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本论文以朝鮮刊本(公文書館本, 1505~1568)和中國刊本(古今逸史本, 1585)以及國立中央圖書館所藏日本刊本(天和三年本, 1683)为基本文本进行了比较. 與國立中央圖書館所藏朝鮮刊本, 中國國家圖書館所藏公文紙印本(1505),《博物志校證》(1980)也相互比较, 观察了異同点.

由此可見, 朝鮮刊本是1531年崔世節的嘉靖辛卯本, 1568年以前出版的公文書館所藏本等2種以上, 中國刊本是賀志同刊本, 公文紙印本, 胡文煥刊本(百家名書本), 新安吳氏校刊本(古今逸史本), 會稽商氏刊本(稗海本), 武林何允中刊漢魏叢書本(漢魏叢書本)等6種以上, 日本刊本是延寶五年(167年)4册本, 天和三年(1683)4册本, 天和三年7册本等3種以上出版流通了. 還有, 日本天和三年本是有朝鮮中期文人崔世節的“正續博物志序”, 由此可见,1531年崔世節的嘉靖辛卯本傳到了日本, 它在150多年以後的1683年被覆刻.

根据板本的不同, 是否有序跋文, 卷頭和卷末的标记方式和目次的表記方式存在差异, 是否有條目, 文字的異同, 異體字的活用等方面也有差异.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中國 人名 한글 표기 오류에 대한 연구 강혜근 p. 1-25

王念孫《群經古韻譜》운례 연구 : 《易》, 《大戴禮》, 《禮記》를 제외한 나머지 비운문체 경전의 예에서 도혜숙 p. 27-47

音韻學的 理論에 根據한 唐詩 旋律 復原 方法 硏究 : 知識의 融合과 運用 : 旋律의 音程을 중심으로 송준영, 배은한 p. 49-68

'깨다'류 동사의 통시적 변천에 대한 고찰 : ‘寤’, ‘覺’, ‘醒’을 중심으로 유현아 p. 69-85

중국어 '落'류 동사의 의미지도 연구 : 이동동사 '掉', '落'을 중심으로 채춘옥 p. 87-109

식민 이데올로기 선전과 여성 : 만주국 시기 젠더표상의 객체화와 소비현상을 중심으로 정겨울 p. 111-131

16, 7세기 한·중·일 《博物志》의 비교 연구 정영호, 민관동 p. 133-158

중국 인터넷 무협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반례로서의 한국 인터넷 무협 최재용 p. 159-186

중국의 최저임금 현황과 제도의 취약성 신동윤 p. 187-205

대만 신문의 정치 양극화 연구 이광수 p. 207-230

기술혁신과 패권이행론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중 반도체 분쟁 정해정 p. 231-249

중국 철강산업의 정책추이 분석 최정석, 최준환 p. 251-276

유교사상에서 중(中) 개념의 의미 차이에 따른 정의(義) 관념의 차이 고찰 김세종 p. 277-308

《淮南子》聖人觀 硏究 윤지원 p. 309-326

강유위의 순자학 : '소강' 단계의 도덕과 욕망 이연도 p. 327-352

주자학의 순자적 음영(陰影) : 수양공부 방법을 중심으로 이연정 p. 353-370

생태철학적 시야에서 본 장자 학파의 기술관 황종원 p. 389-412

중국영화시장 발전과 21세기 영화시장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 국내, 중화권, 글로벌 영화시장을 중심으로 김진영 p. 413-432

고대 중국 漁業경영의 변화와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조원일, 조서걸 p. 371-387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張華 撰, 周日用 注, 李石(續), 조선간본《博物志》十卷 續十卷, 1505~1568. 미소장
2 張華 撰, 周日用 注, 李石(續), 明 吳琯 編,《古今逸史》本《博物志》, 1585경. 미소장
3 張華 撰, 周日用 注, 李石(續), 天和三年本《博物志》十卷 續十卷, 1683. 미소장
4 張華 撰,《博物志》十卷, 刊行地未詳,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연도 미상. 미소장
5 張華 撰, 周日用 注, 李石(續), 賀泰刻公文紙印本《博物志》十卷 續十卷, 1505. 미소장
6 張華 撰, 林東錫 譯註,《博物志》, 서울: 동서문화사, 2011. 미소장
7 張華 撰, 김영식 譯,《博物志》, 서울: 지만지, 2008. 미소장
8 張華 撰, 范寧校證,《博物志校證》, 北京: 中華書局, 1980. 미소장
9 趙紅媛, 〈《博物志》研究〉, 東北師範大学, 碩士論文, 2007. 미소장
10 李 芳, 〈《博物志》研究〉, 西南大學 碩士論文, 2009. 미소장
11 劉麗佳, 〈《博物志》硏究〉, 鄭州大學 碩士論文, 2015. 미소장
12 袁 堏, 〈《續博物志》硏究〉, 西南交通大學 碩士論文, 2017. 미소장
13 김영식, 〈《博物志》試論〉, 《중국문학》제31집, 한국중국어문학회, 1999. 미소장
14 국립중앙도서관(http://www.nl.go.kr/nl/). 미소장
15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미소장
16 한국학중앙연구원(https://www.aks.ac.kr/index.do). 미소장
17 日本 國立國會圖書館(http://dl.ndl.go.jp). 미소장
18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http://www3.ioc.u-tokyo.ac.jp/kandb.html). 미소장
19 百度(http://www.baidu.com/). 미소장
20 臺灣 國家圖書館(https://www.ncl.edu.tw/). 미소장
21 臺灣 國立古宮博物院(https://www.npm.gov.tw/). 미소장
22 中國 國家圖書館(http://read.nlc.cn/user/index) 미소장