
12 | 송혜나(2018). 국내 음악치료전공 학위논문 분석 연구,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석사학윈논문. | 미소장 |
13 | 신백수(2021). 한국 음악치료 연구 동향분석: 석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오지은(2015).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현황 및 중재 실행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이보라(2021). 상담이론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 동향: 국내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이은미, 백은령(2010). “지적장애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경험 및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4(2), 63-90. | 미소장 |
17 | 이진영(2012). 지적장애 대상 음악치료 관련 국내 학위논문 경향분석(1999-2012),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장경주(2017). 성인 발달장애인의 부모와 형제의 경험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장애인복지법(2021).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 (2021. 12. 09.) | 미소장 |
20 | 조현아(2013).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형황 분석”, 인간행동과음악연구 10(2), 55-77. | 미소장 |
21 | 최귀희, 박윤미(2020). “뇌성마비 장애인 대상 국내 예술치료 연구동향분석–2000~2017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7(1): 109-129. | 미소장 |
22 | 최주희, 남상인(2013). “지적장애인의 상동행동과 상호작용에 대한 음악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3(2), 153-175. | 미소장 |
23 | 최주희, 문송이, 남현우(2020).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4), 47-78. | 미소장 |
24 | 최주희(2021). 예술심리치료의 지평확대를 위한 양자역학 및 기호학적 시론(試論),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한수정(2021). “성인장애인의 음악교육 활동에 관한 연구”, 문화와융합 43(4), 293-324. | 미소장 |
26 | Atkins, S. S.(2008).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예술과 삶의 창조적 과정(최애나, 이병국 역), 서울: 푸른솔. (원전은 2003에 출판) | 미소장 |
27 | APA(2015). “ 진단 및 통계 편람(제5판)”(권준수 역),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8 | Cruz, R. F., & Feder, B. (2015). “예술치료에서의 평가와 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번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 미소장 |
29 | Oh, H., & Lee, E. K. O. (2009). “Caregiver burden and social support among mothers ra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Development and Education 56(2), 149-167. | 미소장 |
30 | Schalkwijk, F. W. (1994). Music an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ic therapy, remedial music making, and musical activitie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