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국내 노동시장의 주된 이슈 중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청년층의 고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된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이하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의 단기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15,285명과 비수혜자 1,200명 총 16,485명을 분석대상에 활용하였다. 단기성과 분석지표는 구직활동 특성과 경제활동 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구직활동 특성은 구직활동 수행 여부, 구직활동 수행범위, 구직/창업 활용 시간, 진로/취업과 관련된 구직자의 생각이나 상황 총 4개의 세부 지표를, 경제활동 특성은 아르바이트 수행 여부, 아르바이트 수행시간 및 아르바이트 근무 일수 총 3개의 세부 지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및 분산분석(ANOVA)을, 그리고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생변인을 공변량으로 처리한 후 공분산분석(ANCOVA)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이 비수혜자 집단 대비 구직활동을 수행했다고 응답한 비율과 구직활동 평균 수행범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은 비수혜자 집단 대비 구직활동 및 취업(창업) 활용 시간과 진로 및 취업과 관련된 구직자의 인식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은 비수혜자 집단 대비 아르바이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과 더불어 하루 평균 업무 수행시간과 주당 근무 일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수혜자 집단 선정 시 다양한 선정기준을 적용해야 하며 표집 과정 역시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진행해야 한다. 둘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와 같은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효과성 분석 시 수혜자 중 조기 취업자를 반영한 성과 비교분석이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와 같은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체계적인 효과성 분석을 위해 경제적 측면과 더불어 청년층의 심리적 차원의 변화와 같은 질적인 영역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장기성과 지표를 개발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직장인의 주도성과 일 의미 관계에서 진로적응성,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job crafting between proactivity and work meaning : based on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 진로구성이론 적응모형을 기반으로 김나래 p. 1-22
진로전담교사 지각에 의한 학교관리자의 진로교육 중요성 인식과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관계에서 진로교육 지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upport for career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teachers' job performance 형찬주, 박주호 p. 23-40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adaptability : targeting college students /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정연 p. 41-56
청년층 대상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단기성과 분석 = Analysis of short-term performance on the program of youth job seeking support fund 정진철, 양인준, 고재성 p. 57-79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job performance of career teachers in high schools 이승엽, 정철영 p. 163-181
우리나라 국가 진로교육 정책 동향 = National career education policy trends in Korea 정철영, 이영광, 이승엽, 김동주, 김기민, 이진규, 김도현 p. 81-109
다문화 청년들이 경험하는 성인기 진로 선택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choice in adulthood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young adults 김민선, 김재훈, 고은영 p. 111-141

직업상담사가 인식하는 작업동맹에 대한 개념도 연구 = Concept mapping of the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vocational counselors 김모란, 안윤정 p. 143-16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부모양육방식 유형과 청소년 진로정체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parenting style and career identity on adolescen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이영광, 하재영 p. 183-208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 및 성과에 대한 다차원적 인식 분석 = Multidimensional perception analysis on job performance and outcomes of career teachers 서우석, 홍성표, 선곡유화, 박정근, 박정희, 김동정 p. 209-236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재성, 김강호, 정연순, 남기곤, 이영민, 정진철, 서복경, 현우영, 이혜나, 양인준, 조성은. (2019).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미소장
2 김문길, 정은희, 원종욱, 임완섭, 김기헌, 김형존. (2017).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성과측정 및 효과분석 연구.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미소장
3 김성희 (2015). 청년구당의 쟁점과 과제: 사회활동수당과 수직수당의 연계를 통한 발전방안. 복지동향 제 200호. Retrieved (2020.05.02.) from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387671 미소장
4 김윤중, 현지은 (2019). 경기도 청년구직지원금 효과성 연구 Ⅱ. 경기도일자리재단. 미소장
5 김정아, 김인아 (2018). 전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4), 463-471. 미소장
6 송영조, 이연우 (2017).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직업능력개발연구, 20(2), 61-88. 미소장
7 오선정 (2018). EU 청년보장제도 효과. 국제노동브리프, 16(9), 49-57. 미소장
8 이현우, 이지호, 서복경 (2017).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참여자 분석 연구.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미소장
9 임희정, 김민영, 이혜민, 강승규 (2017). 일하는 청년시리즈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경기도일자리재단. 미소장
10 장효진 (2017). 노동시장정책이 청년의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51(3), 325-358. 미소장
11 정병순, 김태욱, 이봉조 (2016). 청년활동지원사업 참여자 분석 연구.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미소장
12 채창균, 최영섭, 오호영, 정재호 (2017). 한국형 청년보장제도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소장
13 최홍기 (2018). 직업능력개발훈련법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4 홍기석 (2018). 청년실업의 결정요인 연구. 한국경제의 분석, 24(2), 91-152. 미소장
15 Cockx, B., & Van Belle, E. (2019). Waiting longer before claiming, and activating youth: no 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40(4), 658-687. 미소장
16 Blundell, R., Dias, M. C., Meghir, C., & Van Reenen, J. (2004). Evaluating the Employment Impact of a Mandatory Job Search Program. Journal of the European Economic Association, 2(4), 569-606. 미소장
17 Böheim, R., & Taylor, M. P. (2002). The search for success: Do the unemployed find stable employment?. Labour Economics, 9(6), 717-735. 미소장
18 Brodsky, M. M. (2000). Public-service employment programs in selected OECD countries. Monthly Lab. Rev., 123, 31-41. 미소장
19 Caliendo, M., Hujer, R., & Thomsen, S. L. (2008). The employment effects of job-creation schemes in Germany: a microeconometric evaluation. In Modelling and evaluating treatment effects in econometrics.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미소장
20 Cockx, B., & Van Belle, E. (2019). Waiting longer before claiming, and activating youth: no 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40(4), 658-687. 미소장
21 De Giorgi, E. (2005). The New Deal for Young People: Five Years On. Fiscal Studies, 26(3), 371-383. 미소장
22 Direction de l’animation de la recherche, des études et des statistiques(DARES). (2016). Rapport intermédiaire du Comité scientifique en charge de l’évaluation de la Garantie Jeune. Retrieved (2020.04.10.) fromhttps://dares.travail-emploi.gouv.fr/dares-etudes-et-statistiques/etudes-et-syntheses/autres-publications/article/la-garantie-jeunes-evaluation-du-dispositif. 미소장
23 Eliason, M., & Storie, D. (2006). Lasting or latent scars? Swedish evidence on the long-term effects of job displacement, Journal of Labor Economics, 24(4), 831-857. 미소장
24 Escudero, Verónica., & López Mourelo, Elva. (2017). The European Youth Guarantee a systematic review of its implementation across countries, ILO Working Papers994963592802676.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미소장
2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the European council, the council, the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The youth guarantee and youth employment initiative three years on.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미소장
26 European Council. (2013). Council Recommendation of 22 April 2013 on establishing a Youth Guarantee. Retrieved (2020.05.05.) from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ALL/?uri=CELEX%3A32013H0426%2801%29. 미소장
27 Gebel, M., & Giesecke, J. (2016). Does deregulation help? The impact of employment protection reforms on youths’ unemployment and temporary employment risks in Europ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32(4), 486-500. 미소장
28 Hämäläinen K., Hämäläinen U., Tuomala J. (2017). The labour market impacts of a youth guarantee: lessons for Europe?, in M.A. Malo and A. Moreno (eds.), European Youth Labour Markets: Problems and Policies. 미소장
29 Hardoy, I. (2005). Impact of Multiple Labour Market Programmes on Multiple Outcomes: The Case of Norwegian Youth Programmes. Review of Labour Economics and Industrial Relations, 19(3), 425-467. 미소장
30 Hoon, H. T. (2011). Wage Subsidies in a Program for Economic Inclusion and Growth. Working paper 202011.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미소장
31 ILO. (2012). Eurozone Job Crisis: Trends and Policy responses. Studies on Growth with Equit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ur Studies. 미소장
32 Jensen, P., Rosholm, M., & Svarer, M. (2003). The response of youth unemployment to benefits, incentives, and sanction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9(2), 301-316. 미소장
33 Loison-Leruste M., Couronné J., & Sarfati F. (2016). La Garantie jeunes en action: Usages du dispositif et parcours de jeunes. Rapport de recherche, 101, Centre d’études de l’emploi et du travail.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